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이미지, 국가에 대한 태도, 구매감정이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ountry Image, Attitudes toward a Country, and Purchase Emotion on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with a Korean Images - Focusing on Korean Female Consumer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10, 2009년, pp.111 - 123  

조윤진 (진주산업대학교 섬유산업디자인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김하연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ltifaced country image. The casual relationships among the multifaced country image, attitudes toward a country, and purchase emo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with Korean images were also investigated.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we collected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국내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 요인을 밝히고, 국가이미지와 국가에 대한 태도가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 상품이 국내 시장에서 가지는 시장 기회를 파악함과 동시에 마케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세계화에 따라 기업들의 글로벌 소싱이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볼 때, 국가이미지 효과를 단일 차원의 개념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를 이러한 다양한 속성의 차원으로 분석해내고,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소비자들의 구매행동 관련 변인으로서 국가이미지 차원이 유의미함을 밝히고자 한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가 국가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국가에 대한 태도는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예측한다. 또한 국가이미지는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구매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구매감정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모델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에 대한 태도는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 구매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도 제안하는 바이다.
  • 또한 국가이미지는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구매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구매감정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모델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에 대한 태도는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 구매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도 제안하는 바이다.
  • , 소비자행동 연구에서 실제 구매행동과 관련 깊은 변수로 다뤄져 오고 있다. 상품에 대한 태도는 구매행동의 예측적 변인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태도에 초점을 맞춘 연구도 많이 수행되어 왔지만, 태도는 경우에 따라서 한정적인 행동을 예측해 주므로50), 본 연구의 최종 결과 변인으로서는 구매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가에 대한 태도는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의 구매감정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다.
  • 아울러 소비자들의 문화적인 관심 증가와 취향의 다양화로 국내시장에서도 보다 독특한 패션 상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국내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 요인을 밝히고, 국가이미지와 국가에 대한 태도가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 상품이 국내 시장에서 가지는 시장 기회를 파악함과 동시에 마케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소비자는 점점 확대될 것이고, 앞으로 구체적인 시장세분화전략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되며, 따라서 다양한 소비자 특성변인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들의 국가이미지 차원을 도출하고, 국가이미지와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 구매 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연구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일반 제품 관련 국가이미지 연구에서 국가이미지와 구매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국가에 대한 태도16)17), 패션상품 소비자행동 연구에서 구매의사결정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구매감정18)19)을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의 매개 변인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구매의도 관련 변인들을 보다 구체화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들의 국가이미지 차원을 도출하고, 국가이미지와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 구매 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연구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일반 제품 관련 국가이미지 연구에서 국가이미지와 구매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국가에 대한 태도16)17), 패션상품 소비자행동 연구에서 구매의사결정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구매감정18)19)을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의 매개 변인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 구매의도 관련 변인들을 보다 구체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두는 국가이미지는 국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의 총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한국의 문화적 특징이 내포된 패션상품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국가이미지 차원이 국내 소비자에게도 유의미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의 경우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이미지를 다차원적인 차원으로 접근한 연구의 예시는? 국가이미지를 특정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지각을 넘어 보다 다차원적인 차원으로 접근하려는 연구도 많이 수행되어 왔다24)25). Bannister와 Saunders26)는 국가이미지가 제품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지만, 국가의 경제적, 정치적 위상, 역사적 사건, 해당국과의 관계, 전통, 공업화정도, 기술적 선진성 등과 같은 여러 변수들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고 하였다. Parameswaran과 Yaprak27)은 소비자 조사를 위한 측정 항목들의 국가간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국가이미지를 국가에 대한 전반적 태도와 제품에 대한 전반적 태도로 분류하여 측정 항목들을 개발한 바 있다. Martin와 Eroglu28)는 국가이미지와 원산지 이미지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60개의 형용사로 이루어진 척도를 개발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 정치적 차원, 경제적 차원, 기술적 차원으로 국가이미지 구조를 밝혀내었다.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고유한 문화적 특성과 가치가 내재된 패션 상품들도 이러한 측면에서 다른 패션 상품들과 차별화되기 때문에, 고부가가치 창출에 유리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은 1990년 이후 한국적 문화 정체성의 정의 및 확립을 위한 노력으로 한국적 전통과 소재를 응용한 스카프, 넥타이, 캐주얼 웨어, 이브닝 드레스, 유니폼 등으로 개발되어 왔다2). 또한 국제 여행객을 중심으로 그 시장성이 증대되고 있음은 물론 온라인 시장의 확대도 일어나고 있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도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3).
후광 효과라는 이론적 관점으로 볼 때 국가이미지의 역할은? 연구에서 사용된 패션상품 관련 변인으로는 일반적인 소비자 특성 변인인 소비자의 가치 차원, 세계화 성향 및 자민족중심주의 성향, 다양성 추구 성향 등이 있으며, 한국의 문화적 특성이 내재된 상품이라는 점 때문에 한국의 국가이미지, 한국노출정도 등이 변인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국가이미지는 국제마케팅 연구에서 많이 다뤄져 온 변인으로, 후광 효과 (Halo effect)라는 이론적 관점에서 볼 때, 소비자들은 국가의 이미지를 토대로 그 나라가 생산한 제품의 속성과 관련된 신념을 형성하고, 그러한 신념을 바탕으로 제품 구매의사 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이러한 국가이미지는 제품 관련 이미지로 접근한 연구도 있는 반면, 최근 다양한 속성을 지닌 차원으로 분석되기도 하였으며, 나아가 제품 구매의도나 국가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기도 하였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조윤진 (2007). 한국 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 

