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대간 등산로 이용행태 및 환경영향 수준에 대한 이용객 인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il Use and Trail Users' Perception Regarding Visitor Impact Levels on Baekdudaegan Trails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6, 2009년, pp.603 - 612  

유기준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김정민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백두대간 등산로가 지닌 자원과 이용의 특성, 등산이용에 따른 환경영향에 대한 등산객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이용과 관리상의 현안과제를 도출하고 등산경험 제고와 보다 효과적인 백두대간 등산로 관리정책의 입안과 집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백두대간 등산로를 입지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별 이용행태와 등산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요소들의 영향수준에 대한 등산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행태는 구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백두대간 등산로는 휴양이나 여행과 같은 다목적의 이용보다는 순수한 등산의 목적지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주변 생태적 환경은 이용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등산로 폭과 같은 물리적 환경의 변형은 백두대간 이용경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 지표의 경우는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현행 백두대간 등산로의 이용밀도가 낮은 것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등산로의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에의 영향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현재까지 이용 경험의 질 저하는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향후 이용수준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제환경 영향요소간의 상호작용과 변화를 모니터할 수 있는 체계적 관리방안의 도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which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ffective management policy for Baekdudaegan Trail and user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il use and users'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trail. For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두대간 등산로의 효율적 관리는 이용에 의해 발생되는 자연생태계와 이용주체에 대한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영향의 통합적 관리로부터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종주 등반 목적으로 선호되고 있는 국가의 대표적 자연자원인 백두대간 등산로가 지닌 자원과 이용의 특성을 파악하고 등산객의 등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등산로 환경인 물리적, 생태적, 사회적 환경에 대한 등산객의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등산로 이용객의 만족을 높이고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백두대간 등산로 관리정책의 입안과 집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백두대간은 국토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자연생태계의 핵심 축으로 보전의 가치가 매우 높아 백두대간 중 생태계ㆍ자연경관 또는 산림 등에 대하여 특별히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제6조 제4항 및 동법 시행령 제7조 제1항). 백두대간보호지역 지정의 목적은 이용을 위한 무분별한 개발행위로 인한 훼손 방지, 국토의 건전한 보전, 쾌적한 자연환경 조성을 통해 산림자원을 포함한 생태계 요소와 지역 내 자연환경과 문화자원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인 이용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영향 요인의 조사를 위해 백두대간 등산로를 이용한 등산객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Wager가 제시한 이용객만족도 중 사회적 만족도와 수용력 개념을 이용하여 도출된 설문항목을 중심으로 이용목적과 방문횟수, 동반유형과 동반자수, 체류일정 등 이용행태에 관한 항목과 이용객 영향으로 등산로의 생태적 환경(등산로 주변 식물다양성, 뿌리노출 정도), 물리적 환경(노면 경화 정도, 샛길, 등산로 폭, 관련 시설), 사회적 영향(등산객 조우 수, 혼잡정도, 만족도) 요인에 대한 인식을 묻는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의 등산로 관련 연구는 어떤 것에 주로 주안점을 두어왔는가? 그동안 국내에서의 등산로 관련 연구는 주로 국립공원 내 분포한 탐방로의 이용행태, 탐방로 훼손실태 및 정비에 주안점을 두어왔고(Park et al., 2000; Kwon et al., 2004; Kwon et al., 2005; Yoo et al., 2007) 국립공원 외의 산지 등산로 관련 논문들과 보고서들 역시 등산로 훼손과 이에 대한 정비 방안(KFS, 2001; KFS and NCLF, 2004; Kim, 2006; KMSC, 2008)에 주로 집중되어 온 경향이 있다. 이는 등산로 이용에 따라 발생되는 산림생태계의 훼손에 대한 관리주체 차원에서의 복구․복원 측면이 우선시 되어온 결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등산로가 지닌 자원과 이용의 특성, 등산이용에 따른 환경영향에 대한 등산객 인식을 파악하고자 수행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백두대간 등산로를 입지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별 이용행태와 등산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요소들의 영향수준에 대한 등산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행태는 구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백두대간 등산로는 휴양이나 여행과 같은 다목적의 이용보다는 순수한 등산의 목적지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주변 생태적 환경은 이용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등산로 폭과 같은 물리적 환경의 변형은 백두대간 이용경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 지표의 경우는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현행 백두대간 등산로의 이용밀도가 낮은 것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등산로의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에의 영향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현재까지 이용 경험의 질 저하는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향후 이용수준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제환경 영향요소간의 상호작용과 변화를 모니터할 수 있는 체계적 관리방안의 도입이 필요하다.
등산로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등산로는 산악 지역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산지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공간과 사람들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자체가 중요한 산악 자원의 일부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등산이용의 주된 자원으로서 등산로는 현대인과 도시민에게 녹색갈증 해소 등을 위한 휴양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산악 생태계에 이용에 따른 영향을 미치는 상충된 기능을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Graber, D.M.(1986) Conflicts between wilderness users and black bears in Sierra Nevada National Park. In Proceedings of National Wilderness Research Conference: Current Research. USDA Forest Service. Intermountain Research Station. General Technical Report INT-212. Ogden, Utah. pp.197-202 

