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Consideration of Silvicultural Practice by Taking Community Type of Pinus densiflora Stan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1, 2009년, pp.56 - 65  

이광수 (국립산림과학원) ,  이중효 (국립환경과학원) ,  김석권 (국립산림과학원) ,  배상원 (국립산림과학원) ,  정문호 (광해방지사업단 기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Red pine(Pinus densiflora) stands at a very important place, historically, culturally, and emotionally and it is one of the tree species that can produce domestic timber as forest resources economically. The growing space for Red pine forest in Korea is gradually reducing while the spac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층의 임분구조와 생장 및 임목형질특성을 분석하여 생태적.경제적으로 가치있는 소나무림 보전을 위한 기초적 연구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pp 

  2.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 M. C. Brown Co. Publ. Dubuque, Iowa,194pp 

  3. Cho, H.J. and S.c. Hong(1990)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Communities in Mt . Palgong(I) -Pinus densiflora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9(2): 144-161 

  4. Chun, Y.M.(2001) Phytosocialogical Study of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171pp 

  5. Chun, Y.M., H.J. Lee, and 1. Hayashi(2007)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3): 257-277 

  6. Dierssen, K.(1990) Einflibrung Pflanzensoziologie. Akademie Verlag Berlin, 241pp 

  7.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s IV. Stuttgart, 136pp 

  8. Forest Service(200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06. 482pp 

  9. Forest Service(2003)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152.99.197. 75:90901 

  10. Heck, C.R.(1931) Handbuch der freien Durchforstung mit beiragen zum forstlichen Versuchswesen. Schweizerbart, Stuttgart, 348 pp.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5) The survey of natural pine forest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259pp 

  12. Korea Meteorolgical Adiministration(2006)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2005. 297pp 

  13. Lee, H.J., D.W. Byun, W.S. Kim, J.S. Lee, and C.H. Kim(1993)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Mt. Kaya.Korean Journal of Ecology 16(3): 287-303 

  14. Lee, H.J., Y.M. Chun, H.L. Chung, J.H. Kil, M.P. Hong, Y.O. Kim, and 1.D. Jang(1998) Syntaxonomy and Soil Condition of Mt. Nam Nature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21(5-3):633-648 

  15. Lee, J.H. and S.C. Hong(2004) Community Types and Population Structur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ound the Bulyeongsa Valley in Uljin-gu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1): 59-66 

  16. Lee, K.J., J.W. Choi, W.K. Choi, and B.H. Han(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for Fifteen Y ears(l989 -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2): 188-199 

  17. Ministry for Agriculture and Forestry(2006)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ecospeci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 286pp 

  18. Ministry for Agriculture and Forestry(2006) The development of laborsaving natural regeneration method for Pinus densiflora forest. 220pp 

  19. Mirov, N.T.(1967) The genus Pinus. The Ronald Press Company, New York 

  20. Shannon, C.E. and W. Wien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1. Yang, H.S.(2002)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5(2): 127-134 

  22. Yun, C.W. and S.C. Hong(2000) Classification ofVegeta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3): 310-3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