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수피해 발생빈도-피해액 관계분석을 통한 지역별 홍수피해특성 분석
Analysis of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using Relationship between Flood Frequency and Damage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9 no.5, 2009년, pp.87 - 92  

박태선 (국토연구원) ,  최민하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여창건 (홍익대학교) ,  이승오 (홍익대학교 건설공학부)

초록

현재까지의 치수대책이나 복구대책은 대부분 당해 연도의 지역별 피해액만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홍수 발생빈도와 홍수피해액 관계를 분석하면 지역의 홍수피해특성을 고려한 보다 합리적인 치수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빈도 분석을 이용하여 과거 38년('70~'07)간의 전국 시군구별 홍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무차원 홍수피해 발생빈도와 피해액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분면적 해석방법을 도입하여 전국 시군구의 홍수피해 유형을 다빈도-대피해 지역, 다빈도-소피해 지역, 소빈도-대피해 지역, 소빈도-소피해 지역이라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활용하면 시군구별로 홍수피해액별 발생빈도와 발생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손쉽게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치수방어년을 설정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발생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치수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거나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considered only with the concerned regional damage costs whenever the restoration and flood control measures were established in Korea. I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flood frequency and damages is quantitatively analyzed, more resonable and reliable countermeasure for flood prot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별 홍수피해 자료가 특정한 지점에서 관측된 자료가 아니라 해당 지역의 홍수피해를 종합하였다는 점에서 지역의 홍수피해특성을 통계학적으로 대표할 수 있기 때문에 점빈도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과거의 홍수피해액을 통계분석하는 확률적 개념에 근거하여 발생빈도와 피해액을 중심으로 피해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별 홍수피해특성을 통계학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 홍수피해액을 이용하여 점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홍수피해특성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의 공식 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행정자치부, 2007), 그동안의 행정구역 변화를 현재의 행정구역에 맞도록 재조정하였고, 각 연도의 홍수피해액도 2007년 불변가격으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229개 시군구의 최근 38년간('70~'07) 홍수피해자료를 점빈도 분석하여 시군구별로 홍수피해 발생빈도-피해액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빈도분석이란 무엇인가? 빈도분석이란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수문변량을 확률통계학적 이론을 토대로 특정 크기의 수문량이 발생하는 빈도를 결정하거나 어떤 빈도로 발생되는 수문량의 크기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문량의 빈도특성을 규명하는 빈도분석은 일반적으로 점빈도분석(point frequency analysis)과 지역빈도분석(regional frequency analysis)으로 대별된다.
빈도분석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빈도분석이란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수문변량을 확률통계학적 이론을 토대로 특정 크기의 수문량이 발생하는 빈도를 결정하거나 어떤 빈도로 발생되는 수문량의 크기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문량의 빈도특성을 규명하는 빈도분석은 일반적으로 점빈도분석(point frequency analysis)과 지역빈도분석(regional frequency analysis)으로 대별된다.
홍수피해에 대한 연구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유종현 등(2004)은 Bayesian 이론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한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한 후, HEC-GeoRAS, HEC-RAS 및 ArcView를 이용하여 범람면적을 추정하여 범람면적별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다. 이처럼 홍수피해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범람지역을 예측하여 홍수피해액을 산정하는 연구들이다. 반면에, 홍수피해액 통계자료에 빈도분석 개념을 도입하여 시군구별 홍수피해 특성을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계량적으로 비교·분석한 연구는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건설교통부 (2001) 수자원장기종합계획 (Water Vision 2020) 

  2. 박태선 외 (2005)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연 2005-6, 국토연구원 

  3. 심명필 (2004)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방법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건설교통부 

  4. 윤용남 (2003) 공업수문학, 청문각 

  5. 이건행, 박석근, 김형수, 임우생 (2006)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 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홍수피해액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4B호, pp. 363-369 

  6. 통계청 (2002) 시군구 100대 지표 

  7. 행정자치부 (2007) 재해연보 2007 

  8. 유종현, 이충성, 김형수, 심명필 (2004) Bayesian 기법을 이용한 홍수피해액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4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pp.742-747 

  9. Murray, A.T., Shyy, T.K. (2000) Integrating attribute and space characteristics in choropleth display and spatial data m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4, pp. 649-6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