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단층대 중동부에 발달하는 제4기 개곡 6단층에 대한 보고
A Report for the Quaternary Gaegok 6 Fault Developed in the Mid-eastern Part of Ulsan Fault Zone,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2 no.6, 2009년, pp.635 - 643  

류충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단층대 중동부의 동변인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남부에서 제3기초의 화강암이 제4기의 미고결 모래층이나 자갈층과 단층을 경계로 접하고 있다. 새로이 알려진 이 단층(개곡 6단층)은 $N02^{\circ}{\sim}22^{\circ}E$주향$45^{\circ}{\sim}80^{\circ}W$의 경사를 보인다. 이 단층은 풍화된 화강암의 단층각력과 함께 제4기 퇴적물로 뒤섞인 30~50 cm 폭의 쇄성전단대와 단층비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주된 단층조선의 자세는 $17^{\circ}$, $356^{\circ}$이며, 정단층성 운동성분을 가지는 우수향의 주향이동을 보인다. 이와 함께 주단층면을 자르며 서쪽 블록이 상승한 역단층운동을 지시하는 단층조선($78^{\circ}$, $278^{\circ}$$43^{\circ}$, $270^{\circ}$)도 관찰된다. 개곡 6단층은 이미 확인된 이 지역의 제4기 단층들과는 달리 서측 제3기초의 화강암이 동측의 제4기 역층을 올라탄, 외견상 서측이 상승한 형태를 보인다. 단층의 조선과 전단증거에 의하면 2회 이상의 단층운동과 관련한 압축운동기가 존재했음을 지시하고 있다. 개곡 6단층은 방향성, 서측으로 경사하는 기하학적인 양상, 그리고 서측이 상승한 운동학적인 양상 등이 북쪽에서 확인된 개곡 1단층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개곡 6단층은 개곡 1단층의 남쪽 연장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Quaternary fault is described, which is developed in the mid-eastern part of Ulsan Fault Zone, near the southern Gaegok-ri, Oedong-eub, Gyeongju, Korea. The Gaegok 6 fault is developed along the contact between Early Tertiary granite and Quaternary gravel deposit overlying unconfo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 2003). 이후, 공장부지조성을 위해 새롭게 개석된 큰 절개면에서 보다 다양한 제4기 단층의 양상이 관찰되어 이를 자세히 기재하며, 주변에서 이미 발견된 다른 제4기 단층들과 비교 및 연장 관계를 검토하였다.

대상 데이터

  • 단층 노두가 발달하는 곳은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의 마을 앞 주차장에서 남남동쪽 약 1,500 m 지점(N35o43'45.4", E129°20'10.7")이다(Fig. 2).
  • 최근 개곡리의 마을 앞 주차장에서 남남동으로 약 1,500 m 지점의 공장부지를 조성하는 사면에서 개곡 6단층의 노두가 새로이 확인되었다(Fig. 2). 그러나 이들 제4기 단층들 간은 물론 북쪽에서 확인된 말방단층(Okada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산단층대 중동부의 동변인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남부에서 제3기초의 화강암이 무엇을 경계로 접하고 있는가? 울산단층대 중동부의 동변인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남부에서 제3기초의 화강암이 제4기의 미고결 모래층이나 자갈층과 단층을 경계로 접하고 있다. 새로이 알려진 이 단층(개곡 6단층)은 $N02^{\circ}{\sim}22^{\circ}E$의 주향에 $45^{\circ}{\sim}80^{\circ}W$의 경사를 보인다.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일원의 지질의 특징은 무엇인가?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일원의 지질은 제3기초 화강암과 안산암, 그리고 암맥 등이 발달하고 있으며, 제4기의 선상지 퇴적층이 이들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Jin et al., 1991; Chwae et al.
경주-울산 사이의 울산단층대에 존재하는 제4기 단층의 관찰에 한계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아직도 이들의 분포나 연장성으로 구분되는 기하학적인 발달 특성은 물론 운동학적이고 동력학적인 양상 및 단층운동시기와 이 일대에 자주 발생하는 지진활동과의 연관성에 대해 불확실한 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층의 분포와 연장성을 찾는 것이나, 단층들이 대체로 불국사 산맥의 서편에 넓게 분포하는 충적선상지 퇴적층에 의해 덮여 있거나 단층면이 침식, 삭박되어 단층의 관찰에 한계가 있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ang, T. W. (2001) Quaternary tectonic activity at theea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J. Geol. Soc. Korea, v.37, p.431-444 

  2. Choi, P.-y., Lee, C.-B., Ryoo, C.-R., Choi, Y.S., Kim, J.-Y.,Hyun, H.-J., Kim, Y.-S., Kim, J.-Y. and Chwae, U.(2002a) Geometric analysis of the Quaternary MalbangFault: Interpretation of bore hole and surfacedat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8,p.163-174 

