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ssociation Structure on the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Forest in Kore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3 = no.107, 2009년, pp.356 - 361  

김인택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송민섭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정승훈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상수리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통하여 상수리나무림의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간의 상관관계, 잠재자연식생, 입지에 따른 상수리나무의 분포 양상 등을 분석하여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1.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군집구분은 1군단, 3군집, 3아군집, 3전형아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I. 상수리나무군단(Quercion acutissimae) A.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ass. nov.) A-1. 갈참나무아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quercetosum subass. nov.) A-2. 전형아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typicum subass. nov.) B.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asso. nov.) B-1. 갈참나무아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quercetosum subass. nov.) B-2. 전형아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typicum subass. nov.) C. 상수리나무-서어나무군집(Carpino-Quercetum acutissimae asso. nov.) C-1. 갈참나무아군집(Carpino-Quercetum quercetosum subass. nov.) C-2. 전형아군집(Carpino-Quercetum typicum subass. nov.) 2. DECORANA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집은 저지대 산지,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집은 상대적으로 해발이 높은 지역의 산지대, 상수리나무-서어나무군집은 주로 계곡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군집들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그다지 명료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수리나무림의 대부분이 저지대 및 농경지 주변의 교란요인이 심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 상수리나무림의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Quercetum serrato-acutissimae asso. nov.$\rightarrow$Quercus serrat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Quercus serrata Community 2) 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ass. nov.$\rightarrow$Quercus mongolic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Quercus mongolica Community 3) Carpino-Quercetum acutissimae asso. nov.$\rightarrow$Carpinus laxiflor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targeted Quercus acutissima forests in Korea and has class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Quercus acutissima forests by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association, distribution,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nd aspect of Quercus acutiss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상수리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통하여 상수리나무림의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간의 상관관계, 잠재자연식생, 입지에 따른 상수리나무의 분포 양상 등을 분석하여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단, 조사지점의 전국적인 균일화를 위하여 환경부(1997~2003년)에서 시행한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18]를 추가하여 보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과의 상관관계, 특성, 생활형 분석, 잠재자연식생 등을 분석하여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수리나무의 분포 양상을 조사한 결과 각 군집이 서로 혼재된 경우가 많아 그다지 명료한 분포로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각 군집들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그다지 명료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수리나무림의 대부분이 저지대 및 농경지 주변의 교란요인이 심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
참나무속은 무엇인가? 참나무속(Quercus)은 너도밤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상록성 또는 낙엽성의 교목 및 관목으로 북반구 온대지역을 중심으로 약 450종류가 널리 분포하고[13], 우리나라에는 4속 43종이 있다[14]. 본 속 식물은 엽액에 달리면서 늘어지는 미상화서(尾狀花序)인 웅화서(雄花序), 반구형인 각두(殼斗), 횡단면이 원형이며 각두 당 1개인 견과 등의 특징에 의해 과내 다른속 식물들과 구분된다[13].
참나무속은 무엇으로 나누어지는가? 참나무속은 크게 참나무아속(subgen. Quercus)과 가시나무아속[subgen. Cyclobalanopsis (Oerst.) C. K. Schneid.]으로 나누어진다[13]. 참나무아속은 전 세계적으로 약 350 여종을 포함하여, 아시아, 유럽, 북미, 북아프리카 등 북반구의 아한대에서 열대지역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한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raum-Blanquet, J. 1928. Pflanzensoziologie. Springer- Verlag., 1st ed., Berlin. 1928., 2nd ed., Vienna. 1951. 631p., 3rd., Vienna. New York. 1964. 865p 

  2. Braun -Blanquet, J. 1928/1964. Pflanzensoziologie. 1st eds. Springer-Verlag. Wien. 3rd eds. Springer-Verlag. Wien 

  3. Bray, J. R. and J. 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4. Cottam, G., F. G. Goff, and R. H. Whittaker. 1973. Wisconsin comparative ordination, pp. 193-221, In Whittaker (ed.)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Vol. 5, The Hague, Junk 

  5. Gauch, H. G. Jr. and R. H. Whittaker. 1981. Hierachical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ta. Journal of Ecology 69, 537-557 

  6. Gibson, D. J. and P. Greig-Smith. 1986. Community pattern analysis; A method for quantifing community mosaic structure. Vegetatio 66, 41-47 

  7. Hill, M. O. 1979.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Cornell Univ. Ithaca, New York 

  8. Hill, M. O. and H. G. Gauch.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n 42, 47-58 

  9. Kim, J. W. and Y. 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J. Ecol. 17, 391-413 

  10. Knight, D. H. 1965. A gradient analysis of Wisconsin prairie vegetation on the basis of plant structure and function. Ecology 46, 744-747 

  11. Kim, W. 1983. The secondary vegetation of the burned area of a mountain in Dangji-Dong.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6, 237-242 

  1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99.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3. Kubitzki, K. 1993. Fagace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Mongoliid, Hamamelid and Caryophyllid Families. berg, pp. 301-309, In Kubitzki, K., J. G. Rohwer, and V. Bittrich (eds.), Vol. Ⅱ, Springer-Verlag, Berlin, Heidel 

  14. Lee, T. B., 1980. IBllustrated Flora of Korea. pp. 990, Hyangmun publishing Co., Ltd., Seoul 

  15. Loucks, O. L. 1962. Ordinating forest communities by means of environmental scalars and phytosociological indices. Ecol. Monogr. 32, 137-166 

  16.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pp. 547,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7. Nixon, K. C. 1993.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Quercus (Fagaceae) and typification of sectional names. Ann. Sci. Forest. 50, (Suppl.) 25s-34s 

  18.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A guide of the second national survey on the natural environment 

  19. Whittaker, R. H. 1975. Communities and ecosystems. pp. 385, 2nd ed. Macmillian Co. New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