  2. 김민자 (2009). 한국적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 210 

  3. 조윤진 (2007). 한국 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3 

  4. 김민자 (2009). 한국적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 21-24 

  5. 고은주 (2005). 전통 패션상품의 시장기회분석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 제안. 한국의류학회지, 29(5), pp. 692-702 

  6.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 (2005). 한국 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가치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pp. 15-27 

  7. 조윤진, 이유리 (2007).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방한 미국인, 일본인, 중국인의 비교 연구. 복식, 57(10), pp. 74-86 

  8. 김하연, 이유리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여성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 의도.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715-1725 

  9. 양희순, 이유리 (2009). 청소년들의 패션 혁신성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에 대한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3(4), pp. 666-677 

  10. 조윤경, 이유리 (2009).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 연구. 복식, 59(4), pp. 54-66 

  11. Lee Y., Kim S. Seock Y., & Cho Y. (2009) Tourists' attitudes towards textiles and apparelrelated cultural products: A cross-cultural marketing study. Tourism Management, 30(5), pp. 724-732 

  12. 강형구, 문효진, 윤정원 (2007). 한국의 국가이미지 및 문화상품 이미지에 대한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76(가을), pp. 9-28 

  13. 안종석 (2005). 다차원적 속성의 국가이미지가 제품평가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연구, 16(2), pp. 63-90 

  14. 장세정, 이유리. (2008).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 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4), pp. 669-680 

  15. 김하연, 이유리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여성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 의도.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715-1725 

  16. 이연정, 이수범 (2008). 한식의 세계화전략이 국가이미지, 한국태도,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17(3), pp. 117-135 

  17. 오미영, 박종민, 장지호 (2003). 상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대한 원산지효과 연구: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2), pp. 23-49 

  18. 박은주, 소귀숙 (2000). 의류제품 구매시 감정적 요인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4(3), pp. 361-372 

  19. 최선형, 이은영 (1990). 의복 구매태도 형성과정시 감정의 역할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3), pp. 222-228 

  20. Nagashima, A. (1970).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U.S. Attitude Toward Foreign Product. Journal of Marketing, 34(1), p. 68 

  21. Martin, I. M., & Eroglu, S. (1993). Measu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untry Im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8(3), pp. 191-210 

  22. 안종석 (2005). 다차원적 속성의 국가이미지가 제품평가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연구, 16(2), pp. 63-90 

  23. Bilkey, W. J., & Nes, E. (1982). Country of Origin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3(1), pp. 89-99 

  24. Bannister, J. P., & Saunders, J. A. (1978). UK Consumers' Attitudes towards Imports: The Measurement of National Stereotype Imag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2(8), pp. 562-570 

