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 매곡동 일대의 대규모 단층대 특성과 제4기 단층운동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Fault Zone and Quaternary Fault Movement in Maegok-dong, Ulsan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5 no.4, 2015년, pp.485 - 498  

최진혁 (파리지구물리연구소) ,  김영석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권세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에드워즈폴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레자이쏘레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태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임순복 ((주)코어스이엔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광역시 매곡동 일대에서 새롭게 발견된 단층대의 기하학적, 운동학적 특성 및 제4기 단층운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야외조사를 통한 지질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퇴적암이 분포하는 첫 번째 조사지점에서는 100 m 내외의 절취사면을 따라 반복층서, 소규모 단층, 단열대, 변형띠대 등이 연속적으로 관찰되고 있어, 이 지점은 대규모 단층의 손상대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주로 화강암 암편으로 구성된 쇄설성 퇴적층이 분포하는 두 번째 조사지점에서는 저각의 경사를 보이는 여러 조의 단층이 서로 분지 또는 결합하는 형태로 발달하고 있어 대규모 역단층이 발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단층의 단층비지 내에 포함된 유기물의 방사성탄소연대에 기초해 추론된 단층의 최후기 운동시기는 33,275 ± 355년 전 이후로 제한된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단층대의 손상대 규모, 운동감각, 운동시기 등은 이 단층대가 연구지역 인근의 대규모 신기단층으로 알려진 울산단층 또는 연일구조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구지역 일대에 조성 중인 산업단지와 아파트를 비롯한 여러 시설물에 대한 지진 및 지질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 지역에서의 지질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구조지질학 및 고지진학 관점에서 이 단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uctural analysis for a large-scale fault in Maegok-dong, Ulsan, was carried out based on filed-works to investigate the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fault as well as its Quaternary slip. As results, a series of repeated stratigraphy, minor faults, fracture zones, and deform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이 단층대 주변에서 새롭게 확인된 제4기 단층운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층비지대 내에 포함된 유기물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들 조사결과를 토대로 연구지역 일대의 대규모 신기단층 및 신기지체구조운동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일대에 조성 중인 시설물에 대한 지진 및 지질공학적 안전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특히, 이번 연구지역은 기존에 알려진 한반도 남동부의 대규모 신기구조선인 울산단층 및 연일구조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이 단층과 기존 구조선과의 상관성 및 신기지체구조운동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조성 중인 산업단지를 비롯한 연구지역의 전반적인 지진 및 지질학적 안정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최근 울산광역시 북구 매곡동 일대의 산업단지 조성공사로 인해 새롭게 노출된 대규모 단층대에 대해 조사하였다. 우선, 야외지질조사를 통해 단층대에서 관찰되는 소규모 단층, 단열, 변형띠 등의 다양한 지질구조에 대한 기하학적 및 운동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 또한 이 단층대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절취사면에서 새롭게 확인된 제4기 단층운동의 운동감각과 활동시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지역은 기존에 알려진 한반도 남동부의 대규모 신기구조선인 울산단층 및 연일구조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이 단층과 기존 구조선과의 상관성 및 신기지체구조운동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조성 중인 산업단지를 비롯한 연구지역의 전반적인 지진 및 지질학적 안정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이 사암층은 앞서 언급된 백악기 퇴적암의 동측부에도 분포하지만(Fig. 3d), 층리가 비교적 수평에 가까운 점에서 서측부에서 분포하는 사암층과 구분된다. 이 지층 내에는 비교적 높은 밀도의 변형띠가 망상으로 발달하는데, 대체적으로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주향이 우세하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Caine, J. S., Evans, J. P., and Foster, C. B., 1996, Fault zone architecture and permeability structure, Geology, 24(11), 1125-1128. 

  2. Chester, F. M. and Logan, J. M., 1986, Composite planar fabric of gouge from the Punchbowl fault zone, California,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9(5-6), 621-634. 

  3. Chester, F. M., Evans, J. P., and Biegel, R. L., 1993, Internal structure and weakening mechanisms of the San-Andreas faul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8(B1), 771-786. 

  4. Chi, H.-C., Park, J.-H., Kim, G., Shin, J.-S., Shin, I.-C., Lim, I.-S., Jeong, B., and Sheen, D.-H., 2010, Earthquake Monitoring: Future Strategy, Jigu-Mulli-wa-Mulli-Tamsa, 13(3), 268-2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ilds, C., Walsh, J. J., and Watterson, J., 1997, Complexity in fault zone structure and implications for fault seal prediction, In: Moller-Pedersen, P., Koestler, A. G. (Eds.), Hydrocarbon Seals: Importance for Exploration and Production, Norwegian Petroleum Society (NPF), Special Publication 7, 61-72. 

