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반경사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이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Tilt on Muscle Activity of Cervical Erector Spinae & Upper Trapezius While Using a Smartphon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4, 2017년, pp.97 - 103  

송성인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강종호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앉은 자세에서 골반의 앞방향경사와 뒷방향경사에 따른 스마트폰의 사용이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를 알아보고 IoT 디바이스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건강한 20-30대 성인남녀 15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골반앞방향경사와 골반뒷방향경사를 중재한 뒤 5분간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중앙 3분의 근전도 신호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앉은 자세에서 골반앞방향경사의 스마트폰 사용이 골반뒤방향경사와 비교하여 양측 목세움근(p<.001), 왼쪽 위등세모근(p<.001), 오른쪽 위등세모근(p<.002)의 %RVC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골반의 앞방향경사를 통한 앉은 자세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유지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하게 되는 전방머리자세를 방지하여 목과 어깨 주변의 부하를 감소시켜 %RVC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고 사료되며 향후 골반경사에 중점을 둔 새로운 자세교정 IoT 디바이스들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cle activity of cervical erector spinae & upper trapezius while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terior pelvic tilt & posterior pelvic tilt in sitting position. & we also want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IoT devices. Fifteen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개발된 장치들은 스마트폰 사용 시 목과 머리의 위치에 대한 자세교정 장치로서 목과 머리의 정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골반경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으며 골반경사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이 목과 어깨의 근활성도를 측정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골반경사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시 목과 어깨의 근활성도를 알아볼 필요가 있기에 본 연구는 골반경사에 따른 스마트폰의 사용이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를 알아보고 자세교정과 관련하여 IoT 디바이스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최근 IoT 기술의 발달로 전방머리자세 시 경고 기능을 주어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는 디바이스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머리의 정상적인 정렬에 영향을 주는 골반경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앉은 자세에서 골반경사에 따른 스마트폰의 사용이 목과 어깨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30대의 건강한 성인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골반경사에 따른 스마트폰의 사용이 목과 어깨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앉은자세에서 골반앞방향경사와 골반뒷방향경사를 중재한 뒤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근전도 신호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방머리자세를 발생시키는 큰 요인은 무엇인가? 그러나 전방머리자세를 발생시키는 큰 요인은 골반과 허리뼈의 정렬이며 구부정하게 앉은 자세는 허리의 앞굽음 감소와 아래 목뼈를 굽힘시켜 전방머리자세를 발생 시키며, 바로 앉은 자세는 허리의 앞굽음을 유지하여 목 뼈의 정상적인 정렬에 영향을 준다[22]. 도광선에 의하면 의자의 앉은 면이 전방으로 기울여진 집단이 앉은 면의 기울기가 수평이거나 뒷방향으로 기울여진 집단에 비해 목뼈의 머리앞쪽면자세의 변화가 적고 등뼈, 허리뼈의 변화도 적게 나타났으며[23], 우성대의 연구에서는 전방 10도 경사진 의자의 앉은 면이 편평한 의자의 앉은 면보다 허리뼈의 정렬 개선과 경부의 머리 척추각도 변화가 적었으며 목을 비롯한 체간 주위의 근활성도를 낮게 유지시켜 근피로도를 줄여주는데 효과적이었다[24].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하됨으로써 신체적인 문제점은? 소셜 네트워크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수는 증가하였고[4], 스마트폰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5].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됨으로써 생활의 편리함이 증가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신체적인 문제점도 증가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근골격계 관련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2].
반복적인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어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가?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대부분 부적절한 자세로 사용하고 있으며[9], 부적절한 자세는 대표적으로 목과 팔의 장애와 연관되어 있다[10]. 또한, 스마트폰의 반복되는 사용으로 급성 외상, 근섬유의 누적 손상, 근긴장, 스트레스로 인하여 주로 목, 어깨, 허리에 근골격계질환이 발생하며 [11],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해 목에 통증을 느끼는 발현 증세가 나타나고, 목에 통증을 유발한다[12]. 김고경의 연구에 의하면 스마트폰 사용 후 위등세모근의 근피로도와 주관적인 불편도가 증가한다고 하였으며[13], 소윤지와 우영근의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 시 목과 어깨 근육의 피로도와 통증이 증가하며 목 주위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근육의 피로도와 통증을 더욱 증가시킨다고 하였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 G. Lee. (2014). The Comparison of Posture in the Use of Smartphone on Muscle Fatigue of Cervical Erector Spinae & Upper Trapezius in Healthy Adults. Master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 

  2. Y. J. Moon. (2015). Changes of Upper Extremity Muscle on the Hourly with Smart-phone Use.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3), 341-348. DOI : 10.21184/jkeia.2015.09.9.3.341 

  3. S. I. Ryu. (2014). Five years of introduction of smartphone, change of mobile life. Seoul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4. G. Y. Seo. (2013). A study on the utilization methods of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of mobile game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4(2), 125-134. DOI : 10.9728/dcs.2013.14.2.125 

  5. K. S. Ko, M. J. Lee & Y. E. Kim. (2012). A Research on Addictive Use of Smartphone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3(4), 501-516, DOI : 10.9728/dcs.2012.13.4.501 

