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도시공원녹지체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 in Terms of the Open Space Network - Focused on the City of Daejeon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5, 2009년, pp.53 - 63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디자인학과) ,  임병호 (대전발전연구원) ,  심준영 (전북대학교 녹지조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원녹지체계를 광의의 개념으로서 오픈스페이스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설정하고, 그 방법론을 모색하고 실증적으로 대전광역시 도심지역에 적용하였으며, 그 적용 결과에 기초하여 대전광역시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대전광역시 구도심을 대상으로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며, 둘째, 사례지역의 결과를 토대로 대전광역시의 오픈스페이스 유형별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함으로써 대전광역시 오픈스페이스네트워크를 구상토록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활동오픈스페이스 요소인 관공서 및 업무시설들은 자체적으로 또는 건물 전면부에 공개공지가 조성되어 있고, 이들 전면부 공개공지는 보행로(그레이 오픈스페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보행로는 결과적으로 대규모 공원이나 하천(그린 및 블루 오픈스페이스)으로 연결되어, 통합하여 하나의 공간체계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 중심부에는 그동안 공원녹지체계의 기본적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공원과 녹지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공원녹지의 추가적 확보가 이루어져야 공원녹지체계의 개선이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도심부에 새로운 공원녹지의 신규조성은 매우 어렵다는 전제하에 도심부에 마치 실핏줄처럼 분포하고 있는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체계로 접근할 경우, 도심부에 보다 건강한 휴식공간체계가 형성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a plan to build an open space network system in the city of Daejeon, assuming that parks and the green space system as a broad concept are to make a network by connecting open spaces such as parks, green spaces, squares, pedestrian roads, historical spots, etc. In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 공원녹지라 함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정하고 있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휴식과 정서함양에 기여하는 공간 또는 시설’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네트워크(network)라 함은 망상(網狀)의 연결 상태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연결의 방식까지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공원녹지 네트워크란 공원녹지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2) 한편, 이러한 도심부에서의 공원녹지의 부족을 진단하고 있는 연구의 한계는 바로 시민의 휴식공간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공원과 녹지만을 고려의 대상으로 삼고 있음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시민의 휴식공간 또는 시설을 단순히 공원녹지에만 한정하지 않고 보다 확장시킬 경우 도심부에서 휴식공간체계의 구축은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확장적 개념을 공원녹지체계와 대비하여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로 설정하고, 체계설정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의 의미와 효과 및 대전광역시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이러한 논의는 최근 공원녹지 기본계획이 법제도화되는 등 공원녹지의 중요성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진일보된 분석 및 접근방식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원녹지체계를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개념적으로 볼 때, 오픈스페이스(open space)란 건물이나 시설물이 입지되어 있지 않은 개발의 상대적인 지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김안제, 1979).
  • 또한 공원녹지를 네트워크로 접근하고 있는 선행연구에서 공원 또는 녹지로만 한정하여 도시의 전반적인 공원녹지 구조 틀을 설정하거나 실질적인 녹지축을 형성할 경우 매우 제약적인 것으로 조사, 연구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공원녹지체계는 향후 보다 광의의 오픈스페이스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공원녹지 구조를 도시의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대전광역시의 시가화 구역내에 있는 공원, 녹지, 하천 등 오픈스페이스 구조를 분석하여 연속성 있는 네트워크화 방안을 모색, 효율적인 오픈스페이스의 네트워크 접근에 관한 탐색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적 요소만으로 구성되는 도시 내 공원녹지체계는 도심부에서 네트워킹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어렵다. 이러한 판단아래 인공적 오픈스페이스 요소들의 네트워크인 그레이네트워크와 주요 광장, 문화공간 등과 같은 인문사회적 오픈스페이스 요소들의 네트워크인 액티비티네트워크를 보완함으로써 보다 확장적인 시민 휴식공간체계인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를 구상하고, 이를 실제로 대전광역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공원녹지체계는 향후 보다 광의의 오픈스페이스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공원녹지 구조를 도시의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대전광역시의 시가화 구역내에 있는 공원, 녹지, 하천 등 오픈스페이스 구조를 분석하여 연속성 있는 네트워크화 방안을 모색, 효율적인 오픈스페이스의 네트워크 접근에 관한 탐색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새로이 개발되는 지역에서는 법으로 적정량의 공원 녹지를 확보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공원녹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지만, 역사가 오래된 옛 지역의 경우 공원이나 공지를 찾기 어려우며 새로이 지정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역에서부터 충남도청에 이르는 대전광역시 상징가로인 중앙로 주변 구도심 지역을 실증적 분석대상지역으로 설정하여 공원녹지 네트워크와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도출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론을 대전광역시 전역에 확대 적용하고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도권의 공원과 녹지 외에 다양한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하였을 경우 더 넓은 시민의 여가공간이 확보되고, 연결성이 증대됨으로써 시민의 이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개발비용 부담 또한 줄어들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자연적 요소를 도시 내에 창출시키는 형태로서의 ‘도시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논의와 중요성 등이 제기되는 이유는? 최근 자연적 요소를 도시 내에 창출시키는 형태로서의 ‘도시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논의와 중요성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오늘날 점차로 거대화, 과밀화, 협소화되어 가는 도시적 상황 속에서 이제는 공원과 녹지만으로 도시민의 휴식욕구를 충족시켜주기가 어렵기 때문에 도시 속에는 공원녹지보다 개념적으로 확장된 오픈스페이스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고대부터 서구의 도시들에 있었던 광장이나 장식적인 가로들이 이에 해당할 것이고, 현대도시에서는 이들과 더불어 각종의 소규모 공간들이 될 것이다(이규목, 1990).
공원녹지는 무엇으로서 도시들 간 경쟁적인 비교대상이 되고 있는가? 오늘날 공원과 녹지는 도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요긴한 환경인 동시에 공공시설이다. 이러한 공원녹지는 법제도상 도시계획시설1)로서 삶의 질이 높은 환경 친화적인 도시공간 형성의 척도로서 도시들 간 경쟁적인 비교대상이 되고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마다 시민들의 만족과 도시의 쾌적성을 높이고자 보다 많은 양과 질의 공원녹지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 내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무엇이 필요한가? 실제로 공원ㆍ녹지는 포괄적인 의미에서 면적인 공원과 선적인 녹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원과 녹지시설만으로는 효율적인 공원녹지체계의 구축이 어렵다. 도시 내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네트워크화가 필요하다. 국내의 현실은 선진국의 공원녹지에 비하여 질적ㆍ양적으로 부족하며, 선진국에서는 공원녹지 네트워크가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측면에서 접근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상준(1983) 녹지공간의 개발과 보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1(1): 73-91 

