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대혈 기증.보관한 산부의 제대혈 관련 지식 및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 to Cord Blood of Early Postpartum Women after Donating Cord Blood or Storing Cord Blood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5 no.1, 2009년, pp.13 - 23  

김미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유지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박창기 () ,  안현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re is increasing necessity of using cord blood cell worldwide.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rd blood's usage in Korea, the study of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cord blood is needed. Method: A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12 early postpart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높이는.데에 기여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공여 제대혈 은행의 국가적 차원의 운영시스템을 통해 제대혈 활용을 활성화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산부의 제대혈 관련 지식 및 태도와 제대혈 기증과 보관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이다.
  • 본 연구는 제대혈 관련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제대혈 기증과 보관에 관한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제대혈 관련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제대혈 기증과 보관에 관한 관련요인을 규명함으로 제대혈에 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한 제대혈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간호 관리와 국가적 차원의 운영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서울, 경기 소재 2곳의 산부인과 전문병원에서 분만한 산부 212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 제대혈 관련 지식과 태도 측정 도구를 이용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제대혈을 기증 혹은 개인 보관하는 등 제대혈을 활용한 산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제대혈에 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제대혈 기증 혹은 보관에 관한 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 제대혈 공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공여 제대혈 은행의 효율적이고 공정한 차원의 운영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높이는.데에 기여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공여 제대혈 은행의 국가적 차원의 운영시스템을 통해 제대혈 활용을 활성화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rcese, W., Picardi, A., Cerretti, R., Cudillo, L., De Angelis, G., Franceschini, L., De Felice, L., & Postorino, M. (2006). The therapeutic use of cord blood. Cell Preserv Technol, 4(3), 161-168. 

  2. Cho, K. E. (2007 May 14). Nine out of ten pregnant women said "I want to store cord blood". Seoul Medical Today. 

  3. Danzer, E., Holzgreve, W., Troeger, C., Kostka, U., Steimann, S., Bitzer, J., Gratwohl, A., Ticheli, A., Seelmann, K., & Surbeck, D. V. (2003). Attitudes of Swiss mothers toward unrelated umbilical cord blood banking 6 months after donation. Transfusion, 43(5), 604-608. 

  4. Fernandez, C. V., Gordon, K., Van den Hof, M., Taweel, S., & Baylis, F. (2003). Knowledge and attitudes of pregnant women with regard to collection, testing and banking of cord blood stem cells. CMAJ, 18;168(6), 695-698. 

  5. Fox, S. F., Stevens, C., Ciubotariu, R., Rubinsten, P., McCullough, L. B., & Chervenak, F. A. (2007). Umbilical cord blood collection: do patients really understand- J Perinat Med 35, 314-321. 

  6. Gluckman, E. (2000). Ethical and legal aspects of placental/cord blood banking and transplant. Hematol J, 1(1). 67-69. 

  7. Han, H. (2001). Home and abroad status of cord blood bank and proper direction of home cord blood bank. The second symposium of cord blood cell transplantation.(pp 5-6). Seoul. 

  8. I-cord (2006). Survey of storage status and knowledge regarding umbilical cord blood. Cha Heatlh system. 

  9. Kharaboyan, L., Knoppers, B. M., Avard, D., & Nisker, J. (2007). Understanding umbilical cord blood banking what women need to know before deciding, Women's Health Issues, 17, 277-280. 

  10. Kim, T. G. (2008). Usage plans and public medical meaning of cord blood donation. Symposium: How can we share the lives-(pp 61-67). Seoul: PBC. 

  11. Lee, E. Y. (2006). Pregnant women's knowledge regarding cord blood transplantation and awareness regarding usages of cord bl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12. Lee, Y. H. (2006).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and managing system for public cord blood bank.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13. Lee, Y. H. (2008). Usage plans and public medical meaning of cord blood donation. Symposium:How can we share the lives-(pp 68-72). Seoul: PBC. 

  14. MBC (2008). Crisis of umbilical cord blood. Sisa Magazine 2580, February 3. 

  15. Surbek, D. V., Islebe, A., Schonfeld, B., Tichelli, A., Gratwohl, A., & Holzgreve, W. (1998). Umbilical cord blood transplantation: acceptance of umbilical cord blood donation by pregnant patients, Schweiz Med Wochenschr, 2;128(18), 689-695. 

  16. The standard recommendation on the operation of umbilical cord blood bank. (200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17. Yoon, J. H. (2008). Public cord blood bank. Symposium:How can we share the lives-(pp 73-76). Seoul: PBC. 

  18. YTN (2007). Story of cord blood. Na Do Sun the story of life science, January 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