  6. H. J. Ha & C. D. Lee. (2016). Design of Algorithm for Guidance of Sitting Posture Correction Using Pressure Sensor & Image Processing Interpolation Techniqu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4(1), 37-44. DOI : 10.14801/jkiit.2016.14.1.37 

  7. S. Y. Kang. (2012). A Comparisons of Pelvic, Spine Angle & Buttock Pressure in Various Cross-legged Sitting Posture. Physical Therapy Korea, 19(1), 1-9. DOI : 10.12674/ptk.2012.19.1.001 

  8. J. H. Choi. (2011). Comparisons of Postural Habits, Body Image, & Peer Attachment for Adolesc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 Healthy Adolescents.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7(3), 167-173. DOI : 10.4094/jkachn.2011.17.3.167 

  9. S. H. Yoo. (2012). Effects of Posture, Break Type & Work-Break Schedule on Fatigue during Smartphone use.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0. P. Y. Grace, L. M. Straker & B. Peter. (2005). A comparison of symptomatic & asymptomatic office workers performing monotonous keyboard work-2: Neck & shoulder kinematics. Manual Therapy, 10(4), 281-291. DOI : 10.1016/j.math.2005.01.005 

  11. S. H. Eom. (2013).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ymptoms & smartphone usage.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DOI : 10.12812/ksms.2013.15.2.113 

  12. Y. S. Lee.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Mobile Phone Use Addiction on Teenage Health. Master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13. K. K. Kim. (2013). The Study of Muscle Fatigue & Risks of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from Text Inputting on a Smartphone. Master thesis. Hallym University, Gangwondo. DOI : 10.5143/JESK.2013.32.3.273 

  14. Y. J. So & Y. G. Woo. (2014).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Muscle Fatigue & Pain &, Cervical Range of Motion Among Subjects With & Without Neck Muscle Pain. Phys Ther Korea, 21(3), 28-37. DOI : 10.12674/ptk.2014.21.3.028 

  15. C. H. Yi, W. G. Yoo & M. H. Kim. (2006). The Effect of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al Device During Computer Work. Phys Ther Korea, 13(1), 9-15. 

  16. S. W. Yoo. (2016). An interactive system design for correction of upper body postures of workers at desk. Master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7. J. H. Lee, Y. J. Chee, J. E. Bae, H. S. Kim & Y. h. Kim. (2016). The wearable sensor system to monitor the head & neck posture in daily life.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7(3), 112-118. DOI : 10.9718/JBER.2016.37.3.112 

  18. Y. S. Jeong. (2017). A Study on improving manufacturing environment using IoT technology in small business environment.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7(2), 83-90. DOI : 10.22156/CS4SMB.2017.7.2.083 

  19. S. H. Lee, D. H. Shim & D. W. Lee. (2016). Actual Cases of Internet of Thing on Smart City Industry.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6(4), 65-70. DOI : 10.22156/CS4SMB.2016.6.4.065 

  20. S. H. Hong. (2017). Research on IoT International Strategic Standard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2), 21-26. DOI : 10.15207/JKCS.2017.8.2.021 

  21. E. J. Jung, J. C. Kim, H. I. Jung, H. Yoo & K. Y. Chung. (2017). Mining based Mental Health & Blood Pressure Management Service for Smart Health.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13-18. DOI : 10.15207/JKCS.2017.8.1.013 

  22. P. McClure, K. M. Black & M. Polansky. (1996). The influence of different sitting positions on cervical & lumbar posture. Spine, 21(1), 65-70. DOI : 10.1097/00007632-199601010-00015 

  23. G. S. Do. (2015). Comparing the curvature of the vertebrae & the activity of the muscles in sitt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seat slope. Master thesis. Sahmyook University, Seoul. 

  24. S. D. Woo. (2016). Effects of Spinal Alignment, Activity & Fatigue of Trunk Muscles in Healthy Adults Sitting on $10^{\circ}$ Forward Sloping Seat. Doctoral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25. C. Eleanor. (2010) Cram's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2nd Edition.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43(7), 1378. DOI : 10.1249/01.mss.0000399576.80711.7d 

  26. J. P. Caneiro, P. O'Sullivan, A. Burnett, A. Barach, D. O'Neil, O. Tveit & K. Olafsdottir. (2015). The influence of different sitting postures on head/neck posture & muscle activity. Manual therapy, 15(1), 54-60. DOI : 10.1016/j.math.2009.06.002 

  27. F. P. Kendall et al. (2016. 2. 1).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Physical Therapy. p. 304-305. DOI : 10.1093/ptj/86.2.304 

  28. D. E. Harrison et al. (2003). Increasing the cervical lordosis with chiropractic biophysics seated combined extension-compression & transverse load cervical traction with cervical manipulation: nonrandomized clinical control trial.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26(3), 139-151. DOI : 10.1016/S0161-4754(02)54106-3 

  29. J. H. Park, S. Y. Kang & H. S. Jeon. (2013). The Effect of Using Smart-Phones on Neck and Shoulder Muscle Activities and Fatigue. Physical Therapy Korea, 20(3), 19-26. DOI : 10.12674/ptk.2013.20.3.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