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기반 자연적 임분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의 감소 특성 평가
Analysis of Changes in Pine Forests According to Natural Forest Dynamics Using Time-series NFI Data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3 no.1, 2024년, pp.40 - 50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정종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박신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림 산림생태계의 자연적 임분 동태 변화 과정에 따라 참나무류 등 활엽수와의 경쟁에 밀려 분포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소나무림의 자연적 쇠퇴가 가시화되면서 소나무가 우리 국민들에게 제공해왔던 다양한 가치들이 함께 소멸될 위험에 처해 있으며, 지역별 소나무 쇠퇴 진행 상황에 따라 미래 산림관리 방향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적 임분 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변화 특성을 이해하고, 미래 소나무림의 지역별 변화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기반 전국 소나무림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소나무림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지형, 임분, 교란, 기후)들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효변수들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미래의 소나무림의 미래 변화 모습을 예측했다. 그 결과, 과거 10년 동안 전국 산림에서 소나무류의 중요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소나무류가 대표수종인 표본점이 10년 후에도 대표수종이 유지된 비율은 75%, 나머지 25%는 혼효림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수분 조건이 좋으며 임분 내·외부의 교란 요인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10년 후의 소나무림 변화를 전망한 결과, 전국적으로 현재 기준 소나무림 순림의 약 14.2%가 자연적인 임분 동태 변화에 따라 혼효림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역적으로 보면 소나무림 변화율은 제주와 경기가 42.8%, 26.9%로 가장 높았고 경북과 강원이 8.8%, 13.8%로 가장 낮았다. 경기, 충청, 전남 지역 등 한반도 서쪽 지역에 있는 소나무림의 감소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연적 임분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변화 민감도 평가 결과는 전국 소나무림의 종합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forests are continuously declining due to competition with broadleaf trees, such as oaks, as a consequence of changes in the natural dynamics of forest ecosystem. This natural decline creates a risk of losing the various benefits pine trees have provided to people in the past. Therefore, it is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의 소나무림이 어떠한 변화 과정을 겪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소나무림 변화 특성에 기반하여 어느 지역이 미래 소나무림 변화 압력이 상대적으로 클지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산림의 10년 동안의 소나무림 변화 정보를 확보하였고, 소나무림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지형, 임분, 교란, 기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나무림 변화와 유지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평가하였다.
  • 중요치 그룹을 기준으로 NFI5와 NFI7 사이 기간 동안의 중요치 변화 추세를 파악하였다. 또한 소나무림 중요치 변화와 함께 임분 전체(교목, 관목 포함)의 생물다양성 변화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함께 파악하였다. 생물다양성은 종 다양성 지수인 Shannon 다양성 지수로 다음의 식 1과 같이 산출하였다(Shannon, 1948).
  • 과거(NFI5) Class1이었던 표본점이 10년이 경과한 후(NFI7)에도 Class1로 유지가 되는 표본점과 중요치의 감소에 따라 Class2~4로 변화하는 표본점을 구분하여 이 두 가지 경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모형 적용을 통해 최종적으로 소나무림의 변화 또는 미변화 여부를 결정해야 하므로, 소나무림 중요치 변화에 대한 연속형 모형이 아닌 변화 여부를 통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분류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J.S. and Kim, E.S. 2019. Understanding Forest Status?of the Korean Peninsula in 1910: A Focus on Digitization?of Joseonimyabunpodo (The Korean Peninsula Forest?Distribution Map).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Science 108(3): 418-428. 

  2. Bae, S.W. et al. 2012. Commercial species(1) Pinus densiflora.?NIFoS Report #59,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pp. 250. 

  3. Beven, K.J. and Kirkby, M.J. 1979. A physically based,?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Hydrological Science Bulletin 24(1): 43-69. 

  4. Breiman, L., Friedman, J.H., Olshen, R.A. and Stone, C.J.?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hapman &?Hall. London, United Kingdom. pp. 368. 

  5. Cheon, K.I., Chun, J.H., Yang, H.M., Lim, J.H. and Shin,?J.H. 2014.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Structure?for 10 Years in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at?Mt. Gyeba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1):?1-11. 

