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2 no.2, 2009년, pp.145 - 151  

지선옥 (중부대학교 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백피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사용하여 전자공여능, ABTS,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백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1,0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65.8%, 에탄올추출물은 87%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1,0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89.3%, 에탄올추출물은 77.1%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e 저해활성은 $1,0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100%, 에탄올추출물은 96.2%를 보여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NO 소거능은 $5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43.5%, 에탄올추출물은 53%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같은 농도에서 대조구인 BHA의 43.8%와 유사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79.6%, 에탄올추출물은 93.5%로 나타나 대조구인 비타민 C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 미백효과가 우수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활성정도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ABTS 저해활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험에서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whitening effect of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of mulberry root bark were 65.8% and 87.0% in the DPPH assay at $1,000\;{\mu}g/ml$ ; 8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상백피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사용하여 전자공여능, ABTS,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백피의 열수 및 알코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 활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증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효과와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한 미백효과를 동시에 검토하여 기능성화장품 등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는 무슨 질병을 일으키는가? ,1992; Reiter, 1995; Yang et al., 2006)으로 만성기관지염, 천식 등의 기관지 질환, 위궤양 등의 소화기 질환, 국소빈혈,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심장질환, 파킨슨씨병, 알츠하이머 병 등의 뇌 및 신경 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및 여러 가지 암 등의 질병을 일으 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ter, 1998; Li et al., 2000).
상백피는 무엇인가? 상백피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한 낙엽교목인 뽕나무속 식물의 근피로, 예로부터 해열, 항경련, 항알러지, 항염증작용과 더불어 이뇨촉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 려져 왔다(Kim et al., 1995).
상백피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사용하여 전자공여능, ABTS,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상백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1,000 μg/ml에서 열수추출물은 65.8%, 에탄올추출물은 87%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0 μg/ml에서 열수추출물은 89.3%, 에탄올추출물은 77.1%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e 저해활성은 1,000 μg/ml에서 열수추출물은 100%, 에탄올추출물은 96.2%를 보여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NO 소거능은 500 μg/ml에서 열수추출물은 43.5%, 에탄올추출물은 53%를 나타내었는 데 이는 같은 농도에서 대조구인 BHA의 43.8%와 유사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0 μg/ml에서 열수추출물은 79.6%, 에탄올추출물은 93.5%로 나타나 대조구인 비타민 C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 미백효과가 우수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활성정도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 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ABTS 저해활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험에서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2. Cho, Y.J., I.S. Ju, O.J. Kwon, S.S. Chun, B.J. An and J.H. Kim. 2008.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49-54 

  3. Cho, Y.J., S.S. Chun, H.J. Kwon, J.H. Kim, K.H. Lee, B.J. An and J.W. Choo. 2006. Inhibitory effects of water and 80% 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Morus alba L.)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xanthine oxid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114-124 

  4. Choe, S.Y. and K.H. Yang.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BHA). Korean J. Hood Sci. Technol. 12:283-288 

  5. Choi, C.H., E.S. Song, J.S. Kim and M.H. Kang.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216-1220 

  6. Ding, A.H., C.F. Nathan and D.J. Stuhr. 1988. Release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active oxygen intermediates from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J. Imuno. 141:2407-2412 

  7. Duke, E.J., P. Joyce and J.P. Ryan. 1973. Characterization of alternative molecular forms of xanthine oxidase in the mouse. Eur. J. Biochem. 187:131-140 

  8. Halliwell, B., J.M.C. Gutteridge and C.E. Cross.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J. Lab. Clin. Med. 119:598-620 

  9. Hatano, T., T. Tasuhara, T. Fukuda, T. Noro and T. Okuda. 1989. Phenolic constituents of licoricell. Structures of licopyranocoumarin, licoarylcoumarin and glisoflavone, and inhibitory effects of licorice phenolics on xanthine oxidase. Chemical & Pamaceutical Bulletin 37:3005-3009 

  10. Hikino, H., Y. Mizuno, T. Oshima and C. Konno. 1985. Isol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Moran A, a glycoprotein of Morus alba root barks. Plant Medica. 51:159-163 

  11. Ikeda, T. and T. Tsutsumi. 1990. Function and skin depimental activity of crude drugs. Fragrance Journal 6:59-62 

  12. Jang, M.J., B.J. An, C.E. Lee, J.T. Lee, B.G. Lee and D.H. Lee. 2008.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 Jour. Korean For. Soc. 97:88-94 

  13. Jin, Y.Z., S.Y. Ahn, S.S. Hong, G.H. Li, E.K. Kim and K.H. Row. 2005. Extraction of whitening agents from natural plants and whitening effect. Korean Ind. Eng. Chem. 16:348-353 

  14. Jung, S.H., W.A. Jo, J.H. Son, E.Y. Choi, C.I. Park, I.C. Lee, B.J. An, A.R. Son, S.K. Kim, Y.S. Kim and J.T. Lee. 2005.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smetic materials an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rsythia koreana Nakai. Kor. J. Herbology 20:61-68 