  3. Choi, P.-Y., Kwon, S.-K., Hwang, J.-H., Lee, S. R. and An,G.-O. (2001) Paleostress analysis of the Pohang-Ulsanarea, Southeast Korea: tectonic sequence and timingof block rotation. Geosciences Journal, v.5, p.1-18 

  4. Choi, P.-Y., Ryoo, C.-R., Kwon, S.-K., Chwae, U., Hwang,J.-H, Lee, S.R. and Lee, B.-J. (2002b) Fault tectonicanalysis of the Pohang-Ulsan area, SE Korea: Implicationsfor active tectonic movemen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8, p.33-50 

  5. Choi, W.-H. (2003) Neotectonics of the Gyeongju-Ulsanarea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Thesis of Ph.D., Seoul National Univ., 205p 

  6. Chwae, U., Park, K.-S., Lee, D.-Y., Chi, H.-C., Lee, B.-J.,Ryoo, C.-R., Chae, B.-G., Kim, W.-Y., Yoo, I.-H., Choi,Y.-S., Jeon, J.-S., Kim, Y.-S., Choi, B.-Y., Lee, C.-W.,Han, H.-C., Lee, S.-R., Jin, J.-H., Lee, C.-C., Kim, K.-S., Park, P.-H., Lee, H.-K. and Park, S.-C. (1997) An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capable fault in Koreanpeninsula. KIGAM Research Report KR-97(C)-5, p.1-287 

  7. Chwae, U., Ryoo, C.-R., Kee, W.S., Lee, B.J., Lee, B.-J.,Hwang, J.H., Park, K.-H., Choi, Y.-S., Choi, S.J., Choi,P.-Y., Cho, D.-L., Kim, B.C., Song, K.Y., Chae, B.-G.,Kim, W.-y., Kim, J.-R., Lee, S.K., Cho, S.-J., Hwang,S.H., Hwang, H.S., Kim, Y.-S., Hyun, H.-J., Park, I.H.,Lee, H.-i., Lee, D.Y., Lee, C.B., Kim, J.-Y., Yang, D.Y.,Park, D.W., Shin, S.-C., Kim, Y., Kim, I.-J., Yoo, J.-H.,Jin, M.-S., Jun, M.-S., Chi, H.C., Jeon, J.-S., Shin, I.-C.,Kang, I.-P., Shin, H.-M., Kwon, M.C., Oh, S.J., Kim,S.G., Im, M.S., Kim, S.K., Cheong, H.Y., Lee, H.-K.,Park, Y., Lee, Y.-J., Lee, K., Kim, S.G., Jo, B.G., Baag,C.E., Kim, S.K., Kim, W.H., Kim, Y.J., Shin, H.C. andJeon, J.-Y. (1998) Final report of the re-evaluation tothe design base earthquake considering the YangsanFault.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1694p 

  8. Hwang, S.I. (1998) The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fans and tectonic movements at Ha-Dong,Kyungju-City.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v.5, 189-200 

  9. Hwang, S.I. and Yoon, S.O. (1999) The active fault topographyon the northern part of Bulguksa fault systemin Kyungju City, southeast Korea. Proceedings Korea-Japan/Japan-Korea Geomorphological Conference, Chonju,Korea, 49-51 

  10. Inoue, D. and Choi, W.-H. (2006) The activity of theUlsan Fault System based on marine terrace agestudy at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CRIEPI Report No. N05012, p.1-83, Central Research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Chiba, Japan 

  11. Jin, M. S., Kim, S. J. and Shin, S. C. (1991) K-Ar and fission-track datings for the granitic rocks in the southeasternKorea: Igneous activities and tectonicimplication. Korea Inst. of Energy and Resour., Res.Rep. KR-90-1B-2, p.57-98 

  12. Kang, J.-H., Son, M. and Lee, C. G. (2004) Geometric andkinematic characteristics of neotectonic fault zone inthe Singye-ri valley, Oedong-eup, Gyeongju, Korea:consideration and discussion. Proceedings of the Societyof Structural Geology, Korea, v.2. 26-30 

  13. Kyung, J.B. (1997) Paleoseismological study on the midnorthernpart of Ulsan Fault by trench metho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7, p.81-90 

  14. Lee, B.J., Ryoo, C.-R., Cho, D.-L., Choi, S.-J. and Chwae,U. (1999) Quaternary crustal deformation in the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2, 578-582 

  15. Lee, B.J., Ryoo, C.-R. and Chwae, U. (1998) Quaternaryfaults in marine terrace along the southeastern coastof the Korean Peninsula. In: Koh, H.J. and Lee, B.-J.(eds.), Tectonic evolution of East Asia: The First Joint Meeting of Japanese and Korean Structure and Tectonic Research Group, 159-164 

  16. Lee, B.J., Ryoo, C.-R. and Chwae, U. (1999) Quaternaryfault in the Yangnam area, Kyongju,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5, p.1-14 

  17. Lee, H.-K. and Schwarcz, H.P. (2001) ESR dating of thesubsidiary faults in the Yangsan fault system, Korea.Quaternary Science Reviews, v.20, p.999-1003 

