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전체 주민과 노인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 Focusing on Whole Residents and the Elderl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4, 2014년, pp.21 - 29  

윤정미 (창조건축 도시환경디자인연구소) ,  최막중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득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이 중시되는 시대로 접어들면서 건강과 여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과 도시민의 여가의 관계에 주목하여 공원, 하천과 같은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거주민, 특히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관심사인 노인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여가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와 공급요인 중에서 선행연구는 주로 수요측면의 개인 특성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 연구는 공급측면의 환경적 지역적 특성을 함께 고찰하는 특성을 지닌다. 분석자료는 개인의 거주지역 정보가 행정동의 근린수준까지 세분화되어 있는 2010년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및 지역특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함께 위계선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에서 일관되게 발견되는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공급은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오픈스페이스 공급효과는 노인계층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 셋째,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옥외 여가활동은 상대적으로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낮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게 더욱 유용하다. 종합하면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공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노인시설, 공공보건시설, 사회복지시설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오픈스페이스는 도시계획시설의 관점에서 고령화사회에 대응하고 건강도시와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공공재 공급계획의 일환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erms of quality of life, leisure and health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with increasing incomes and decreasing working hours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emphasizing that parks, river banks, and physical activity 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크리스탈러(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central place theory)을 준용하면 도시의 인구 규모에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고차의 광역 여가서비스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이 여가기회가 풍부하여 여가활동 참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현상도 발견된다(Hong and Kim, 199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광역시를 기준으로 도시 위계를 기본적으로 구분한 다음, 기초 자치행정단위인 시․구의 인구규모를 통해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여가서비스 수준을 가늠하도록 한다. 이상의 모든 변수들의 기술통계량은 Table 1에 제시되어 있다.
  •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는 여가의 유형을 8개 대항목, 80개소항목으로 분류하고 항목별로 여가시간과 여가비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로부터 오픈스페이스와 관련된 여가유형을 선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오픈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여가활동의 두 가지 특징에 주목한다. 하나는 물리적 측면에서 실내가 아닌, 옥외(outdoor) 여가활동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경제적 측면에서 여가활동에 대한 비용 부담이 없다는 점이다.
  • 본 연구는 여가소비요인 중 공급 측면의 환경적․지역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 내 오픈스페이스 공급이 거주민, 특히 노인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공원, 하천, 체육용지와 같은 도시 오픈 ㅅ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여가유형의 특징을 산책 등 간단한 신체 활동 위주의 ‘옥외 무비용 여가활동’으로 정의하고, 행정동 단위의 오픈스페이스 비율이 다른 지역특성 및 개인특성과 함께 옥외 여가활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 이러한 점에서 Hong and Kim(1997)이 노인의 여가소비에 있어 주요 제약요인을 개인의 수요 측면에서 신체적·경제적 제약, 그리고 지역의 공급 측면에서 여가시설 부족으로 분석한 것은 양 측면을 함께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논리는 여가시설 중의 하나인 오픈스페이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본 연구에서는 여가소비영향요인으로 수요 측면의 개인특성과 함께 공급 측면에서 지역의 오픈스페이스가 개인의 여가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 그동안 오픈스페이스는 주민의 건강 증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논의되어 왔지만, 실제 오픈스페이스의 존재가 건강과 관련된 옥외 여가활동을 진작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축적되어 있는 정보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내 오픈스페이스 공급이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특별히 고령화사회에서 이슈가 되는 노인의 옥외 여가활동에 별도의 관심을 둔다. 여가시간이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인의 경우 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기 적인 옥외 여가활동은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효과는?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생태적으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기능을 발휘하는데, 도시민에게 여가와 휴식,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제공하여 활력을 높이는 등(Jeon, 1997) 다양한 여가생활 욕구를 충족시키고(Joh et al., 2014), 주민 간 접촉기회를 증진시키며 정신건강 및 정서를 함양시킴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Moon, 2001). 특히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접근성은 건강도시1) 논의와 관련 하여 그동안 많은 선행연구에서 주민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환경적․지역적요인으로보고되고있다(Lee and Ahn, 2008; Kim and Kang, 2011; Seong, 2011; Lee, 2012).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도는 어떠한 요인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나? 개인적 요인은 여가 수요를 결정짓는 요인으로, 일반적으로 성별과 연령, 가구구성 형태와 같은 인구학적 특성과 소득과 교육수준 등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의해 대표되며, 노인의 경우 추가적으로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가 주요 변수로 고려될 수 있다. 실제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부부가 동거하는 경우, 소득과 학력 등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난다(Huh, 2002). 이에 비해 노인의 여가시간은 남성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무직인 경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Lee and Jeong, 2004; Lee, 2011).
도시환경과 도시민의 여가의 관계에 주목하여 공원, 하천과 같은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거주민,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관심사인 노인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두 모형에서 일관되게 발견되는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공급은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오픈스페이스 공급효과는 노인계층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 셋째,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옥외 여가활동은 상대적으로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낮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게 더욱 유용하다. 종합하면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공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노인시설, 공공보건시설, 사회복지시설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오픈스페이스는 도시계획시설의 관점에서 고령화사회에 대응하고 건강도시와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공공재 공급계획의 일환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k, S. K. and K. H. Park(2014) Associ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1-12. 백수경, 박경훈(2014)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의 상호관련성: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3): 1-12. 