  15. Jung, S.H., W.A. Jo, J.H. Son, E.Y. Choi, C.I. Park, I.C. Lee, B.J. An, A.R. Son, S.K. Kim, Y.S. Kim and J.T. Lee. 2005.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smetic materials an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rsythia koreana Nakai. Kor. J. Herbology 20:61-68 

  16. Kang Y.H., Y.K. Park, S.R. Oh and K.D. Moon.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978-984 

  17. Kim, A.K., H. Ha and S.H. Yoon. 1995. Liver protective effects of Mori Radicis Cortex in isolated hepatocytes. J. Korea Soc. Hygienic Sciences 1:16-20 

  18. Kim, H.K., Y.E. Kim, J.R. Do, Y.C. Lee and B.Y. Lee.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80-85 

  19. Kim, S.M., Y.S. Cho and S.K. Sung.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26-632 

  20. Kim, Y.Y., R.W. Choue, S.Y. Chung and S.J. Koo. 1999. Anti-hyperglycemic effect of Cortex Mori radics in db/db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057-1064 

  21. Korner, A. and J. Pawelek. 1982. Mammalian tyrosinase catalyzes three reaction in the biosynthesis of melanin. Science 217:1163-1165 

  22. Lee, H.S., S.J. Yun, Y.K. Moon and J.Y. Moon. 2000. Hair growth effects of Mori Cortex Radicis mixture on the hair of rat. Korean J. Seric. Sci. 42:83-86 

  23. Lerner, A.B. and T.B. Fitzpatrick. 1950. Biochemistry of melanin formation. Physiological reviews 30:91-126 

  24. Li, H.C., S. Yashiki, J. Sonda, H. Lou, S.K. Gosh, J.J. Byrnes and C. Lema, T. Fujiyoshi, M. Karasuyama and S. Sonoda. 2000. Green tea polyphenols induce apoptosis in vitro in peripheral blood T lymphocytes of adult T-cell leukemia patients. Jpn. J. Cancer Res. 91:34-40 

  25. Liang, Y.C., Y.T. Huang, S.H. Tsai, S.Y. Lin-shiau, C.F. Chen and J.K. Lin. 1999. Suppression of inducible cyclooxygenase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apigenin and relted flavonoids in mouse macrophase. Carcinogenesis 20:1945-1952 

  26. Marcocci, L., J.J. Maguire, M.T. Droylefaix and L. Packer. 1994. The nitric oxide 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748-755 

  27. Min, H.Y., E.J. Park, S.K. Lee and Y.J. Cho. 2003. Effects of grape extraction free radical scaver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32-137 

  28. Park, I.K. , J.O. Lee, H.S. Lee, K.Y. Seol and Y.J. Ahn. 1998. Cytotoxic activity of Bombyx mori and Morus alba derived materials against human tumor cell lin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1:187-190 

  29. Park, J.C., J.S. Choi and J.W. Choi. 1995. Effects of the fractions from the leaves, fruits, stems and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flavonoids on lipid peroxidation. Kor. J. Pharmacogn. 26:377-384 

  30. Park, U.Y., S.H. Kim, J.H. Kim, Y.G. Kim, and D.S. Chang. 1995.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or the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J. Fd Hyg-Safety 10:225-230 

  31. Peter, T.P. 1998. The skin's antioxidant systems. Dermatol. Nurs. 10:401-406 

  32. Re, R., N. Pellegrin, R.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R.E. Catherine. 1999.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an approved ABTS radical cau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6:1231-1237 

  33.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526-533 

  34. Stirpe, F. and E.D. Cort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chem. 244:3855-3861 

  35. Swan, G.A. 1974. Structure, chemistry, and biosynthesis of the melanins. Fortschritte Chemie. Organischer Naturstoffe 31:521-582 

  36. Wyngaarden, J.B. and E.W. Jr. Holmes. 1977. Molecular nature of enzyme regulation in purine biosynthesis. Ciba Foundation Symposium 48:43-64 

  37. Yang, J.H., D.K. Kim, M.Y. Yun and J.K. An. 2006.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rapeutic effect of the hydrogel preparations of Scutellariae Radix and Zingiberis Rhizoma on dermatitis. J. Kor. Pharm. Sci. 36:253-262 

  38. Yoo J.Y. S.H. Park, I.A. Hwang, S.J. Jo, C.H. Huh, S.W. Youn and K.C. Park. 2003.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a cream cotaining Ramulus Mori extract and tea tree oil on Acne Vulgaris and aerobic skin flora. Korean J. Dermatol. 41:1136-1141 

  39. Yoon, C.Y. , D.H. Shin, C.M. Hong, W.K. Lee, D.D. Jang, J.C. Cho and J.K. Ahn. 1998. The suppressive effects of Cortex mori on No, TNF- $\alpha$ and IL-1 production by macrophage. Kor. J. Vet. Publ. Hlth. 22:281-292 

  40. Yoon, S.H., S.Y. Jung and H. Ha. 2001. Hypoglycemic and enzym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Mori Rodicis Cortex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Hygienic Sciences 7:119-123 

  41. Ziegler, D. W., H.D. Hutchison and R.E. Kissing. 1971. Induction of xanthine oxidase by virus infections in newborn mice. Infect. and Immun. 3: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