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low-income middle-aged women. Methods: Data on 594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59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7 to January 2008.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설계에서는 건강증진행위가 지각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는데,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의 방향은 건강상태가 좋기 때문에 건강증진행위를 한다고 볼 수 있으나 이전의 건강증진행위와 사망률과의 관련성 연구(Breslow와 Enstrom, 1980) 결과, 9.5년간 추적연구에서 처음의 건강수준과 상관없이 남녀 성인 모두 건강증진 행위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 사망률이 유의하게 낮다고 하여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수준간의 인과관계에서 본 연구 설계를 뒷받침하여 준다.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건강증진행위 외에 가족의 지지가 지각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 중 가족의 지지,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등이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가족의 지지가 지각된 건강상태 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중년여성의 건강상태의 개선을 위한 개입에 가족의 지지의 필요성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건강증진행위로는 운동, 영양, 중년여성에게 주된 문제점 중 하나인 스트레스 관리와 의료와 관련된 건강관리행위를 포함하여 설문하였는데 각각의 문항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건강증진행위로는 운동, 영양, 중년여성에게 주된 문제점 중 하나인 스트레스 관리와 의료와 관련된 건강관리행위를 포함하여 설문하였다. 운동관련 문항은 주 3회 이상 스트레칭 운동, 신체단련을 위한 운동, 운동프로그램 참가 (2문항), 격렬한 운동 여부의 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영양관련 문항은 과식, 섬유질 음식섭취, 영양소 함유량 확인, 자연식 섭취, 3끼 섭취의 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스트레스 문항은 스트레스 해소 여부, 이완요법, 휴식시간, 긴장해소, 긍정적 사고의 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의료와 관련된 건강관리행위로는 전문가 상담, 건강검진, 혈압측정, 혈액 검사, 신체 변화 관찰의 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시에는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설문문항을 양의 방향 질문과 음의 방향 질문을 섞어서 했지만 분석시에는 모두 양의 방향 질문으로 변환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를 많이 하는 방향으로 해석이 된다.
중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또한 중년기에 가족관계, 자녀양육, 건강문제의 변화를 경험하고 질병, 부모 혹은 남편의 죽음, 이혼, 별거, 실직 등의 개인적 변화나 생활사건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박형숙 등, 2004; 유은광 등, 1999). 이처럼 중년기는 다양한 생활사건과 갈등들이 개인의 신체기능 장애와 심리적 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건강관리 측면에 대한 관심이 특별히 요구되는 시기이다. 즉, 적절한 건강증진행위는 신체적 질환에 대한 예방효과(Eaton과 Eaton, 2003)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게 되며, 가족적응도와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김성희와 강유원, 2000), 정서적, 사회적 관계에서도 효과가 있다(최명애 등, 2008).
중년여성은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중년여성은 모든 기관의 기능 감퇴, 노화 및 호르몬 변화로 폐경이 오고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포함하여 다양하고 개별적인 갱년기 증상을 경험한다(Bardel 등, 2009). 또한 중년기에 가족관계, 자녀양육, 건강문제의 변화를 경험하고 질병, 부모 혹은 남편의 죽음, 이혼, 별거, 실직 등의 개인적 변화나 생활사건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박형숙 등, 2004; 유은광 등, 1999). 이처럼 중년기는 다양한 생활사건과 갈등들이 개인의 신체기능 장애와 심리적 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건강관리 측면에 대한 관심이 특별히 요구되는 시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경자, 이은진. 퇴행성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이 지각한가족지지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류마티스건강학회지 2000;7(1):5-24 

  2. 강현숙. 재활강화교육이 편마비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3. 구미옥. 당뇨병환자의 자기간호 행위와 대사조절에 관한 구조모형[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4. 권영숙, 이명숙.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8;12(2):89-106 

  5. 김성희, 강유원. 도시거주 가정주부의 여가제약 인지도와 가족적응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2000;9(1):101-110 

  6. 박기수, 감신, 김흥식, 이정권, 황진복. 소아 환자의 치료순응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Korean J Pediatrics 2008;51(6):584-596 

