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꽃매미의 식물에 대한 선호도을 조사한 결과, 가죽나무와 포도나무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사과나무, 배나무, 무궁화나무, 소나무와 복숭아 나무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7종 식물에 대하여 꽃매미 약충과 성충은 가죽나무와 포도나무에서 가장 오래 생존하였고, 다른 식물에서는 생존기간이 짧았다. 과수열매에서는 거의 생존하지 못하였다. 꽃매미의 섭식행동 분석결과, 약충과 성충 모두 가죽나무와 포도나무에서 섭식하지 않는 시간(non-probing time)은 가장 짧았고, 체관부 섭식시간(phloem-feeding time)은 가장 길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식물과 열매에서는 체관부 섭식시간이 0분으로 섭식을 하지 못하였다. 5종 식물을 당 분석한 결과, 가죽나무는 sucrose 함량이 가장 높았고 fructose > glucose순으로, 포도나무에는 glucose > fructose > maltose > sucrose > rhamnose순이고, 사과나무는 glucose > fructose, 배나무는 glucose > unknown > fructose, 무궁화나무는 sucrose > glucose 순으로 당 성분이 존재하였다. Parafilm membrane 검정법으로 생존기간을 조사한 결과, 약충과 성충 모두 sucrose 5%용액에서 가장 생존기간이 길었으며, fructose 5%용액이 그 다음이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에서는 짧은 수명을 나타내었다. 분석된 당 성분의 조합에 의한 검정에서도 약충과 성충 모두 가죽나무와 포도나무의 당 성분조합에서 다른 당 성분조합과 비교하여 긴 수명을 보였다. 당 성분이 꽃매미가 기주를 선택하고 섭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st preference was tested on the 7 species plants against ggot-mae-mi,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This insect highly preferred Ailanthus altissima and Vitis vinifera however, didn't choose the other plants preferentially. Both nymphs and adults lived longest in A. altissima and V.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번 파형은 non penetration으로 구침의 활동이 없을 때 나오는 파형으로, 표시된 부분은 구침을 찌르긴 하였지만, 구침활동이 일어나지 않아 전압의 변화가 없는 상태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섭식행동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EPG를 이용한 섭식파형은 진딧물에서 5가지 패턴을 보여주고(Tjallingii, 1978, 1985; Kimmins et al., 1987) 멸구류는 6가지(Kim et al., 2005; Youn and Chang, 1993), 담배가루이는 7가지 패턴(Lei et al., 1996; Lei et al., 1999; Jiang et al., 1999; Yang et al., 2009)으로 분석되었으나, 본 실험에서는 보고된 곤충들의 섭식파형을 참고하여 꽃매미의 섭식에 중요한 4가지 파형을 분류하여 섭식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7종 식물에 대한 꽃매미의 섭식행동 차이를 분석하고 각 식물의 당 성분이 기주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방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Mitsuhashi and Koyama (1969)는 당 성분을 혼합하여 벼멸구의 생존율을 보았는데 glucose와 fructose를 혼합하였을 경우 glucose 단독 처리시 보다 생존율이 낮아졌으며, sucrose와 maltose를 혼합하였을 경우 혼합양에 따라 생존율이 달라졌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당을 중심으로 섭식자극물질을 연구하였다. 하지만 당 이외의 성분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다.

가설 설정

  • 꽃매미 또한 자기가 원하는 기주를 찾아가는데 이런 휘발성물질을 감지했을 거라 생각된다. 분명 기주와 비기주식물이 방출하는 휘발성 물질은 다를 것이다. 이런 물질에 대한 꽃매미의 반응은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지만, 꽃매미를 식물로 유도하거나 기피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매미의 기주식물로 알려져 있는 종은? , 2008). 가죽나무, 참죽나무, 소태나무, 미국 담쟁이덩굴, 머루, 포도나무 등 목본 38종과 초본 3종 등 41종이 꽃매미의 기주식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2009).
꽃매미 성충의 경우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인 식물은? 약충은 가죽나무와 포도나무의 선호도가 차이가 났으며, 다른 식물은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성충의 경우, 가죽나무와 포도나무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소나무가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많은 곤충들이 기주식물을 찾아가는데 후각적인 요소로 기주식물의 냄새를 이용한다고 알려져 있다(Visser, 1986).
꽃매미가 분포하는 지역과 환경의 특징은? 꽃매미는 많은 개체들이 무리를 지어 생활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줄뿐 아니라, 식물을 흡즙하고 배설물을 배출하여 광합성을 저해하거나 그을음병을 생기게 하고, 심할 경우 고사시킨다. 1932년 Doi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된 (Doi, 1932) 꽃매미는 중국 및 동남아시아 등의 비교적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서식하는 아열대성 곤충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2006년부터 중국에서 유입되어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Han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ernays, E.A. and S.J. Simpson. 1982. Control of food in-take. Adv. Insect Physiol. 16:59-118 

