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후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변화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after Hospitalization in Preterm Labor Women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5 no.1, 2009년, pp.24 - 31  

김민경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  이영휘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조인숙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임지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in preterm labor women after hospitalization. Method: Forty seven women with preterm labor who were admitted in two university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y were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n admission day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당일과 입원 5일 스트레스원과 간호 요구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 Min과 Son(2004)은 조산아 분만 이후 임부의 스트레스 변화 연구에서 시기별 대상자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정확한 정보와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시기별 간호중재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의 입원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과 간호요구 수준의 변화, 그리고 그 내용을 조사하여 조기진통 임부를 위한 간호실무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반복측정에 의한 단일그룹 조사연구이다. 임부의 스트레스와 간호요구는 입원 후 24시간 이내와 입원 후 5일에 반복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조기진통 입원 임부의 시기별 스트레스 수준과 간호 요구 변화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조기진통 입원 임부의 시기별 스트레스와 간호 요구 변화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할 목적으로 입원일과 입원 5일의 스트레스와 간호요구를 반복 측정한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H. L. (1984).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 Baggley, A., Navioz, Y., Maltepe, C., Kolen G., & Elnarson A. (2003). Determinants of women's decision making on whether to treat nausea and vomiting of pregnancy pharmacological. J Midwifery Womens Health, 48(5), 322-328. 

  3. Choi, M. K. (2003).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xperiences, perceived anxiety control and the ratio of active coping anxiety sympto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un. 

  4.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pp.19-406 

  5. Coster-Schulz, M. A., & Mackey, M. C. (1998). Women's views of the preterm labor experience. Clin Nurs Res, 1(4), 366-384. 

  6. Cunningham, F. G., Gant, N. F., Leveno, K. J., Gilstrap, L. C., Hauth,J. C., & Wenstrom, K. D. (2005). Williams obstetrics 22th, New York : The McGraw-Hill. 

  7. Ford, M., & Hodnett, E. (1990). Predictors of adaptation in women hospitalized during pregnancy. Can J Nurs Res, 22(4), 37-50. 

  8. Gupton, A., & Heaman, M. (1998). Perceptions of bed rest by women with high-risk pregnancies: A comparison between home and hospital. Birth, 25(4), 252-258. 

  9. Gupton, A., Heaman, M., & Ashcroft, T. L. (1997). Bed re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gh-risk pregnant woman. JOGNN, 26(4), 423-430. 

  10. Heo, H., Hwang, J. Y., Kim, D. G., Lee, H. J., Sim, J. C., & Yang, H. S. (2004). A clinical study of pregnancy and delivery in pregnant women 35 years and older. Taehan Sanbuinkwa Hakhoe Chapchi, 47(3), 458-464. 

  11. Kang, M. C. (2004). Epidemiologic study of preterm birth in Chosu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12. Kim, H. K. (2002). Stress and coping style of women with preterm lab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oo, Y. H. (2005). Analysis of preterm birth rate based on birth certificate data: from 1995 to 2003.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14.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 Publishing Company. 

  15. Lee, P. S. (1995). A study on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tus, and nursing needs and performance of the premature labor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Lee, P. S., & Yoo, E. G. (1996). A study on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tus, and nursing needs of the pregnant women hospitalized by premature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1), 76-91 

  17. Lee, S. A. (2006). Influence the Mandala art therapy exerts on the anxiety of labor of the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8. Lee, S. Y. (2003). A correlational study on parents' stress and family function of childhood cancer ill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MacKinnon, K. (2006). Living with the threat of preterm labor: Women's work of keeping the baby in. JOGNN, 35(6), 700-708. 

  20. Min, H. S., & Son, M. J. (2004). The change of the mother's stress pattern with time elapse after giving birth to premature babies. J Korean Acof Nurs, 34(7), 1265-1276. 

  21. Moon, D. H. (2006). The comparative study with fatigue, anxiety and stress between full-term and preterm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2. Rines, A. R., & Montag, M. I. (1976). Nursing concept and nursing care. New York: A Wiley Biomedical Publication. 

  23. Shin, J. C. (2006). Recent trends in management of preterm labor. Taehan Sanbuinkwa Hakhoe Chapchi, 49(7), 1403-1411. 

  24. Whang, J. E., Noh, J. R., Kim, T. J., Park, S. H., Lee, J. S., Ann, K. M., Yang, S. H., & Lee. J. H. (2000). Neonatal outcom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from spontaneous and indicated preterm delivery. Taehan Sanbuinkwa Hakhoe Chapchi, 43(4), 591-596. 

  25. White, M., & Ritchie, J. (1984). Psychological stressors in antepartum hospitalization: Reports from pregnant women. MCN Am J Matern Child Nurs, 13(1), 47-56. 

  26. Wiklund, I., Matthiesen, S., Klang, B., Berit, A., & Arvidson, R .(2002). A comparative study in Stockholm, Sweden of labour outcome and women's perceptions of being referred in labour. Midwifery, 18(1), 12-20. 

  27. Wilson-Barnett, J., & Carrigy, A. (1978). Factors influencing patients emotional reactions to hospitalization. J Adv Nurs, 3(3), 221-229. 

  28. Yoon, I. S. (1995). A study on emotions, feelings of discomfort, and nursing needs of the women in the possibility of abortion: Centered on the threatened abortion and habitual abortion during hospitalizatio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1), 94-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