  18. Lee, Y. H. (2003) Quaternary faults in the eastern area ofthe Ulsan Fault (Korea). Thesis of Ms., PusanNational Univ., 74p 

  19. Lee, Y. H., Son, M., Ryoo, C.-R., Kim, I.-S. and Chwae, U.(2002) Quaternary faults developed in the Bulgukdong,Gyeongju of the eastern part of the Ulsan FaultZone, Korea: Jinti Fault, Hwalseong-ri Fault, GaegokFault. Abstracts with programs of 2002 Spring AnnualMeeting,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p.36 

  20. Oh, G.H. (1977) The geomorphic history of the southeastern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Geogr. Review Japan, v.50, p.689-699 (in Japanese) 

  21. Oh, G.H. (1981) Marine terraces and their tectonic deformationon the coast of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ulletin of the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Tokyo, Japan, v.13, p.11-61 

  22. Okada, A., Watanabe, M., Suzuki, Y., Kyung, J.-B., Jo, W.-R. and Kim, S.-K. (1995) Active fault topography andfault outcrops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system, southeastern Korea. Program of Japan Earthand Planetary Science Joint Meeting, A31-R22, p.40(in Japanese) 

  23. Okada, A., Watanabe, M., Suzuki, Y., Kyung, J.-B., Jo, W.-R., Kim, S.-K., Oike K. and Nakamura, T. (1998) Active fault topography and fault outcrops in the centralpart of the Ulsan fault system, southeast Korea. J.Geogr. v.107, p.644-658 (in Japanese with Englishabst.) 

  24. Park, Y., Ree, J.-H. and Yoo, S.-H. (2006) Fault slip analysisof Quaternary faults in southeastern Korea,Gondwana Res., v.9, p.118-125 

  25. Ree, J.-H., Lee, Y.-J., Rhodes, E. J., Park, Y., Kwon, S.-T.,Chwae, U., Jeon, J.-S. and Lee, B.-J. (2003) Quaternaryreactivation of Tertiary faults in the southeasternKorean Peninsula: Age constraint by optically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Island Arc, v.12, p.1-12 

  26. Ryoo, C.-R. (1997) Fault system in the southeastern Korea : 'Kyongju' horsetail structure as a new syntheticinterpretation. In Lee, Y. I. and Kim, J. H., eds.,1997, Tectonic Evolution of Eastern Asian Continent : Short papers for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GeologicalSociety of Korea, p. 22-27 

  27. Ryoo, C.-R., Chwae, U., Choi, S.-J. and Son, M. (2001) Quaternary faults in Hwalseong-ri, Oedong-up, Gyeongju,Korea. KIGAM Bulletin, v.5, p.24-33 

  28. Ryoo, C.-R., Kim, G. S., Kim, S. W., Choi, E. K., Lee, H.J., Son, M., Lee, Y. H., Choi, S.-J. and Chwae, U. (2003) Quaternary faults and geophysical survey in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Zone, Korea. Proceedingsand guidebook of 19th symposium and fieldexcursion of the structural and energy geology division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p.56-81 

  29. Ryoo, C.-R., Kyung, J.B. and Kim, I.-S. (1997) Neotectonicmovement and geomorphologic developme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Ulsan Fault Zone (Korea).Abstracts with programs of 30th Annual Meeting,The Korea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p.14 

  30. Ryoo, C.-R., Lee, B.J. and Chwae, U. (2000) Quaternaryfault and its remote sensing image in the southeastern Korea. CCOP Technical Bulletin, v.29, p.5-28 

  31. Ryoo, C.-R., Lee, B. J., Son, M., Lee, Y. H., Choi, S.-J. and Chwae, U. (2002) Quaternary faults in Gaegok-ri,Oedong-eup, Gyeongju,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Society of Korea, v.38, p.309-323 

  32. Ryoo, C.-R., Son, M., Lee, Y. H., Choi, S.-J. and Chwae,U. (2004) Quaternary faults around Bulguk-sa, Gyeongju, Korea. KIGAM Bulletin, v.8, p.3-17 

  33. Ryoo, C.-R. and Yang, K. (1996) Quaternary fault in thevicinity of Kyeongju city, Korea. Programs of InternationalSymposium on Natural History and Environment, p.67 

  34. Ryoo, C.-R., Yang, K., Lee, S.-W. and Kim, I.-S. (1996) Quaternary fault in the vicinity of the Ulsan fault. The Journal, College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Pusan, Korea, v.33, p.311-327 

  35. Son, M. and Ryoo, C.-R. (1999) Quaternary faults in thenortheastern part of the Ulsan Fault Zone, Korea. Proceedings Korea-Japan / Japan-Korea Geomorphological Conference, 17-18, August, 1999, Chonju,Korea, 145-146 

  36. Song, M.-Y. and Kyung J. B. (1996) A geophysical survey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and determinationof fault charactericstics.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17, p.205-2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