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상지, 상백피, 상엽은 모두 뽕나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의학에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왔다. 최근 이들의 미백효능이 발견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 침착은 자선에 대한 정상적인 방어기전이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색소침착은 심각한 미용적 문제를 가져온다. 최근 약침이 피부 미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발효와 열처리는 미백화장료 가공의 최신 경향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이 발효와 열처리 후에 피부 미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상지, 상백피, 상엽을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1) 비발효, 비열처리, (2) 비발효, 열처리, (3) 발효, 비열처리, (4) 발효, 열처리한 그룹들에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가 대체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결론 : 주근깨, 흑색종, 간반(肝斑) 등 비정상적인 색소 침착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 제조에 있어, 발효 및 열처리 방식을 적용하면 보다 나은 미백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erbal acupuncture is made by combining acupuncture’s effect and herb’s effect. To produce these herbal acupuncture liquid, it would be better to use heating and fermentation technique studied in this artic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DH, Han SB, Park JS and Han MJ. 

  2. Park SJ, Kim DH, Paek NS and Kim SS. 

  3. Jang HD, Kim HJ, Min BJ, Cho JH, Chen YG, 

  4. Kim SD, Ku YS, Lee IZ, Ki)m MK and Park 

  5. Kusano G, Shibano M. A Try to revive 

  6. Cabanes J, Chazarra S. Kojic acid, a cosmetic 

  7. Chakrabotry AK, Funasaka Y, Komoto M and 

  8. Shin NH, Ryu SY, Choi EJ, Kang SH, Chang 

  9. Hearing VJ and Jimenez M. Mammalian 

  10. Maeda K and Fukuda M. Arbutin : mechanism 

  11. Butt MS, Nazir A, Sultan MT and Schroen K. 

  12. Baek S, Kim J, Kim D, Lee C, Kim J, Chung D 

  13. Shiino M, Watanabe Y and Umezawa K. 

  14. Joshi PC, Carraro C and Pathak MA. 

  15. Siegrist W and Eberle AN. In situ melanin 

  16.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17.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18. Adhikari A, Devkota HP, Takano A, Masuda K, 

  19. Bernard P and Berthon JY. Resveratrol : an 

  20. Lee KT, Kim BJ, Kim JH, Heo MY and Kim 

  21. Lee KT, Lee KS, Jeong JH, Jo BK, Heo MY 

  22. Wang KH, Lin RD, Hsu FL, Huang YH, Chang 

  23. Antai SP. Enrichment of nutrient quality of 

  24. Tanaka H, Yamaba H, Kosugi N, Mizutani H and 

  25. Andre P. Hyaluronic acid and its use as a “rejuvenation” agent in cosmetic dermatology. Seminars in cutaneous medicine and surgery. 2004 ; 23(4) : 218-22. 

  26. Shim T, Kim S, Byun S, Lee Y, Cho J, Kim D, 

  27. Jimbow K, Alena F, Dixon W and Hara H. Regulatory factors of pheo- and eumelanogenesis in melanogenic compartments. Pigment cell research / sponsored by the European Society for Pigment Cell Research and the International Pigment Cell Society 1992 ; 5 (Suppl2) : 36-42. 

  28. Prota G. Regulatory mechanisms of melanogenesis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