  25. Martin, I. M., & Eroglu, S. (1993). Measu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untry Im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8(3), pp. 191-210 

  26. Bannister, J. P., & Saunders, J. A. (1978). UK Consumers' Attitudes towards Imports: The Measurement of National Stereotype Imag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2(8), pp. 562-570 

  27. Parameswaran, R., & Yaprak, A. (1987).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consumer research measure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8(1), pp. 35-49 

  28. Martin, I. M., & Eroglu, S. (1993). Measu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untry Im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8(3), pp. 191-210 

  29. 김용상 (1999). 국가이미지 국제비교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연구, 5(2), pp. 87-113 

  30. 한충민 (1993). 한국의 대외이미지와 경제적 파급효과. 경제연구, 15(1), pp. 241-264 

  31. 오미영, 박종민, 장지호 (2003). 상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대한 원산지효과 연구: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2), pp. 23-49 

  32. 안종석 (2005). 다차원적 속성의 국가이미지가 제품평가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연구, 16(2), pp. 63-90 

  33. 신경수, 김진학 (2007).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1(2), pp. 259-285 

  34. 윤성환 (2007). 한중소비자들의 외국 자동차 선택에 관한 비교 연구. 아태연구, 14(2), pp. 127-144 

  35. 강형구, 문효진, 윤정원 (2007). 한국의 국가이미지 및 문화상품 이미지에 대한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76(가을), pp. 9-28 

  36. Dickerson, K. G. (1987). Relative importance of country of origin as an attribute in apparel choic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and Home Economics, 11(4), pp. 333-343 

  37. 장세정, 이유리. (2008).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 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4), pp. 669-680 

  38. 강형구, 문효진, 윤정원 (2007). 한국의 국가이미지 및 문화상품 이미지에 대한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76(가을), pp. 9-28 

  39.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6). 소비자행동-마켕팅전략적 접근 (제4판). 서울: 법문사, p. 320 

  40. 오미영, 박종민, 장지호 (2003). 상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대한 원산지효과 연구: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2), pp. 23-49 

  41. 이연정, 이수범 (2008). 한식의 세계화전략이 국가이미지, 한국태도,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17(3), pp. 117-135 

  42. Mehrabian, A., & Russell, J.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 Psychology. Cambridge, MA: MIT Press 

  43. Havlena, W. J., & Holbrook, M. B. (1986). The Varieties of Consumption Experience: Comparing Two Typologies of Emotion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pp. 394-404 

  44. 최선형, 이은영 (1990). 의복 구매태도 형성과정시 감정의 역할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3), pp. 222-228 

  45. 박은주, 소귀숙 (2000). 의류제품 구매시 감정적 요인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4(3), pp. 361-372 

  46. Gardner, M. P. (1985). Mood States and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rach, 12(3), pp. 281-300 

  47. 유창조 (1996). 쇼핑행위의 경험적 측면: 쇼핑시 느끼는 기분이나 감정이 매장태도와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7(1), pp. 51-73 

  48. 서문식, 김상희 (2002). 성별에 따른 인터넷 쇼핑상황에서의 감정적 반응이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과학연구, 9, pp. 101-128 

  49. Assael, H. (2004). Consumer Behavior: Strategic Approach.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pp. 43-46 

  50. 임종원, 이재일, 홍성태, 이유재 (2006). 소비자행동 론: 이해와 마케팅에의 전략적 활용(제3판). 서울:경문사, pp. 116-118 

  51. 장세정, 이유리. (2008).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 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4), pp. 669-680 

  52. 오미영, 박종민, 장지호 (2003). 상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대한 원산지효과 연구: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2), pp. 23-49 

  53. 최선형, 이은영 (1990). 의복 구매태도 형성과정시 감정의 역할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3), pp. 222-228 

  54. Nunnally, J. C. (1976).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55.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The Guilford Press 

  56. 장세정, 이유리. (2008).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 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4), pp. 669-680 

  57. 오미영, 박종민, 장지호 (2003). 상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대한 원산지효과 연구: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2), pp. 23-49 

  58. 신경수, 김진학 (2007).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1(2), pp. 259-2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