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반경사 방향과 허리벨트 착용이 물건 들고 일어서기 시 척추기립근의 활동전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lvic Tilting and the Back-belt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Erector Spinae During Lift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3, 2009년, pp.296 - 304  

박형기 (마산대학 물리치료과) ,  김택훈 (한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본 연구는 산업 및 업무 현장의 환경에서의 요통 발생률을 최소화하고자 현재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는 골반 자세와 요통 예방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허리벨트를 사용하여 요부의 척추기립근에 대한 근활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그 결과 벨트 미착용 시 근 활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골반 전방경사시 더 높은 근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요부를 안전하고 요통의 위험요인 들로부터 예방하기에 적합한 요추 전만자세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고, 허리벨트의 사용으로 인해 보다 올바른 물건 들기 자세를 교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pelvic alignments and the back belt on electromyographic(EMG)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during lift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MG activity of erector spinae was greater when the pelvis was tilted anteriorly than w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 및 업무 현장의 환경에서의 요통 발생률을 최소화하고자 현재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는 실제적인 업무 시의 자세와 요통 예방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허리벨트를 사용하여 척추 기립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게를 들고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허리벨트의 착용과 미착용, 골반의 전방경사와 후방경사 상태에서 요부의 척추기립근에 대한 근활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근활성, 근피로의 정도를 알 수 있는 EMG를 사용하여 앉은 자세에서 물건을 들고 일어설 때 골반의 경사방향과 요부근 보호를 위해 대두되고 있는 허리벨트의 착용유무에 따른 척추기립근의 활성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벨트 미착용 시 벨트 착용보다 근활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골반 전방경사시 후방경사보다 일어설 때 더 높은 근활성을 나타냈다.
  • 본 연구는 실험에 결격사유가 없는 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물건을 들고 일어날 때 허리벨트의 착용과 미착용, 골반의 전방경사와 후방경사 상태에 따른 요부의 척추기립근에 대한 근활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 및 업무 현장의 환경에서의 요통 발생률을 최소화하고자 현재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는 실제적인 업무 시의 자세와 요통 예방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허리벨트를 사용하여 척추 기립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게를 들고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허리벨트의 착용과 미착용, 골반의 전방경사와 후방경사 상태에서 요부의 척추기립근에 대한 근활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작업현장과 생활환경에서 수없이 반복 행하여지는 물건을 들고 일어서기시에 골반의 경사 방향에 따른 척추기립근의 활성정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골반의 전방경사 시 후방경사에 비해 근활성 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벨트의 착용 유무에 관계없이 동일하였는데, 이는 요추의 전만이 유지된 상태에서 척추기립근에 더 큰 활동전위를 발생할 수 있다는 Hart 등(1987)의 연구결과와 동일하였고[25], 전방골반자세와 후방골반자세에서 물건을 들어 올릴 때 전방골반자세에서의 활동전위가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온 Delitto와 Rose(1992)의 연구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전도 Biomonitor ME 60001는 어떤 채널을 가지고 있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 Biomonitor ME 60001을 사용하였다. 이 기구는 8채널을 가지고 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Mega Win 2.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 Biomonitor ME 60001을 사용하였다. 이 기구는 8채널을 가지고 있다.
요부 질환의 유발행위는 무엇이 있나? 그 중에서 특히 산업재해의 경우 약 45%가량의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고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에서도 요부 질환이 약 63%에 달하는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2]. 또한 요부 질환의 유발행위로 밀고 당기기, 운반, 이동, 들기, 놓기의 행위가 큰 범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들기, 놓기 행위에서, 그리고 과도한 힘과 동작, 부자연스러운 자세에서 가장 많이 요부질환이 발생함을 보고하고 있다[3]. 앉은 자세에서의 업무에서 보다 편안함을 느끼고 이에 비해 선 자세에서의 업무수행에서 척추기립근에 큰 부하가 걸린다고 보고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 Sarwar, G. Karypis, and J. Konstanb, Analysis of Recommendation Agorithms for E-Commerce, The ACM E-Commerce 2000 Conf., 2000. 

  2. 한국산업안전공단, 2003년 산업재해원인조사, 2005. 

  3. 대한산업안전협, 인력운반작업의 재해예방, 2007. 

  4. G. Leivseth and B. Drerup, "Spinal shrinkage during work in a sitting posture compared to work in a standing posture," Clinical biomechanics, Vol.12, No.7/8 pp.409-418, 1997. 

  5. S. Himbury. Kinetic Method of Manual Handling in Industry, Geneva, Switzerl and: International Labour Office,"1967. 

  6. National Safety Council, "Human kinetics and lifting," National Safety News, Vol.103, pp.44-47, 1971. 

  7. P. Dolan, M. Earley, and A. Adams, "Bending and compressive stresses acting on the lumbar spine during lifting activities," J Biomech, Vol.27, pp.1237-1244, 1994. 