  2.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 Coombes, E., A. P. Jones and M. Hillsdon(2010)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overweight to objectively measured green space accessibility and use. Social Science & Medicine 70: 816-822. 

  4. Fuzhong, L., P. A. Harmer, B. J. Cardinal, M. Bosworth, A. Acock, D. Johnson-Shelton and J. M. Moore(2008) Built environment, adiposity, and physical activity in adults aged 50-75.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5(1): 38-46. 

  5. Hong, S. H. and S. H. Kim(1997)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by the type of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constrai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5(4): 253-267. 홍성희, 김성희(1997) 노인의 여가태도 및 여가제약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53-267. 

  6. Huh, J. S.(2002) Determinant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urban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2): 227-247.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2): 227-247. 

  7. Jeon, Y. C.(1997)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urban parks through to leisure lifestyles and behavior of user: Focused on Seoul Grand Park. Journal of Tourism Development 6(1): 217-246. 전영철(1997) 도시공원이용자의 여가활동과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서울대공원을 중심으로. 관광개발논총 6(1): 217-246. 

  8. Kim, E. J. and M. K. Kang(2011)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7(3): 27-42. 김은정, 강민규(2011) 도시환경과 개인특성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지역연구 27(3): 27-42. 

  9. Kim, J. W.(2006) A study on the time of the elderly in Korea: Analysis their use of time upon work, family and leisur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149-178. 김진욱(2006) 한국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8. 

  10. Kim, S. Y. and M. S. Park(2000) A study on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8(1): 67-84. 김성연, 박미석(2000) 도시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67-84. 

  11. Lee, G. O.(1994) Analysis and political issues of the elderly living statu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이가옥(1994) 노인생활 실태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 Lee, H. Y. and S. C. No(2013) Theory of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Moonwoo. 이희연, 노승철(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서울: 문우사 

  13. Lee, K. H.(2012)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ity's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3(7): 3237-3243. 이경환(2012)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요소 분석: 한국의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7): 3237-3243. 

  14. Lee, K. H. and K. H. Ahn(2008)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6): 105-118. 이경환, 안건혁(2008) 근린환경이지역주민의건강에미치는영향: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2(6): 105-118. 

  15. Lee, K. Y., H. G. Joh, O. S. Kim, Y. S. Lee, S. M. Lee, D. S. Hong, H. S. Joh, Y. K. Kim, S. Y. Kim and S. I. Jeong(2006) Allocation of time between work and leisure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0(3): 131-148. 이기영, 조희금, 김외숙, 이연숙, 이승미, 홍두승, 조흥식, 김유경, 김소영, 정수인(2006) 고령화사회 농촌노인의 노동과 여가의 시간배분. 한국가 족자원경영학회지 10(3): 131-148. 

  16. Lee, S. S.(2011) A study on the time usage of the retired elderl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2): 311-325. 이신숙(2011)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2(2): 311-325. 

  17. Lee, Y. J. and S. H. Jeong(2004) An analysis of the effect variables of the leisure time consump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4(4): 1-19. 이윤정, 정순희(2004) 노인의 여가시간 소비의 영향요인 분석. 소비자학 연구 14(4): 1-19. 

  18. Moon, C. H.(2001)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in Seoul through the analysis of decisive factors about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9(1): 97-119. 문창현(2001)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9(1): 97-119. 

  19. Park, M. S. and Y. R. Lee(2003) A study on the leisure tim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1): 37-48. 박미석, 이유리(2003) 한국노인의 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37-48. 

  20. Park, J. C.(2010)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Leisure Activity in the Aging Society. Ph. 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박종천(2010) 고령화사회 노인여가활동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Romsa, G. and W. Hofman(1980) An application of nonparticipation data in recreation research: testing the opportunity theory.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321-328. 

  22. Seong. H. G.(2011) A study on the impacts of residential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on personal health indicators: Focused on the planning element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3): 235-251. 성현곤(2011) 주거지 근린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대중교통중심개발(TOD)의계획요소를중심으로. 국토계획46(3): 235-251. 

  23. Yang, J. J.(2007) Status and evaluation of the elderly-used leisure park: The case of Yongdusan Park.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1(2): 83-104. 양재준(2007) 고령자의 여가공간으로서 공원이용실태와평가에 관한연구: 용두산공원을 사례로. 관광학연구 31(2): 83-104. 

  24. Zoh, K. J., Y. G. Kim and Y. H. Kim(2014) A study on visito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open space: In the case of waterfront open space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1): 27-40. 조경진, 김용국, 김영현(2014)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동기 및 만족도 연구: 서울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1): 27-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