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순환기 기능 조절기능을 가진 신경내분비계 작용물질이 참굴의 심장 수축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diovascularly Acting Neuroendocrine Agents on Heart Beating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5 no.1, 2009년, pp.15 - 22  

박관하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수산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it is known that bivalve hearts contain various modulatory systems activated by neuroendocrine substances, it was examined whether different classes of endogenous and synthetic drugs of neuroendocrinological importance can influence cardiac functions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굴에서 생성된다고 알려진 신경내분비계물질 또는 그 물질들의 기능을 변화시킬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들이 심장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굴이 살아 있는 상태에서 측정한결과를 제시하고 있디" 여러 부류의 물질들을 사용하여 평가한바, 그 효과가 다양할 뿐 아니라 지금까지 포유류나 어류에서발견된 결과들과는 상당히 다른 반응성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 본 연구는 굴을 심장에서 여러 종류의 신경내분비계에 작용하는 약물들의 효과를 측정하고 그 의미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종합적으로 굴에서의 choline성 신경계, adrenaline성 신경계, autacoid들 및 마취제들의 약리작용은 포유동물계에서 보고된 결과와는 상당히 다름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rraco, R.A. and Stefano, G.B. (1990) Pharmacological evidence for the modulation of monoamine release by adenosine in the invertebrate nervous system. Journal of Neurochemistry 54: 2002-2006. 

  2. Carpenter, N.J., Breese, G., Schanberg, S. and Kopin, I. (1971) Serotonin and dopamine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in Aplysia nervous and non-nervous tissues. Journal of Neuroscience 2: 49-56. 

  3. Choi, S.D., Kim, H.J., Suh, H.L., Suh, H.Y., Yang, M.H. and Hwang, S.I. (1998) Anaesthetic Effect of MS-222 and Lidocaine on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Journal of Fish Pathology, 11: 35-41. [in Korean] 

  4. Chu, F.L.E. (1988) Humoral defense factors in marine bivalves. Supplementary Publications of American Fisheries Society, 18: 178-188. 

  5. Coons, S.L. and Bonar, D.B. (1987) Pharmacological evidence that alpha 1-adrenoceptors mediate metamorphosis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Neuroscience, 23: 1167-1174. 

  6. Cotter PA and Rodnick KJ. (2006) Differential effects of anesthetics on electrical propertie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heart. Comparative Biocehmistry and Physiology A, 145: 158-165. 

  7. Coyle, S.D., Durborow, R.M. and Tidwel, J.H. (2004) Anesthetics in Aquaculture, SRAC Publication No. 3900 (November 2004), 6 pp., USA. 

  8. Denvir, M.A., Tucker, C.S. and Mullins, J.J. (2008) Systolic and diastolic ventricular function in zebrafish embryos: influence of norepinephrine, MS-222 and temperature. BMC Biotechnology, 8: 21. 

  9. Fabbri, E., Capuzzo, A. and Moon, T.W. (1998) The role of circulating catecholamines in the regulation of fish metabolism: an overview.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C120: 177-192. 

  10. Hart, B.B., Stanford, G.G., Ziegler, M.G., Lake, C.R. and Chernow, B. (1989) Catecholamine: study of interspecies variation. Critical Care Medicine, 17: 1203-1222. 

  11. Hill, R.B. and Kuwasawa, K. (1990) Neuromuscular transmission in molluscan hearts. Zoological Science, 7: 999-1011. 

  12. Hoffman, B.B. and Taylor, P. (2001) Neurotransmission: the autonomic and somatic motor nervous systems. In: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ition, (ed. by Hardman, J.G. and Limbird, L.E.) pp. 115-153, McGraw-Hill. 

  13. Lacoste, A., Malham, S.K., Cueff, A. and Poulet, S.A. (2001a) Noradrenaline modulates oyster hemocyte phacocytosis via a beta-adrenergic receptor-cAMP signaling pathway. General and Comparative Endocrinology, 122: 252-259. 

  14. Lacoste, A., Malham, S.K., Cueff, A. Jalabert, F., Gelebart, F. and Poulet, S.A. (2001b) Evidence for a form of adrenergic response to stress in the mollusc Crassostrea giga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logy 204: 1247-1255. 

  15. Lee, C.M., Lin, J.T. and Hwang, J.C. (1998)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ACh receptors on the heart of the marine bivalve Meretric lusoria. Chinese Journal of Physiology, 41: 19-24, 1998. 

  16. Lee, C.M., Lin, J.T. and Tsai, T.S. (1993) Effects of neuroactive agents on the isolated heart activities of marine bivalve Meretrix lusoria. Chinese Journal of Physiology, 36: 165-170. 

  17. Matsutani, T. and Nomura, T. (1987) In vitro effects of serotonin and prostaglandins on release of eggs from the ovary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General and Comparative Endocrinology, 67: 111-118. 

  18. Miyahara Y, Kizawa Y, Sano M and Murakami H. (1993) Effects of organic Ca $^{2+}$ -antagonists on acetylcholine-induced contraction in molluscan (Mytilus edulis) smooth muscle. General Pharmacology, 24(6): 1419-1423. 

  19. Ono, J.K., Hampton, J.D. and Koch, R.A. (1992)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and radioenzymatic measurements of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in hearts of Aplysia and several bivalve mollusks. Cell and Tissue Research, 269: 421-430. 

  20. Park, K.H., Kim, Y.S., Chung, E.Y., Choe, S.N. and Choo, J.J. (2004) Cardiac response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o agents modulating cholinergic function.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C139: 303-308. 

  21. Rosza, K.S. (1984) The pharmacology of molluscan neurons. Progress in Neurobiology, 23: 79-150. 

  22. Stefano, G.B., Zhao, X.H., Bailey, D., Metlay, M. and Leung, M.K. (1989) High affinity dopamine binding to mouse thymocytes and Mytilus edulis (Bivalvia) hemocytes. Journal of Neuroimmunology, 21: 67-74. 

  23. Sudhof, T.C. and Starke, K. (2008) Pharmacology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In: Hand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Vol. 184, 582 pp. Springer. 

  24. 박관하 (2008) 이매패류의 신경계물질, 호르몬 및 생리기능조절물질. In: 연체동물 이매패류의 생리생태. (정의영, 김진희, 류동기, 박갑만, 박관하, 박성우, 신윤경, 이정식, 이정열, 이창훈, 최진우, 허영백) pp. 315-355. 바이오사이언스. 

  25. 河西一彦, 有馬孝和, 齊藤實 (1987) ペラアミノ安息香酸ェチルのアウピ類3種の剝離效果. 水産增殖 35: 43-4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