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피로도가 가족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Fatigue on Family Health in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3 no.1, 2009년, pp.5 - 16  

최정 (안산 1대학 간호과) ,  하나선 (서일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fatigue on family health, and to defin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family health in middle aged women. Method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311 middle aged women. Descrip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피로의 영향 요인은 스트레스 우울, 생활만족, 건강증상 호소, 자기효능감, 가족 지지 등 다양하나(Kim, 2006), 그 중 가족 관련 변인으로는 가족 지지 정도가 낮을수록 피로 정도가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을 뿐 가족 관련 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인간의 건강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인 피로를 가족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다루어보고자 한다. 또한 가족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직업 유무, 학력, 경제 상태.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 상태와 피로도가 가족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07년 6월 20일부터 9월 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서울 및 충청도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 3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 상태와 피로도가 가족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 상태와 피로도가 가족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간호학에서 가족단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흡했던 점을 고려해 볼 때, 가족건강에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 상태나 신체적, 정신적, 신경 감각적 피로 같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영향을 미침을 보여줌으로써 가족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가족건강에 대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가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거나 부부 또는 부모-자녀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중년 여성으로만 한정하였고, 가족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관계, 가족체계 변인들을 다양하게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 가족의 신체적 건강이 농촌 가족의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Yang & Yoo, 2000), 신체적 건강은 가족 건강성에 유의하게 작용하였으나, Yang과 Chung(2005)은 농촌 가족의 건강에 관한 종단적 비교 연구에서 일차 시기에서는 신체적 건강성이 농촌 가족의 건강성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작용하였으나, 이차시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고 하여, 신체적 건강이 가족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반복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되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건강의 일부로 중년여성이 지각한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중년여성이 지각한 건강상태가 가족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병을 예방하고, 가족건강을 관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건강 상태와 피로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지각된 건강 상태와 피로도가 가족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가족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또한 가족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직업 유무, 학력, 경제 상태. 종교, 가족 형태, 결혼 만족도 등을 포함한 인구 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의 차이를 함께 파악하려고 한다.

가설 설정

  • 지각된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건강 행위는 더 증가하는데, 그 이유는 건강 상태에 대한 자기평가가 좋을수록 자기결정과 내적 동기가 강화되며 결과적으로 건강 문제에 대한 능력 감이 증가하여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Km, Chae, Park, & Woo, 2001). 따라서 지각된 건강 상태가 개인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건강 행위의 실천이 가족건강을 강화시킨다고 가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족원의 신체적 건강과 가족건강의 관계는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ng, S. H. (2005).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hardi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adets in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 Byeon, Y. S. (2003). Fatigue and exercise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Fundam Nurs, 10(3), 307-315. 

  3. Cha, W. J.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s and degree of fatigue in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 Chang, H. K. (2007). The study of fatigue, perceived health status, marital adjustment and stress in middle aged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19(3), 413-421. 

  5. Cheon, S. J. (2006). A structural model development on husband and wife compatibility and family health of middle-ag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6. Choo, H. J., & Kim, C. K. (1996). A survey research on family health care: Focusing on married women in seoul. J Korean Soc Health Educ, 13(1), 1-27. 

  7. Eo, E. J., & Yoo, Y. J. (1997). Korean urban family strengths and its related variables. J KHMA, 15(4), 269-285. 

  8. Han, K. H. (2002). Perceived health status, hardi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korean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9. Havighurst, R. J. (1972). Development tasks and education(3rd ed.). New York: David Mckay. 

  10. Jang, S. O. (1996). A study for development of family health assessment to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1. Kim, H. J., Chae, S. O., Park, Y. S., & Woo, S. H.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con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 Acad Soc, 15(2), 262-274. 

  12. Kim, H. K. (2006). Fatigue and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middle-aged adults 

  13. Kim, H. L. (2000).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 for husband & wife 

  14. Lee, H. Y. (1984). A study of the effects of health contracting on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 in clients with hyperten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Lee, J. E., & Lee, S. B. (1989).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ousewives' health KAP level and family health in Buan and Chunan area. J Korean Soc Health Educ, 6(2), 4-22. 

  16. Lee, J. W., & Kim, Y. K. (2005).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17. Lee, K. J., Chang, C. J., Yoo, J. H., & Yi, Y. J. (2005). Factors e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5(3), 494-502. 

  18. Park, Y. J., Lee, S. J., Park, E. S., & Chang, S. O. (1999). A prediction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Nurs, 29(2), 281-292. 

  19. Shin, E. J. (2003). The degree of fatigue depending on constitution in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20. Sung, M. H. (1999). Health problem of the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29(2), 258-270. 

  21. Ware, J. E. (1976). Scale for measuring general health perception. Health Serv Res, 11, 396-415. 

  22. Yang, J. H. (2002). A study of health behavior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J Korean Acad Nurs, 32(5), 694-705. 

  23. Yang, K. H. (1996). A study on modeling for fatigue in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24. Yang, S. M., & Chung, H. S. (2005). A longitudinal study on the healthiness of 

  25. Yang, S. M., & Yoo, Y. J. (2000). Healthiness and its related variables perceived by parents and child generations in rural families: On farming families with eldest 

  26. Yang, S. M., & Yoo, Y. J. (2002). A study on the healthiness of korean rural families: Rural married couples with adolescent children. Korean Home Manage Assoc, 20(2), 69-81. 

  27. Yeun, E. J.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 of the psychosocial well-be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middle-aged adults. J Korean Acad Nurs, 29(4), 977-990. 

  28. Yoo, Y. J.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mily strengths scale for strengthening the family. J Family Relations, 9(2), 119-151. 

  29. Yoshitake. (1978). Three characteristic pattern of subjective fatigue symptom. Ergonomics, 21(3), 231-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