  2. Hammitt, W.E. and D.N. Cole(1987) Wildland Recreation: Ecology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341pp 

  3. Kim D.W.(2006)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and maintenance direction of the trails in urban area,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67pp 

  4. Korea Mountaineering Support Center(2008) A study on satisfaction of trail visitors, National Commission for Life Forest. KMSC, Seoul, 214pp 

  5. Korea Forest Service(2001) Trail survey and management manual. KFS, Seoul, 222pp 

  6. Korea Forest Service(2006) Master Plan for Baekdudaegan KFS, Seoul 

  7. Korea Forest Service(2007) Trail criteria and managerial research. NCLF, Seoul, 214pp 

  8. Korea Forest Service and National Commission for Life Forest(2004) Ecological trail management manual by deterioration typ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oul, 188pp 

  9. Kuss, F.R., A.R. Graefe and J.J. Vaske(1990) Visitor Impact Management: A review of research. National Parks and Conservation Association. Washington D.C. 255pp 

  10. Kwon T.H., D.W. Kim and J.W. Lee (2005) Trail Deterioration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9(2):130-138 

  11. Kwon T.H., J. W. Lee and D.W. Kim(2004) 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Kor. J. Env. Eco. 18(2): 175-183 

  12. Manning, R.E.(1979) Strategies for Managing Recreational Use of National Parks. Parks 4(1): 13-15 

  1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07) White Book of Sports 200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oul. Korea, 489pp 

  14. National Commission for Life Forest(2006) Life zone forest trail survey manual. NCLF, Seoul, Korea, 260pp 

  15. National Commission for Life Forest(2006) Policy for national forest trail system, NCLF, Seoul, Korea, 96pp 

  16. Park J.G. and W.B. Bang(2000)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eople's Mountaineering the Puk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13:721-736 

  17. Ream, C.H.(1979) Human-Wildlife Conflicts in Backcountry: Possible solutions. In Proceedings of Recreational Impacts on Wildlands. Report No. R-6-001-1979. USDA.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gion. Seattle, Washington. pp 153-163 

  18. Singer, F.J., D.K. Otto, A.R. Tipton and C.P. Hable(1981) Home rangers, Movement and Habitat Use of European Wild Bear in Tennessee. J. of Wildlife Management 45(2): 343-353 

  19. Wager, J.A.(1964)The carrying capacity of wildlands for recreation, Society of American Forests, Forest Science Monograph 7, Washington D.C., 23pp 

  20. Wall, G. and C. Wright(1977) The environment impact of outdoor recreation. Department of Geography Publication Serious No 11. University of Ontario, Waterloo, 69pp 

  21. Yoo, K.J. and T.H. Kwon(2004) Visitors' Perceptions on Trail Use in Korean National Parks: Case studies in Bukhansan and Chi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8(4): 437-445 

  22. Yoo K.J., W. Cho, T.H. Kwon and K.S. Cho(2007) Users' Attitudes for the Trail Structures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in the Case Study of Eorimok. Kor. J. Env. Eco. 21(2): 168-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