  2. 권상준, 심경구, 김유일(1994) 도시근린공원의 도달거리와 포착력에 관한 계량모형. 한국조경학회지 22(1): 149-178 

  3. 김광호(2004) 생태적 매트릭스의 치유도시설계.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0(2): 155-159 

  4. 김안제(1979) 김안제. 서울: 전영사 

  5. 김수봉(2004) 공원녹지정책. 서울: 대영문화사 

  6. 나정화, 사공정희(2002) 녹지연계망 조성을 위한 거점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6): 37-49 

  7. 노태욱(2001) 도시공원, 녹지의 현황과 과제. 도시정보 2: 4-19 

  8. 박미호, 이명우(2002)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녹지보전과 녹화추진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0(2): 23-39 

  9. 박상헌(2004) 도시녹지 네트워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10. 박찬규, 주종원(1990) 도시근린공원의 이용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6(2): 213-226 

  11. 부산발전연구원(2005) 부산시 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12. 성현찬, 신지영(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2): 83-91 

  13. 손상락, 윤병구(2002) 도시민의 공원녹지의식에 의거한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59-82 

  14. 안동만, 최형석, 김인호, 조형준(1991) 도시오픈스페이스의 접근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7-28 

  15. 안봉원, 권상준, 김용수, 김유일, 이규목, 임승빈, 황기원(1989) 조경계획론. 서울: 문운당 

  16. 이규목(1990) 제2의 오픈스페이스 유형과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한국조경학회지 18(3): 192-193 

  17. 이동근, 성현찬, 윤소원(1998) 도시녹지공간의 양적 목표치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4): 158-170 

  18. 이범규(2008)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타당성 및 기본구상. 대전발전연구원 

  19. 이성환(2004) 서울시 노원구의 녹지 네트워크 설정 및 생태적 구조개선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양성우, 정혜진, 최지영, 김기호(2007) 도시그린웨이 네트워크를 위한 계획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6): 209-220 

  21. 홍광표(1985) 오픈스페이스 체계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3(1): 100-114 

  22. Abercrombie, P.(1944) Greater London Plan. London: HMSO 

  23. Little, C. E.(1968) Challenge of the Land, London: Pregamon Press 

  24. Little, C. E.(1990) Greenways for America.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25. Lee, D. G., Im, S. B., Ahn, T. M., Choe, Y. C., Lee, S. W., Kim, E. J.(2007) Ecological urban planning and design: An application to Hai Phong City, Vietnam. Journal of the KIEAE 7(3): 3-10 

  26. Kirkwood, N. G.(2003)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27. Lynch, Kevin(1971) Site Planning. MIT Press 

  28. Turner, Tom(1998) Landscape Planning and Enviromnetal Impact Design.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