  7. 박보윤.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8. 박선일, 조복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2004;7(2):149-158 

  9. 박영신, 김의철.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 건강, 운동, 조직에서의 성취. 교육과학사, 2007 

  10. 박재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6;2(2):257-284 

  11. 박형숙, 조규영, 박경연. 중년여성의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4;10(2):136-143 

  12.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2005). 2006 

  13. 신동순, 홍춘실. 노인의 가족지지와 삶의 질. 가정간호학회지 1997;4:76-85 

  14. 유은광, 김명희, 김태경.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갱년기증상 우울과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1999;29(2):225-237 

  15. 이군자, 장춘자, 유재희. 건강증진교육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 건강관리지식,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4;15(4): 

  16. 이숙자 등. 만성 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 구조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2002;32(1):62-76 

  17. 이숙자, 박은숙, 박영주. 한국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1996;26(2):320-336 

  18. 이윤미. 중년여성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및 자기효능감. 대한 간호학회지 2004;34(2):362-371 

  19. 정남옥, 전미숙.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2009;15(2):228-235 

  20. 정백근 등. 경상남도 도민의 보건의식행태와 주요 환경요인. 경상남도, 경상남도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21. 최명애, 하양숙, 김금순, 이명선, 최정안. 중년 여성의 운동행위, 운동환경 및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J Korean Acad Nurs 2008;38(1):101-110 

  22. 최인희. 일 지역사회 노인의 자기효능 가족지지와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연구.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2003;14(4):1-10 

  23. 최정. 중년여성의 부부조화도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07;14(4):507-514 

  24. 통계청. 2007년 사망원인통계연보. 통계청, 2008 

  25.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1977; 84(2):191-215 

  26.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 Psychologist 1982;37(2):122-147 

  27. Bardel A, Wallander MA, Wedel H, Sv $\"{a}$ rdsudd K. Age-specific symptom prevalence in women 35-64 years old: a population-based study. BMC Public Health 2009, 9;37:1-8 

  28. Breslow L, Enstrom JE.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v Med 1980;9(4):469-83 

  29. DeSalvo KB, Bloser N, Reynolds K, He J, Muntner P. Mortality prediction with a single general self-rated health question. A meta-analysis. J Gen Intern Med. 2006;21(3):267-75 

  30. Eaton SB, Eaton SB.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human physical activity: implications for health. Comp Biochem Physiol A Mol Integr Physiol 2003;136(1):153-159 

  31. Floderus B, Hagman M, Aronsson G, Marklund S, Wikman A. Self-reported health in mothers: the impact of age,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Women Health 2008;47(2):63-86 

  32. Kaplan G, Barell V, Lusky A. Subjective State of Health and Survival in Elderly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1988;43(4):S114-S120 

  33. Kaplan GA et al. Social functioning and overall mortality: prospective evidence from the Kuopio Ischemic Heart Disease Risk Factor Study. Epidemiology 1994;5:495-500 

  34. Lett HS et al. Social support and coronary heart disease: epidemiologic evidence and implication for treatment. Psychosom Med 2005;67:869-878 

  35. McFadden E, Luben R, Bingham S, Wareham N, Kinmonth AL, Khaw KT. Does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vary by social class? Soc Sci Med. 2009;68(2):275-80 

  36. Melchior M, Berkman LF, Niedhammer I, Chea M, Goldberg M. Social relations and self-reported health: a prospective analysis of the French Gazel cohort. Soc Sci Med 2003;56:1817-1830 

  37. Seeman TE. Health promoting effects of friends and family on health outcomes in older adults. Am J Health Promot 2000;14(6):362-70 

  38. Tas U, Verhagen AP, Bierma-Zeinstra SM, Odding E, Koes BW. Prognostic factors of disability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Br J Gen Pract. 2007 ;57(537):319-23 

  39. von dem Knesebeck O, Geyer S. Emotional support,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22 European countries. BMC Public Health. 2007;1;7:2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