  2. Campbell, B.C., D.L. Mclean, M.G. Kinsey, K.C. Jones and D.L Dreyer. 1982. Probing behavior of the greenbug (Schizaphis graminum, biotype C) on resist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of sorghum. Entomol. Exp. Appl. 31: 140-146. 

  3. Davis, J.A. and Radcliffe E.B. 2008. Reproduction and feeding behavior of Myzus persicae on four cereals. J. Econ. Entomol. 101: 9-16 

  4. Dixon, A.F.G. 1998. Aphid ecology, 2nd ed. Chapman & Hall, London, United Kingdom 

  5. Doi, H. 1932. Miscellaneous notes on insects 1. J. chosen Natural Hist. Soc. 13: 30-49 (In Japanese) 

  6. Endo, N., M. Abe, T. Sekine and K. Matsuda. 2004. Feeding stimulants of solanaceae-feeding lady beetle, Epilachna gintioctomaculata (Coleoptera: Coccinellidae) from potato leaves. Appl. Entomol. Zool. 39: 411-416 

  7. Han, J.M., H. Kim, E.J. Lim, S. LEE, Y. J. Kwon and S. Cho. 2008.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Auchenorrhyncha: Fulgoridae: Aphaeninae), finally, but suddenly arrived in Korea. Entomol. Res. 38: 281-286 

  8. Honda, K., N. Hayashi, F. Abe and T. Yamauchi. 1997. Pyrrolizidine alkaloids mediate host-plant recognition by ovipositing females of an old world danaid butterfly, Idea leuconoe. J. Chem. Ecol. 23: 1703-1713 

  9. Hori, M., K. Ohuchi and K. Matsuda. 2006. Role of host plant volatile in the host-finding behavior of the strawberry leaf beetle, Galerucella vittaticollis Baly (Coleoptera: Chrysomelidae). Appl. Entomol. Zool. 41: 357-363 

  10. Hsiao, T.H. and Fraenkel 1968. Isolation of phagostimu-lative substances from the host plant of the colorado potato beetle. Ann. Entomol. Soc. Am. 61: 476-484 

  11. Jiang, Y.X., H. Lei, J.L. Collar, B. Martin, M. Muniz and A. Ferered. 1999. Proboing and feeding behaviour of two distinct biotypes of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on tomato plants. J. Econ. Entomol. 92: 357-366 

  12. Jung, J.K. and D.J. Im. 2005. Feeding inhibition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Homoptera: Delphacidae) on a resistant rice variety. J. Asia pacific Entomol. 8: 301-308 

  13. Khan, Z.R. and R.C. Saxena. 1985. Mode of feeding and growth of Nephotettix virescens (Homoptera: Cicadellidae) on selected resistant and susceptible rice varieties. J. Econ. Entomol 78: 583-587 

  14. Kim, N.S., M. J. Seo and Y. N. Youn. 2005. Characteristics of feeding behavior of the ric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usin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EPG) technique on different rice varieties. Korean J. Appl. Entomol. 44: 177-187 

  15. Kimmins, F.M., A.G. Cook and S. Woodhead. 1987. Resistance mechanism in rice to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proceeding of the sixth international symposium, Insect-plant relationship, pp. 238-288 

  16. KFRI., 2007. Annual report of monitoring for forest insect pests and diseases in Korea. 151pp.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ungmunsa, Seoul 

  17. Lei, H., J.C. van Lenteren and W.F. Tjallingii. 1999. Analysis of resistance in tomato and sweet pepper against the greenhouse whitefly using electrically monitored and visually observed probing and feeding behaviour. Entomol. Exp. Appl. 92: 299-309 

