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19 no.4, 2009년, pp.192 - 197
김형균 (단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이임렬 (단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Carbon nanotubes (CNT) were used as a catalyst support where catalytically active Pd and Pt metal particles decorated the outside of the external CNT walls. In this study, Pd and Pt nanoparticles supported 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탄소나노튜브의 특성은 무엇인가? | 탄소나노튜브는 그 자체의 독특한 특성 이외에도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기본 골격체인 형판(template)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촉매 지지대(support)로 사용되고 있으며 탄소나노튜브위에 Ru, Pt 및 Rh등의 나노금속 촉매분말을 성장시켜 화학반응에 대한 활성도와 선택성을 개선하고 있다.1,2) 탄소나노튜브는 재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arbon black에 비하여 고전도성, 오염물질의 감소 및 금속/지지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근자에 지지대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또한 탄소나노튜브에 있는 오각형(pentagon)이나 칠각형(heptagon) 등의 결함 부위에서 산소환원 등의 화학반응이 유리하다고 알려 지고 있다. | |
탄소나노튜브가 근자에 지지대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촉매 지지대(support)로 사용되고 있으며 탄소나노튜브위에 Ru, Pt 및 Rh등의 나노금속 촉매분말을 성장시켜 화학반응에 대한 활성도와 선택성을 개선하고 있다.1,2) 탄소나노튜브는 재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arbon black에 비하여 고전도성, 오염물질의 감소 및 금속/지지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근자에 지지대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또한 탄소나노튜브에 있는 오각형(pentagon)이나 칠각형(heptagon) 등의 결함 부위에서 산소환원 등의 화학반응이 유리하다고 알려 지고 있다. 이와 관련 탄소나노튜브 위에 Pt을 성장시킨 Pt/CNT는 연료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며3) 선택적인 수소화를4) 촉진시키는 등 촉매작용이 우수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 |
나노 금속입자의 제조 방법 중 polyol법은 무엇인가? | 나노 금속입자의 제조로는 석출법(precipitation)6), 이온 교환법(ion-exchange)7) 및 함침법(impregnation)8)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polyol 법이 간단하고 또한 200℃ 이하의 저온 공정이기 때문에 귀금속, 천이금속 및 합금분말의 제조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polyol법은 금속 전구체 염을 ethanol, etylene glycol등의 poly 용매로 환원시킨 후 PVP(polyvinyl pyrrolidone)와 같은 polymer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콜로이드 상태의 Au, Pt, Pd, Ru 등의 금속분말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기법이다.9,10) 본 연구에서는 PVP 대신 탄소나노튜브를 지지대로 하여 Pd 과 Pt 나노 금속입자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
X. Li and I. M. Hsing, Electrochimica Acta, 51, 5250 (2006)
W. Chen, J. Zhao, J. Y. Lee and Z. Liu, Mater. Chem. Phys., 91, 124 (2005)
W. Li, C. Liang, W. Zhou, J. Qui, Z. Zhou, G. Sun and Q. Xin, J. Phys. Chem. B, 107, 6292 (2003)
V. Lordi N. Yao and J. Wei, Chem. Mater., 13, 733 (2001)
Z. Q. Tian, S. P. Jiang, Y. M. Liang and P. K. Shen, J. Phys. Chem., B, 110, 5343 (2006)
Z. L. Liu, X. H. Lin. J. Y. Lee, W. Zhang, M. Han and L. M. Gan, Langmuir, 18, 4054 (2002)
R. Yu, L. Chen, Q. Liu, J. Lin, K. L. Tan, S. C. Ng, H. S. O. Chan, G. O. Xu and T. S. A. Hor, Chem. Mater., 10, 718 (1998)
B. Rajesh, K. R. Tampi, J. M. Bonard, N. Xanthopolus, H. J. Mathieu and B. Viswannathan, J. Phys. Chem., B 107, 2701 (2003)
S. Ayyappen, R. S. Gopalan, G. N. Subbanna and C. N. R. Rao, J. Mater. Res., 12(2), 398 (1997)
L. K. Kurihara, G. M. Chow and P. E. Schoen, Nanostructured Mater., 5(6), 607 (1995)
F. Bonet, V. Delmas, S. Grugeon, R. H. Urbina, P. Y. Silvert and K. T. Elhsissen, Nanostructed Mater., 11 (8), 1277 (1999)
W. X. Chen, J. Y. Lee and Z. Liu, Mater. Lett., 58, 3166 (2004)
B. Xue, P. Chen, Q. Hang, J. Y. Lin and K. L. Tan, J. Mater. Chem., 11, 2378 (2001)
R. Q. Yu, L. W. Chen, Q. P. Liu, J. Y. Lin, K. L. Tan, S. C. Ng, H. Chan, G. O Xu and T. S. Andyhor, Chem. Mater., 10, 718 (1998)
R. Y. Lee, J. Microelectron. Packag., 12(3), 227 (2005)
O. K. Varghese, P. D. Kichamber, D. Cong, K. G. Ong and E. A. Grines, Sens. Actuators, 81, 32 (2001)
H. K. Kim and R. Y. Lee, J. Microelectron. Packag., 15(4), 101 (200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