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노년층의 의복의 자아 근접성, 나이 정체성, 자아실현 사이의 상호연관성 분석
Exploratory Correlation Analysis among Age Identity,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and Self-Actualization for Older Persons in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12, 2009년, pp.1897 - 1909  

이영아 (Dept. of Apparel, Educational Studies, & Hospitality Management, Iowa Stat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e(2007)의 연구에서 노년들의 의복에 대한 자아 근접성은 그들의 자아실현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설하였으나 가설과는 반대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나이 정체성이 자아실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세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은 이전의 연구들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기에 Lee(2007)의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하기위한 부가 연구가 필요하여졌다. 이 논문은 Lee(2007)의 연구결과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노년층의 의복에 대한 자아 근접성, 나이 정체성, 자아실현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세 변수와 노인들의 나이와 성별을 묻는 설문지를 미국 전역 50개 주의 1,700명의 노인들에게 배포하여 195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미국 인구 통계청의 연령 구분 체계에 따라 설문지에 응답한 노인들을 세 분류의 나이(65세와 74세 사이, 75세와 84세 사이, 85세와 그 이상)로 구분지어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노인들의 나이 정체성은 나이 85세 이상의 노인들을 제외하고는 의복의 자아 근접성과 그다지 상호 연관성이 많지 않음을 입증 하였다. 이 결과는 자아실현을 달성하지 못한 노인들은 의복을 자아실현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 사용 할 수 있다고도 해석되어 질 수 있다. 세변수들의 상호 연관성 분석은 75세와 84세 사이의 노인들은 나머지 두 연령층의 노인들(65세와 74세 사이, 85세와 그 이상)과 상당히 다름을 입증하였다. 이는 75세와 84세 사이의 노인들이 다른 나이층의 노년들 보다 더 많은 심리적 과도기를 거치고 있음일 수도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노년층이라 구분지어지는 연령대가 높아져 간다는 것이 입증되어 졌으며 과거 50세를 넘긴 이들이 자신들을 노년층이라 생각 하였었다면 이제는 노인들 자신들도 그들을 더 이상 노인으로 구분 짖는 기준선이 적어도 미국에서는 불명확해 지고 있음이 보인다. 자아실현 변수는 의류학 분야에서는 이제까지 상당히 추상적으로만 사용되어져 왔고 측정도구로는 많이 상용화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아실현의 세부 변수들을 토대로 의복과의 상호 관련 연구들이 앞으로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large-scale research project contributes to the theory development in the importance of clothing to the self and in the way that older persons might age successfully by fulfilling the need for self-actualization by incorporating a primary resource environment, such as clothing into their self-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uch a person was able to tie the past and the future to the present in meaningful continuity; appeared to be less burdened by guilt, regrets, and resentments from the past than was the non-self-actualizing person, and aspirations were tied in a meaningful way to present working goals. Based on this theoretical ground, this researcher wanted to observe whether older persons who were highly self-actualized might have a similar age identity to their chronological age and then this similar age identity might contribute to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 , path analysis) also need to be completed to understand direct or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In terms of an empirical approach, the benefit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possibilities for older persons to use clothing as a resource to maintain or improve their daily activities or lives.
  • The purpose of a large research project was to contribute to theory development in the importance of clothing to the self and in the way that older persons might age successfully by fulfilling the need for selfactualization by incorporating a primary resource environment, i.e., clothing, into their self-system. Lee (2007) investigated only direct impacts of the PCS on overall self-actualization and of overall self-actualization on age identity.
  • This research focused on exploring correlations among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PCS), Age Identity (AI), and Self-Actualization (SA). Correlation analysis among subscales of each construct supported the negative path effect of PCS on SA.
  • Clothing is one human environmental resource and can be used to meet various levels of needs for older persons; however, still little is known about the meaning of clothing to themselves and the way to use clothing to meet older persons' various levels of needs.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is unexplored area so it can demonstrate the way that clothing can be a facilitator of their various daily activities to age successfully, especially with regard to role which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successful aging plays in self-system.
  • This study explored social/psychological aspects of older persons' lives using psychological variables (i.e., PCS, age identity, self-actualiz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ak, B. (1987). Cognitive age: A new multidimentional approach to measuring age identity.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5(2), 109-128 

  2. Baum, S. K., & Boxley, R. L. (1983). Age identification in the elderly. The Gerontologist, 23, 532-537 

  3. Chowdhary, U. (1988). Self-esteem, age identification, and media exposure of the elderly and their relationship to fashionabilit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7(1), 23-30 

  4. Chowdhary, U. (2000). Correlates of apparel significance among older men and wome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and Home Economics, 24(3), 150-159 

  5. Combs, A. W., & Snygg, D. (1959). Individual behavior: A perceptual approach to behavior.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6. Creekmore, A. M. (1974). Clothing related to body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er self (Research Report No. 239). East Lansing, MI: Michigan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7. Lee, J. (1997).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Its relationship to self-perception, clothing deprivation and gender among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8. Lee, Y. A. (2005). Older persons' successful aging: Relationships among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age identity, and self-actual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9. Lee, Y. A. (2007). A conceptual model for studying the impact of clothing, self-actualization, and psychographic variables o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60th annual scientific meeting 'The era of global aging: Challenges & opportunities,' 47(1), 710-711 

  10. Lee, Y. A., & Sontag, M. S. (2007). Validation of the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scale for older pers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6), 848-858 

  11. Linn, M. W., & Hunter, K. (1979). Perception of age in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34, 46-52 

  12. Lynn, M. L. (1990).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consum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Urbana 

  13. Maslow, A. H. (1970).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4. Pasnak, M. F. D., & Ayres, R. W. (1969). Clothing attitude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novators. Journal of Home Economics, 61(9), 698-702 

  15. Pederson, E. L. (1989). Clothing: A basic human need? Home Economics FORUM, 3(2), 18-19 

  16. Rowe, J. W., & Kahn, R. L.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A Dell Trade Paperback 

  17. Salant, P., & Dillman, D. A. (1994). How to conduct your own survey. New York: Wiley 

  18. Shostrom, E. L. (1987). Personal Orientation Inventory (POI) manual. San Diego,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19. Sontag, M. S. (1978). Clothing as an indicator of perceived quality of life.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20. Sontag, M. S., & Lee, J. N. (2004).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scal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2(4), 161-177 

  21. Sontag, M. S., & Schlater, J. D. (1982).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Evolution of a concep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 1-8 

  22. U.S. Bureau of the Census. (2001). The 65 years and over population: 2000.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3. U.S. Bureau of the Census. (2005). Current population reports, 65+ in the United States: 2005 (No. P23-209).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4. Vreeman, A. L. (1985) Apparel purchase behavior: An investigation of apparel as a high involvement produ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Urban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