  8. R. S. Delitto and S. J. Rose,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wo techniques for squat lifting and lowering," Phys Ther, Vol.72, pp.438-448, 1992. 

  9. H. F. Farfan and C. Lamy, Mathematical model of the soft tissue of the lumbarspine. In: Buerger AA, Tobis JS, eds, Approaches to the validation of Manipulation Theory, Springfield, III:Charles C Thomas, Publisher, 1977. 

  10. S. M. McGill and R. W. Norman, "Partitioning of the L4-L5 dynamic moment into disc, ligamentous and muscularcomponents during lifting," Spine, Vol.11, pp.666-678, 1986. 

  11. J. T. Carter and L. N. Birrell, Occupational healt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low back pain at work - principle recommendation Faculty of Occupational Medicin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London, 2000. 

  12. M. V. Poppel, The prevention of low back pain in industry PhD thesis, Vrife Universiteit, Amsterdam. Netherlands, 1999. 

  13. R. Op De Beeck and P. Vertongen, "Ceintures dorsales: "Protection" ou "danger" pour le dos Promosafe," Vol.2, pp.31-33, 1995. 

  14. C. R. Reddell, J. J. Congleton, R. D. Huchinson, and J. F. Mongomery, "An evaluation of weightlifting belt and back injury prevention training class for airline baggage handlers," Appl Ergon, Vol.23, pp.319-329, 1992. 

  15. 김민희, 이정아, 정도영, 정민예, "물건 들기 시허리벨트 착용에 따른 하지와 허리의 근활성도 및 각도 비교",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7, No.4, pp.259-266, 2005. 

  16. 구혜란, 이상식, 문정환, "들어올리기 동작에서 상자크기와 척추근의 상관관계", 바이오시스템공학, Vol.29, No.6, pp.531-538, 2004. 

  17. L. Tzu-Hsien, Minimal acceptable handing time intervals for ligting and lower tasks, Applied Ergonomics, pp.1-6. 2003. 

  18. C. Kisner and L. A Colby, Therapeutic exercise, F.A. Davis Company, 2002. 

  19. 노정석, 이충휘, 정보인, 이영희, "골반경사방향과 발살바기법이 물건 들어 올리기와 내리기 시척 추기립근의 활동전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 물리치료학회지, Vol.15, No.1, pp.30-43, 1998. 

  20. J. Perry,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New Jersey, Slack Inc, pp.381-411, 1992. 

  21. G. B. Anderson, R. Ortengren, and P. Herberts. "Quantitative electromyographic studies of back muscle activity related toposture and loading," Orthop Clin North Am, Vol.8, No.1, pp.85-96, 1977. 

  22. S. B. O'sullivan and T. J. Schmitz, Physical ehabilitation, F.A. Davis Company, 2007. 

  23. R. Shepherd and J. Carr, "Reflections on physiotherapy nd the emerging science of movement rehabilitation," Aust J Physiother, Vol.40, pp.39-47, 1994. 

  24. R. S. Delitto, S. J. Rose, and D. W. Apts,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wo techniques for squat lifting," Phys Ther, Vol.67, No.13, pp.29-1334, 1987. 

  25. D. L. Hart, T. J. Stobbe, and M. Jaraiedi, 'Effect of lumbar posture on lifting, Spine," Vol.12, pp.138-145, 1987. 

  26. R. Aspden, "The spine as an arch: A new mathematical model, spine," Vol.14, pp.266-274, 1989. 

  27. G. Earle-Richardson, P. Jenkins, S. Fulmer, C. Mason, and P. Burdick, "An Ergonomic intervention to reduce back strain among apple harvest workers in New York State," Appl Ergonomics, Vol.36, pp.327-334, 2005. 

  28. C. Ammendolia, M. S. Kerr, and C. Bombardier, "Back belts use for prevention of occupational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J Manipulative Physiol Ther, Vol.28, No.2, pp.128-134, 2003. 

  29.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Workplace use of back belts: Review and Recommendation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DHHS(IOSH) Cincinnati, Ohio, pp.94-122, 1994. 

  30. S. McGill, Update on the use of back belts in industry: More data-same conclusions. In : W. Karwowski, W. Marras, (des) Occupational Ergonomics Handboo," Boca Raton (Fla), CRC Press, 1999. 

  31. M. S. Perkins and D. S. Bloswick, "The use of back belts to increase intraabdominal pressure as a means of preventing low back injuries: A survey of the literature," Int J Occup Environ Health, Vol.1, pp.326-35, 1995. 

  32. J. S. Thomas, S. A. Lavender, D. M. Corcos, and G. B. Andersson, 'Efect of lifting belt on trunk muscle activation during a suddenly applied load, Hum Factors," Vol.41, No.4, pp.670-676, 1999. 

  33. J. Cholewicki, K. Juluru, A. Radebold, M. M. Panjabi, and S. M. McGill, "Lumbar spine stability can be augmented with an abdominal belt and/or increased intra-abdominal pressure," Eur Spine J, Vol.8, pp.388-95,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