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오(1882)년 가례 왕세자 복식연구(1) - 면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eremonial Costume of the Crown Prince in the Year 1882 - Focusing on the Myeon-Bok (Royal Robe)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10, 2009년, pp.68 - 84  

안애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  박성실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ate wedding ceremony of kings and crown princes in the Chosun Dynasty was systemically formalized in a book Five National Ceremonies (1474) as one of the five major formal events of the royal auspicious ceremonies(Ga-rae). For a state wedding, Ga-rae Protocol was made by a devision for Ga-rae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기는 상궁들의 손에 의해서 작성된 실행기록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면복연구는 이미 주목할 만한 선행연구3)가 발표된 바 있으나 일차적으로 임오년 국혼의 발기와 의궤기록, 국말의 실물자료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고찰해 보기로 한다. 왕세자 면복구성 가운데 칠장복, 폐슬, 중단, 상은 복원복제로 고증제작 하였다.
  • 9세 때인 1882(고종19)년 세자빈 민씨(1872~1904)와의 혼인인 임오년 왕세자 가례와 민씨 死後 33세 때인 1906(光武10)년 황태자비 윤씨(1894~1966)와의 혼인인 병오년 황태자 가례이다. 본고는 임오년 가례시 착용된 면복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왕조에서 왕과 왕세자의 국혼인 가례의식 절차는 어디에서 볼 수 있는가? 조선 왕조에서 왕과 왕세자의 국혼인 가례의식 절차는 개국 초인 성종 5년(1474)에 완성된 『국조오례의』권3과 권4 가례, 면복은 『국조오례의서례』권1 길례에 제복도설로 제시되어 있다. 왕의 구장면복은 明永樂 원년(1402년)제도, 왕세자의 면복은 七章服으로 景泰 원년(1449년)제도에 기준한 것이다.
조선왕조 왕세손의 가례는 어디에서 볼 수 있는가? 왕의 구장면복은 明永樂 원년(1402년)제도, 왕세자의 면복은 七章服으로 景泰 원년(1449년)제도에 기준한 것이다. 왕세손의 가례는 영조 27년(1751) 『국조속오례의보서례』권2 가례에 의식절차, 면복은 『국조속오례의보서례』권1 길례에 도설로 제시되어 있다. 면복은 왕통을 승계하는 상징적인 의미로 조선 전시기에 착용되었으며 위치에 따라 복식구성에 차이를 두었다.
면복제도에 관한 자료는 어느 문헌에서 볼 수 있는가? 따라서 면복제도에 관한 자료는 여러 가지 왕실문헌에 제시되어 있다. 『국혼정례』(1749), 『상방정례』(1752), 『가례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종묘의궤』(1667), 『사직서의궤』(1783), 『경모궁의궤』(1777~1800) 등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거의 동일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가례도감의궤』로 남아있는 왕세자의 가례는 昭顯世子嘉禮(1627), 顯宗明聖后嘉禮(1651), 肅宗仁敬后嘉禮(1671), 景宗端懿后嘉禮(1696), 景宗宣懿后嘉禮(1718), 眞宗孝純后嘉禮(1727), 莊祖獻敬后嘉禮(1744), 文祖神貞后嘉禮(1819), 純宗純明后嘉禮(1882) 9건으로 20건의 국혼기록 중 절반에 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十二. 藏書閣篇 Ⅲ,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5 

  2. 김용숙 (2005). 朝鮮朝 宮中風俗 硏究(5쇄). 서울: 일지사, p. 376 

  3. 高光林 (1972). 冕服에 關한 硏究. 仁川敎育大學校 

  4. 여춘구 (1976). 王世子 嘉禮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명숙 (1983). 조선시대 면복의 고찰.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박성실 (2004). 숙종인현후의 가례복식. 조선조 숙종인현후 가례의 연구. 문화재청 

  7. 유송옥 (1991). 朝鮮王朝宮中儀軌服飾. 서울: 수학사, p. 145 

  8. [ ]의 내용은 문헌에는 없으나 연속적인 의식으로 같은 복식을 착용한 것으로 봄 

  9. 태종실록 권 14, 태종 7년(1407) 7월 13일(갑자) 

  10. 세종실록 권 36, 세종 9년(1427) 4월 26일(갑신) '上以遠遊冠絳紗袍, 御勤政殿月臺上幄次, 率文武群臣, 行王世子醮戒禮如儀 $_{\circ}$ 王世子具朝服,' 

  11. 세종 72권, 18년(1436) 6월 15일(경술) 3번째기사 

  12. 안애영 (2009). 1882(壬午)年 王世子 嘉禮 硏究. 藏書閣, 22.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p. 113 

  13. 문종실록 권 1, 즉위년(1450) 5월 12일(을묘) 