  6. Chun, Y.-M., Park, S.-A. and Lee, C.-S. 2007. Structure and?dynamics of Korean red pine stands established as riparian?vegetation at the Tsung stream in Mt. Seorak national?park, easter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30(4): 347-356. 

  7. Cortes, C. and Vapnik, V. 1995. Support-vector networks.?Machine Learning 20(3): 273. 

  8. Hilmers, T., Friess, N., Bassler, C., Heurich, M., Brandl, R.,?Pretzsch, H., Seidl, R. and Muller, J., 2018. Biodiversity?along temperate forest succession. Journal of Applied?Ecology 55: 2756-2766. 

  9. Jang, J.H., Han, B.H., Choi, T.Y. and Lee, K.J. 2013. Plant?Community Structure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S.et Z. Forest for Twenty-two Years (1988~2010) in?Yongmun-sa (Temple) Valley, Yangpyeong-gun, South?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7(3): 369-380. 

  10. Kim, E.S., Jung, B.H., Bae, J.S. and Lim, J.H. 2022. Future?Prospects of Forest Type Change Determined from?National Forest Inventory Time-series Data. Journal of?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11(4): 461-472. 

  11. Kim, H.E., Kwon, K.C. and Jeong, T.S. 2000. Disturbance?and Regeneration Proces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in Mt. Worak.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19(2):?79-85. 

  12. Kim, M.-S., Yun, S.J., Park, C.-W., Choi, W.I., Chun, J.-H.,?Lim, J.-H. and Bae, K.-H. 2021. Sequential Changes in?Understory Vegetation Community for 15 Years in the?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in Central 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Korea. Korean?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5(3): 223-236. 

  13. Kong, W.S. 2008. Biogeography of Korean plants. GeoBook.?Seoul, Korea. pp. 365. 

  14. Lee, D.G, 2015.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s. Seoul?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 471. 

  15. Lee, E.Y., Han, B.H., Kim, J.Y. and Noh, T.H. 2014. A?Study on the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inus?densiflora S. et. Z Forest in Yeongsil,Hallasan Mountain?National Park for Twenty-two Years (1990~2012), Korea.?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Ecology Conference 2014(1): 19-20. 

  16. Lee, K.J., Choi, J.W., Choi, W.K. and Han, B.H. 2006.?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for Fifteen?Years(1989~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nd Ecology 20(2): 188-199. 

  17. Lee, K.J., Han, B.H., Lee, H.G. and Noh, T.H. 2012.?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for Nineteen Years?1993 2011) of Plant Community of the Pinus densiflora?S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Korea.?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559-575. 

  18. Lee, K.J., Han, S.S., Kim, J.H. and Kim, E.S. 1999. Forest?ecology. Hyangmunsa. Seoul, Korea. pp. 365. 

  19. Lee, K.J., Ki, K.S. and Choi, J.W. 2009. Vegetation?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Ecology 23(2): 208-219. 

  20. Lee, K.S. 2006. Changes of species diversity and development?of vegetation structure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after shifting cultivation in Korea. Journal of Ecology?and Field Biology 29(3): 227-235. 

  21. Oh, K.-K., Choi, S.-H., Park, S.-K. and Shim, H.-Y. 2004.?Vegetation Structure in the Harvested Forest Area(2) -A?Case of (Mt.)Baegwoonsan Research Forest at Kwangyang?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4):?337-345. 

  22. Pan, Y., McCullough, K. and Hollinger, D.Y. 2018. Forest?biodiversity, relationships to structural and functional?attributes, and stability in New England forests. Forest?Ecosystem 5: 14. 

  23. Park, S.G., Hong, S.-H. and Oh, C.-J. 2017. A Study on?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Korean Red Pine and?Location Environment in Temple Forests in Jeollanamdo, Korea. Korean Jou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31(4): 409-419. 

  24. Spurr, S.H. and Cline, A.C. 1942. Ecological Forestry in?Central New England. Journal of Forestry 40(5): 418-420. 

  25. Climate Information Portal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climate.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