$\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와 북스타트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n Relations Between the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for Babies and Toddlers and Bookstart Program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4 no.4, 2010년, pp.333 - 352  

김수연 (대원대학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와 북스타트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도서관 이용자의 북스타트에 대한 인식 조사, 둘째, 도서관 이용자의 북스타트 참여 이전과 이후 도서관 이용 행태 변화 분석, 셋째, 북스타트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이 북스타트 참여 이전과 이후에 아기와 이용자 자신의 변화, 그리고 도서관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이다. 넷째, 북스타트 도입시 도서관의 영아 이용자 등록률 향상 여부이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북스타트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의 이용자 1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는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도입 지자체와 미도입 지자체 어린이 도서관의 영아 이용자 등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을 처음 이용하기에 적합한 시기는 영아기 74명(54.7%)와 유아기 70명(45.4%)이라고 응답했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북스타트의 취지에 적극 동의하고 있었으며(98.8%), 북스타트 사업을 도서관에서 시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응답했다(96.9%). 둘째, 도서관 이용자들이 북스타트 사업에 참여하는 경우, 참여 이전과 이후에 도서관 이용 횟수 및 도서관 이용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북스타트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이 북스타트 참여 이전과 이후에 아기가 책을 좋아하는 정도, 이용자 자신이 책을 좋아하는 정도, 아기의 독서와 육아 정보획득, 동아리 및 자원 활동으로 삶에 활력소가 생긴 정도 등 도서관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하게 변화하였음을 분석하였다. 넷째, 북스타트를 도입하기 이전 영아등록률이 7.1%에 불과하던 A시 어린이 공공도서관이 시행 이후 26.2%로, 19.1%포인트가 증가한 반면 북스타트를 도입하지 않는 C시 어린이 공공도서관의 경우 4.3%에 불과하여, 두 기관 간 영아등록률은 약 15%포인트 가량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영 유아 대상의 책놀이를 중심으로 한 북스타트가 도서관의 영아서비스와 연계되어 영아 대상 서비스를 활성화함은 물론 도서관의 기능 확장 및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여지가 높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babies and toddlers and the possibilities of service expansion through Bookstart program as a cooperative system for libraries. This study shows how users change their way of using librarie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todd...

주제어

참고문헌 (22)

  1.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 [online]. [cited].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omepage. [online]. [cited]. .) 

  2. 김수연, 강정아. 2009. 공공도서관의 영아대상 서비스 실태 및 북스타트를 통한 서비스 확대 가능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139-162. (Soo-Yeon Kim, Jeong-Ah Kang. 2009. "A Study on Exploring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Babies and Toddler and the Possibilities of Service Expansion through Booksta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139-162.) 

  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홈페이지. [online]. [cited]. . (Doseogwanjeongbojeongchaekwiwonhoe Homepage. [online]. [cited]. .) 

  4.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9.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09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Doseogwanjeongbojeongchaekwiwonhoe. 2009. Doseogwanbaljeon Jonghapgyehoek 2009 Sihaenggyehoek. [Seoul]: Doseogwanjeongbojeongchaekwiwonhoe.) 

  5. 북스타트 코리아. 2009. 북스타트 코리아 워크숍 자료집(미간행). 서울: 북스타트 코리아. (Bookstart Korea. 2009. Bookstart Korea Workshop Jaryojip. Preprint, Seoul: Bookstart Korea.) 

  6. 북스타트 코리아. 2010. 2010 북스타트 코리아 전국대회 자료집(미간행). 서울: 북스타트 코리아. (Bookstart Korea. 2010. 2010 Bookstart Korea Jeongukdaehoe Jaryojip. Preprint, Seoul: Bookstart Korea.) 

  7. 설리반 마이클. 2007. 어린이사서의 서비스 제공 대상은 누구인가? 어린이 서비스의 기초. 국립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옮김.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원전: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Sullivan, Michael. 2007. "Eorinisaseoui Service Jegong Daesangeun Nuguinga?" Eorini Serviceui Gicho. Translat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Seoul: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8. 카렌 M 벤추렐라. 1998. 도서관을 통한 지역사회 프로그램: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12가지 도서관 활동 이야기, 108-121. 도서관운동연구회 옮김. 2002. 서울: 한울 (Venturella, Karen M. 1998. Poor people and library services, 108-121. Translated by Doseogwanundongyeonguhoe. 2002. Seoul: Hanul.) 

  9. 전효정, 이귀옥, 박혜원. 2004. 초기 언어발달에 있어 환경적 영향의 특수성. 아동학회지, 25(5): 163-178. (Hyo-Jeong Jeon, Kwee-Ock Lee, Hyewon Park. 2004. "The Specificity of Environmental Influ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5(5): 163-178.) 

  10. 조명희. 2008. 대구동부도서관 북스타트 운동 운영사례.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편). (Myung-Hee Cho. 2008. Daegudongbudoseogwan Bookstart Undong Unyoungsarye. [Seoul]: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ed).) 

  11.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안. [서울]: 한국문화 관광정책연구원. (Korea Culture and Tourism Policy Institute. 2006. Gukripeorinicheongsonyeondoseogwan jungjanggi baljeon bangan.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Policy Institute.) 

  12. Desforges, C., & Abouchaar, A. 2003.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Parental Support and Family Education on Pupil Achievement and Adjustment: A literature Review.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13. Flouri, E., & Buchanan, A. 2004. "Early father's and mother's involvement and child's later educational outcome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141-153. 

  14. Gest, S. D., Freeman, N. R., Domitrovich, C. E., & Welsh, J. A. 2004. "Shared 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age comprehension skills: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discipline practic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 319-336. 

  15. Gill, P.(ed.) 2001. Public Library Service-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Munchen: Saur. 

  16. Hill, S. 2006. "Baby Bounce: The Little Big Book Club way to begin literacy for children 0-2 years. Paper presented at the Early Literacy Research Symposium."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Chicago, April 29-May 5, 2006. 

  17. IFLA(2008). Professional Report 100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Babies to Toddler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18. Jordan, G. E., Snow, C. E., & Porsche, M. V. 2000. "Project EASE: The effect of a family literacy project on kindergarten students' early literacy skill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5: 524-546. 

  19. Mullis, R. L., Mullis, A. K., Cornille, T. A., Ritchson, A. D., & Sullender, M. S. 2004. Early Literacy Outcomes and Parent Involvement. Tallahassee, Fl: Florida State University. 

  20. Rowe, K. 1991. "The influence of reading activity at home on students'attitudes towards reading, classroom attentiveness and reading achievement: An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1: 19-35. 

  21. Solihull Metropolitan Borough Council. 2008. Solihull Bookstart Annual Report April 2007-March 2008. Solihull Metropolitan Borough Council. 

  22. Wade, B., & Moore, M. 2000. "A Sure Start with Books." Early Years, 20: 39-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