  14. 세종 32년(1450) 1월에 세종은 왕세자가 신하들과 같은 조복을 입는 것이 합당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중국에 왕세자 면복으로 7장복을 청하였는데(세종 32년, 1450, 윤1월 21일 기사) 같은 해[문종 즉위년(1450)] 5월에 七章冕服 1副를 가져온 기록이 있다. 그 내용은 (문종즉위년, 1450, 5월 17일 기사) 八旒平天冠, 七章 袞服(深靑粧花袞服), 白素中單, ?色前後裳, ?色蔽膝, ?色粧花錦綬, ?色佩帶, 紅白素大帶, 玉圭, 大紅?, 襪로 영락 3년에 제정한 왕세자관복[冕服-袞冕七章]제도와 같다 

  15. 세조실록 권 20, 세조 6년(1460) 4월 18일(갑자) 

  16. 현종실록 권 24, 현종 12년(1671) 4월 1일(임오) 

  17. 세종실록 권 31, 세종 8년(1426) 2월 26일(경인) 

  18. 세종실록 권 127, 세종 32년(1450) 윤1월 21일(병인) 

  19. 문종실록 권 1, 즉위년(1450) 5월 17일(경신) 

  20. 대명회전의 세자관복[冕服-袞冕七章](大明會典 卷60, 禮部 18, 官服條 世子官服) 

  21. 정조 때 경모궁에서 제사지낼 때의 의식을 기록한 의궤 

  22. 國朝五禮儀序例 卷之一 吉禮 祭服圖說 

  23. 광해군일기 권 52, 광해 4년(1612) 4월 7일(신미) 

  24. 鴉靑熟? 二匹, 白熟? 一匹 十五尺, 大紅熟? 一匹 

  25. 유송옥 (1991). 朝鮮王朝宮中儀軌服飾. 서울: 수학사, p. 144 

  26. 송혜림 (2004). 조선조 가례도감의궤의 서지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6-127 

  2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二 藏書閣編Ⅲ,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55 

  28. 문종실록 권 1, 즉위년(1450) 3월 3일(정미) 

  29. 단종실록 권 3, 즉위년(1452) 9월 1일(경인) 

  30. 선조실록 권 131, 선조 33년(1600) 11월 20일(경신) 

  31. 선조실록 권 155, 선조 35년(1602) 10월 25일(계축) 

  32. 광해군일기 권 32, 광해 2년(1610) 8월 10일(임오) 

  33. 昭顯世子禮葬都監都廳儀軌: 1645년(仁祖 23) 昭顯世子(1612-1645)의 禮葬에 관한 기록 

  34. 문화재청 (2006). 문화재 대관 중요민속자료 2, 대전:문화재청, pp. 66-71 

  35. 문화재청 (2006). 문화재 대관 중요민속자료 2, 대전:문화재청, pp. 69 

  36. 궁중유물전시관(2002). 황실복식의 품위. 서울: 궁중유물전시관, p. 46 

  37. 영조실록 권 57, 영조 19년(1743) 4월 14일(정유) 

  38. 문화공보부 문화제관리국 (1986). 조선시대궁중복식. 서울: 문화공보부문화제관리국, pp. 24-26 

  39. 문화공보부 문화제관리국 (1986). 조선시대궁중복식. 서울: 문화공보부문화제관리국, pp. 24-26 

  40. 哲宗大王國葬都監儀軌 (1863) '用紅熟? 前三幅 後四 幅 前三左右 繡藻?粉米????四章 有?有? 側緣曰? 下緣曰? 腰間?積無數 別用紅熟? 綴前後幅 而夾縫 之兩端有繫' 

  4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환생 (2006). 석주선박사 10주기 추모 출토복식 특별전, p. 88.) 

  42. 문화공보부 문화제관리국 (1986). 조선시대궁중복식. 서울: 문화공보부문화제관리국, pp. 24-26 

  43. 유송옥 (1991). 朝鮮王朝宮中儀軌服飾. 서울: 수학사, p. 17 

  44. 궁중유물전시관(2002). 황실복식의 품위. 서울: 궁중유물전시관, p. 47 

  45. 김명숙 (1983). 조선시대 면복의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66 

  46. 궁중유물전시관(2002). 황실복식의 품위. 서울: 궁중유물전시관, p. 47 

  47. 박성실 (2004). 숙종인현후의 가례복식. 조선조 숙종인현후 가례의 연구. 문화재청 p. 83 

  48. 유송옥 (1991). 朝鮮王朝宮中儀軌服飾. 서울: 수학사, p. 17 

  49. 궁중유물전시관(2002). 황실복식의 품위. 서울: 궁중유물전시관, p. 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