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서울 지역 대기 부유세균 분포 현황 조사
Atmospheric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Bacteria in Part of Seoul Area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5 no.6, 2009년, pp.493 - 502  

김기연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 연구소) ,  김윤신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 연구소) ,  이철민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 연구소) ,  조만수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 연구소) ,  변상훈 (고려대학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ntrations of outdoor airborne bacteria measured in Seoul, Korea for one year (Jan. 2008~Dec. 2008) ranged from $500CFU/m^3$ to $7,500CFU/m^3$. In monthly concentration distribution, the level of outdoor airborne bacteria was highest in September and October and low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적 유해인자 중 부유세균을 대상으로 일부 서울 지역의 실외 기후 조건에 따른 이들의 분포 특성을 1년 기간동안 현장조사를 통해 실증 데이터를 확보하여 대기환경보건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 대시의 바이오에어로졸은 무엇에 의해 발생되는가? 지구 대기는 생물학상 오염물질, 즉 바이오에어로졸이 상당히 존재하고 있으며, 토양과 거기에 분포하는 식물상, 그리고 여러 형태의 인간들의 행위에 의해 발생된다. 부유 미생물들의 대기 중 생존과 분포양상은 생물학적 인자와 기상학적 요인들에 의해 조절되고(Jones and Harrison, 2004), 대기 중으로 방출된 미생물들은 실외 대기오염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Lighthart, 1997).
대기 중 생물학적 오염물질은 사람과 가축에게 어떤 질병을 유발하는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생물학적 오염물질들은 입자상 물질에 해당되는 미세분진에 흡착된 후 호흡을 통해 사람과 가축의 폐포에 도달하여 폐렴, 천식, 기관지염, 비염 등과 같은 호흡기 계통의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ahdy et al., 1997; Giorgio et al.
2008년에 측정된 서울 지역 대기에 분포하는 부유세균 중 우점종은 무엇인가? 05). 측정된 실외 부유세균을 동정한 결과Bacillus 계열들이 주로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en, A.A. (1958) New sampler for collection, sizing and enumeration of viable airborne particles, J. Bacteriol., 76, 471-484 

  2. Bovallius, A., B. Bucht, R. Roffey, and P. Anas (1978) Threeyear investigation ofnatural airborne bacterial flora at four localities in Sweden, Appl. Environ. Microbiol., 63, 847-852 

  3. Douwes, J., P. Thorne, N. Pearce, and D. Heederik (2003) Bioaerosol health effects and exposure assessment: progress and prospects, Ann. Occup. Hyg., 47, 187-200 

  4. Fang, Z., Z. Ouyang, H. Zheng, X. Wang, and L. Hu (2007)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in outdoor environments in Beijing, China, Microb. Ecol 54, 487-496 

  5. Giorgio, D., A. Krempff, H. Guiraud, P. Binder, C. Tiret, and G. Dumenil (1996) Atmospheric pollution by airborne microorganisms in the city of Marseilles, Atmos. Environ., 30, 155-160 

  6. Jones, A.M. and R.M. Harrison (2004)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atmospheric bioaerosol concentrations-a review, Sci. Total Environ., 326, 151-180 

  7. Ju, T.Z., A.N. Suo, and Y.J. Tian (2003) Analysis on aerobiologia in Lanzhou, Ind. Saf. Environ. Prot., 29, 17-19 (in Chinese) 

  8. Kim, K.Y., G.Y. Jang, J.B. Park, C.N. Kim, and K.J. Lee (2006a) Field study of characteristics of airborne bacteria distributed in the regulated public building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6,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Y., J.B. Park, C.N. Kim, and K.J. Lee (2006b) Assess-ment of airborne bacteria and particulate matters distributed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Korean J. Environ. Health, 32, 254-2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uo, Y.M. and C.S. Li (1994) Seasonal fungus prevalence inside and outside of domestic environments in the subtropical climate, Atmos. Environ., 19, 3125-3130 

  11. Laumbach, R.J. and H.M. Kipen (2005) Bioaerosols and sick building syndrome: particles, inflammation, and allergy, Curr. Opinion Allergy Clin. Immunol., 5, 135-139 

  12. Lee, C.M., Y.S. Kim, T.H. Lee, W.S. Park, and S.C. Hong (2004)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ioaerosol concentration in public facilities, Korean J. Environ. Sci., 13, 215-2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C.R., K.Y. Kim, C.N. Kim, D.U. Park, and J.H. Roh (2005) Investigation on concentrations and correlations of airborne microb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general hospital,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5, 45-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i, C.S. and L.Y. Hsu (1996) Home dampness and childhood respiratory symptoms in a subtropical climate, Arch. Environ. Health 51, 42-46 

  15. Lighthart, B. and B.T. Shaffer (1995) Airborne bacteria in the atmospheric surface layer: temporal distribution above a grass seed field, Appl. Environ. Microbial., 61, 1492-1496 

  16. Lighthart, B (1997) The ecology of bacteria in the alfresco atmosphere, FEMS Microbiol. Ecol., 23, 263-274 

  17. Macher, J.M., F.Y. Huang, and M. Flores (1991) A two-year study of microbiological indoor air quality in a new apartment, Arch. Environ. Health, 46, 25-29 

  18. Mahdy, H.M. and W.A. El-sehrawi (1997) Airborne bacteria in the atmosphere of EL-Taif region, Saudi Arabia, Water Air Soil Pollut., 98, 317-324 

  19. Marthi, B. and B. Lighthart (1990) Effects of betaine on the enumeration of airborne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56, 1286-1289 

  20. Olson, D.K. and S.M. Bark (1996) Health hazards affecting the animal confinement worker, Am. Assoc. Occup. Health Nurse J., 44, 198-204 

  21. Pastuszka, J.S., U.K.T. Paw, D.O. Lis, A. Wlazlo, and K. Ulfig (2000) Bacterial andaerosol in indoor environment in Upper Silesia, Poland, Atmos. Environ., 34, 3833-3842 

  22. Reponen, T., S.V. Gazenko, S.A. Grinshpun, K. Willeke, and E.C. Cole (1998) Characterisitics of airborneactinomycete spores, Appl. Environ. Microbiol., 64, 3807-3812 

  23. Shaffer, B.T. and B. Lighthart (1997) Survey of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at four diverse locations in Oregen: urban, rural, forest, and coastal, Microb. Ecol., 34, 167-177 

  24. Straus, D.C., J.D. Cooley, W.C. Wong, and C.A. Jumper (2003) Studies on the role in Building, Arch. Environ. Health, 58, 475-478 

  25. Tong, Y.Y. and B. Lighthart (1997)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igmented outdoor atmospheric bacteria and solar radiation, Photochem. Photobiol., 65, 103-106 

  26. Walter, M.V., B. Marthi, V.P. Fieland, and L.M. Ganio (1990) Effect of aerosolization on subsequent bacterial survival, Appl. Environ. Microbiol., 56, 3468-3472 

  27. Wu, P.C., H.J. Su, and C.Y. Lin (2000) Characteristics of indoor and outdoor fungi at suburban and urban homes in two seasons, Sci Total Environ., 253, 111-118 

  28. Yousefi, V. and D.B.K. Rama (1992) Monitoring of air for microbial and metal contamination at selected sites in the vicinity of Johannesburg, South Africa, Sci. Total Environ., 116, 157-167 

  29. Zhu, H., P.E. Phelan, T. Duan, G.B. Raupp, H.J.S. Fernando, and F. Che (2003) Experimental study of indoor and outdoor airborne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empe, Arizona, USA, Aerobiologia, 19, 201-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