  18. Lei, H., W.F. Tjallingii, J.C. van Lenteren and R. M. Xu. 1996. Stylet penetration by larvae of the greenhouse whitefly on cucumber. Entomol. Exp. Appl. 79: 77-84 

  19. Luo, S., et al. Effects of six sugars on the longevity, fecundity and nutrient reserves of Microplitis mediator. Biological Control (2009), doi: 10. 1016/j.biocontrol. 2009.09.002 

  20. McLean, D.L. and M.G. Kinsey. 1967. Probing behavior of the pea aphid, Acyrthosiphon pisum. I. Definite correlations of electronically recorded waveforms with aphid probing activities. Ann. Entomol. Soc. Am. 60: 400-406 

  21. Miller, J.R. and T.A. Miller. 1986. Insect-plant interactions. 342pp. Springer-Verlag, New York, Berlin Heidelberg 

  22. Mitsuhashi, J. and K. Koyama. 1969. Survival of smaller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on carbohydrate solutions (Hemiptera: Delphacidae. Appl. Entomol. Zool. 4: 185-193 

  23. Mittler, T.E. and R.H. Dadd. 1962. Artificial feeding and rearing of the aphid Myzus persicae (Sulzer), on a completely defined synthetic diet. Nature 195: 404 

  24. Naskrecki, P. and K. Nishida. 2007. Novel trophobiotic interactions in lantern burgs (Insecta: Auchenorrhyncha: Fulgoridae). J. Natural Hist. 41(37-40): 2397-2402 

  25. Onagbola, E.O., H.Y. Fadamiro and G.N. Mbata. 2007. Longevity, fecundity and progency sex ratio of Pteromalus cerealellae in relation to diet, host provision and mating. Biol. Con. 40: 222-229 

  26. Renwick, J.A. and F. S. Chew. 1994. Oviposition behavior in Lepidoptera. Annu. Rev. Entomol. 39: 377-400 

  27. SAS Institute. 2003. SAS/STAT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1 Institute, Cary, N.C., U.S.A 

  28. Tjallingii, W.F. 1978. Electrical recording of plant penetration by aphid. Entomol. Exp. Appl. 24: 521-530 

  29. Tjallingii, W. F. 1985. Electrical nature of recorded signals during stylet penetration by aphid. Entomol. Exp. Appl. 38: 177-186 

  30. Tjallingii, W.F. 1988. Electrical recording of stylet penetration activities. aphids, their biology, natural enemies and control, Vol. B (ed. by A.K. Minks and Harrewijn), pp. 98-108.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 V., Amsterdam 

  31. Tjallingii, W.F. and A. Mayoral. 1992. Criteria for host acceptance by aphids. In: S. B. J. Menken, J. H. visser, P. Harrewijn (eds.), Processing 8th Int. Symp. Insect-Plant Relationship,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pp. 280-282 

  32. Visser, J.H. 1986. Host odor perception in phytophagous insect. Annu. Rev. Entomol. 31: 121-144 

  33. Ward, S.A. 1991. Reproduction and host selection by aphids: the importance of 'rendezvous' hosts, pp. 202-226. In Reproductive behaviour in insects. eds. W. J. Bailey and J. Ridsdill-Smith, Chapman & Hall, London, United Kingdom 

  34. Xiao, C., P. C. Gregg, W. Hu, Z. Yang and Z. Zhang. 2002. Attraction of the cotton bollworm, Helicoverpa armigera (Hubner) (Lepidoptera: Noctuidae), to volatiles from wilted leaves of a non-hostplant, Pterocarya stenoptera. Appl. Entomol. Zool. 37: 1-6 

  35. Xiao, G. 1991. Forest insect of China, forest research institute. 1361pp. Chinese Academy of Forestry, Beijing 

  36. Yang, J.O., E.H. Kim, C.M. Yoon, K.S. Ahn and K.H. Kim. 2009. Comparison of feeding behavior of B and Q biotype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 Aleyrodidae) against red pepper and tomato varieties. Korean J. Appl. Entomol. 48: 179-188 

  37. Youn, Y.N. and Y.D. Chang. 1993. Electrical feeding patterns and stylet movement of ric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Homoptera), in rice tissue. Korean J. Appl. Entomol. 32: 208-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