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흉부 및 복부에서 AEC 적용에 따른 MDCT의 선량 감소 효과
Radiation Dose Reducing Effect during the AEC System in the Chest and Abdomen of the MDCT Scann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3, 2009년, pp.225 - 231  

이종석 (원광보건대학 방사선과) ,  권대철 (신흥대학 방사선과) ,  유병규 (원광보건대학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T검사에 따른 방사선 선량의 유해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고정관전류기법과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적용하여 선량의 감소 효과를 비교하였다. 64MDCT를 이용하여 인체조직등가물질 팬텀으로 흉부 및 복부 부위를 고정관전류기법과 AEC를 적용하여 CTDIvol과 DLP를 비교하였고, 영상의 평가는 관심영역으로 CT감약계수와 노이즈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흉부에서 고정관전류기법과 AEC적용에 따른 선량감소 효과는 CTDIvol 35.2%, DLP 49.3%, 복부에서는 CTDIvol 5.9%, DLP 3.2% 감소 효과가 있었다. CT검사에서 자동노출장치인 AEC를 이용하여 선량의 감소효과가 있다. CT 검사에 따른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AEC를 이용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radiation dose of 64MDCT performed with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with manual selection fixed tube current. We evaluated the CT scans of phantom of the chest and abdomen using the fixed tube current and AEC technique. Objective image noise show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진단 가치 있는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피폭선량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촬영 시 최소한의 선량을 이용하여 유효한 진단가치가 있는 영상을 얻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2]. 본 연구에서는 MDCT 촬영에서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AEC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동일 촬영 조건에서 고정관전류기법과 AEC의 적용에 따른 CT 선량의 지표인 CTDIvol(CT dose index volume), DLP(dose length product)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4MDCT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로 어떤 효과를 알 수 있었나요? 64MDCT를 이용하여 인체조직등가물질 팬텀으로 흉부 및 복부 부위를 고정관전류기법과 AEC를 적용하여 CTDIvol과 DLP를 비교하였고, 영상의 평가는 관심영역으로 CT감약계수와 노이즈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흉부에서 고정관전류기법과 AEC적용에 따른 선량감소 효과는 CTDIvol 35.2%, DLP 49.3%, 복부에서는 CTDIvol 5.9%, DLP 3.2% 감소 효과가 있었다. CT검사에서 자동노출장치인 AEC를 이용하여 선량의 감소효과가 있다.
AEC는 어떤 방법인가요? 촬영 조건의 설정은 촬영 부위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조건을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동일한 촬영 부위에 같은 두께라 하더라도 X선의 흡수 정도의 차이에 따라 항상 같은 농도의 영상을 형성하지는 못한다. AEC는 진단에 유용한 영상을 형성할 수 있는 최적의 관전류를 피사체의 두께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방사선의 피폭을 최대한 낮추어 영상을 형성하는 방법이다[그림 1].
MDCT는 어떤 장점이 있나요? MDCT(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의경우 검사시간을 전에 비해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아티팩트를 감소하여 좋은 영상을 획득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CT 검사는 방사선 피폭이 있더라도 신뢰할 수 있어 진단 및 치료 계획 영역에서 정확도가 높아 임상 의료현장에서 CT검사의 많은 증가를 가져왔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 G. Yoo, D. C. Kweon, J. S. Lee, K. J. Jang, S. H. Jeon, and Y. S. Kim, "Comparison radiation dose of Z-axis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technique with fixed tube current multi-detector row CT scanning of lower extremity venography," J Radiat Prot, Vol.32, No.3, pp.123-133, 2007. 

  2. M. K. Kalra, M. M. Maher, T. L. Toth, R. S. Kamath, E. F. Halpern, and S. Saini, "Comparison of Z-axis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technique with fixed tube current CT scanning of abdomen and pelvis," Radiology, Vol.232, No.2, pp.347-353, 2004. 

  3. V. Tsapaki, J. E. Aldrich, R. Sharma, M. A. Staniszewska, A. Krisanachinda, M. Rehani, A. Hufton, C. Triantopoulou, P. N. Maniatis, J. Papailiou, and M. Prokop, "Dose reduction in CT while maintaining diagnostic confidence: diagnostic reference levels at routine head, chest, and abdominal CT-IAEA-coordinated research project," Radiology, Vol.240, No.3, pp.828-834, 2006. 

  4. T. H. Mulkens, P.Bellinck, M. Baeyaert, D. Ghysen, X. Van Dijck, E. Mussen, C. Venstermans, and J. L. Termote, "Use of an automatic exposure control mechanism for dose optimization in multi-detector row CT examinations: clinical evaluation," Radiology, Vol.237, No.1, pp.213-233, 2005. 

  5. M. K. Kalra, M. M. Maher, T. L. Toth, "Strategies for CT radiation dose optimization," Radiology, Vol.230, pp.619-628, 2004. 

  6. M. K. Kalra, S. Rizzo, M. M. Maher, E. F. Halpen, T. L. Toth, J. A. Shepard, and S. L. Aquino, "Chest CT performed with Z-axis modulation: scanning protocol and radiation dose," Radiology, Vol.237, pp.303-308, 2005. 

  7. S. Namasivayam, M. K. Kalra, K. M. Pottala, S. M. Waldrop, and P. A. Hudgins, "Optimization of Z-axis automatic exposure control for multidetector row CT evaluation of neck and comparison with fixed tube current technique for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AJNR Am J Neuroradiol, Vol.27, pp.2221-2225, 2006. 

  8. M. K. Kalra, M. M. Maher, R. S. Kamath, T. Horiuchi, T. L. Toth, E. F. Halpern, and S. Saini, "Sixteen-detector row CT of abdomen and pelvis: study for optimization of Z-axis modulation technique performed in 153 patients," Radiology, Vol.233, No.1, pp.214-219, 2004. 

  9. I. Mastora, M. Remy-Jardin, V. Delannoy, A. Duhamel, C. Scherf, C. Suess, and J. Remy, "Multi-detector row spiral CT angiography of the thoracic outlet: dose reduction with anatomically adapted online tube current modulation and preset dose savings," Radiology, Vol.230, No.1. pp.116-124, 2004. 

  10. T. H. Mulkens, S. Daineffe, R. De Wijngaert, P. Bellinck, A. Leonard, G. Smet, and J. L. Termote, "Urinary stone disease: comparison of standard-dose and low-dose with 4D MDCT tube current modulation," AJR Am J Roentgenol, Vol.188, No.2. pp.553-562, 2007. 

  11. C. H. McCollough, M.R. Bruesewitz, and J. M. Kofler Jr, "CT dose reduction and dose management tools: overview of available options," RadioGraphics, Vol.26, No.2, pp.503-512, 2006. 

  12. C. Coursey, D. P. Frush, T. Yoshizumi, G. Toncheva, G. Nguyen, and S. B. Greenberg, "Pediatric chest MDCT using tube current modulation: effect on radiation dose with breast shielding," Am. J. Roentgenol, Vol.190, No.1, pp.W54-W6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