  6. Childs, C., Manzocchi, T., Walsh, J. J., Bonson, C. G., Nicol, A., and Schopfer, M. P. J., 2009, A geometric model of fault zone and fault rock thickness variation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31(2), 117-127. 

  7. Choi, J.-H., Yang, S.-J., and Kim, Y.-S., 2009, Fault zone classifi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ern Yangsan fault in the Sangcheon-ri area,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1), 9-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i, P.-Y., Kwon, S.-K., Hwang, J.-H., Lee, S. R., and An, G. -O., 2001, Paleostress analysis of the Pohang-Ulsan area, Southeast Korea: tectonic sequence and timing of block rotation, Geosciences Journal, 5(1), 1-18. 

  9. Chough, S. K., Kwon, S.-T., Ree, J.-H., Choi, D. 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Science Reviews, 52, 175-235. 

  10. Chough, S. K. and Sohn, Y. K., 201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a Cretaceous continental arcbackarc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New view, Earth-Science Reviews, 101, 225-249. 

  11. Chwae W. C., Choi, S. J., Lee, B. J., Lee, Y. J., Ryoo, C. R., and Song, M. J., 2000, Neotectonic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N2-01-02-A-01,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429p (in Koeran). 

  12. De Joussineau, G. and Aydin, A., 2007, The evolution of damage zone with fault growth in sandstone and its multiscale characteristic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B12401). doi:10.1029/2006JB004711 

  13. Faulkner, D. R., Lewis, A. C., Rutter, E. H., 2003, On the internal structure and mechanics of large strike-slip fault zones: field observations of the Carboneras fault in southeastern Spain, Tectonophysics, 367(3-4), 235-251. 

  14. Faulkner, D. R., Jackson, C. A. L., Lunn, R. J., Schlische, R. W., Shipton, Z. K., Wibberley, C. A. J., and Withjack, M. O., 2010,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concerning the structure, mechanics and fluid flow properties of fault zone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32(11), 1557-1575. 

  15. Fossen, H., Schultz, R. A., Shipton, Z. K., and Mair, K., 2007, Deformation bands in sandstone: a review,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64(4), 1-15. 

  16. Houng, S. E. and Hong, T.-K., 2013,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Korean historical earthquake record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3(5), 2782-2796. 

  17. Inoue, D. and Choi, W.-H., 2006, The activity of the Ulsan Fault System based on marine terrace age study at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CRIEPI Report NO5012,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1-82. 

  18. Jin, S. and Park, P.-H., 2007, Tectonic activities and deformation in South Korea constrained by GPS observ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logy, 1(2), 11-15. 

  19. Jun, M.-S. and Jeon, J. S., 2010, Focal mechanism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igu-Mulli-wa-Mulli-Tamsa, 13(3), 198-2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ee, W.-S., Kihm, Y. H., Lee, H., Cho, D. L., Kim, B. C., Song, K.-Y., Koh, H. J., Lee, S. R., Yeon, Y.-K., Hwang, S., Park, K. G., and Seong, N.-H., 2009, Evaluation and database construction of Quaternary faults in SE Kore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IP2006-047-2009(1), 327p (in Korean). 

  2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08, Development of landslide prediciton technology and damage mitigation countermeasure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56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im, I.-S., Son, M., Jung, H.-J., Lee, J.-D., Kim, J.-J., and Paik, I. S., 1998,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Kyongju-Ulsan area: Palaeomagnetism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granite rocks in the Ulsan fault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1(1), 3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im, Y.-S. and Sanderson, D. J.,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lacement and length of faults: a review, Earth-Science Reviews, 68(3-4), 317-334. 

  24. Kim, Y.-S., Jin, K., Choi, W.-H., and Kee, W.-S., 2011, Understanding of active faults: A review for recent research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6), 723-752. 

  25. Kyung, J. B., 1997, Paleoseismological study on the midnorthern part of Ulsan Fault by trench method,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7(1), 8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Kyung, J. B., 2010, Paleoseismological study and evaluation of maximum earthquake magnitude along the Yangsan and Ulsan Fault zone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Jigu-Mulli-wa-Mulli-Tamsa, 13(2), 187-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Knott, S. D., Beach, A., Brockbank, P. J., Brown, J. L., McCallum, J. E., and Welbon, A. I., 1996, Spatial and mechanical controls on normal fault population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18(2-3), 359-372. 

  28. Lee, K. and Um, C. R., 1992, Geoelectric survey of the Ulsan fault: Geophysical studies on major faults in the Kyeongsang Bas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8(1), 32-39. 

  29. Lee, K. and Yang, W.-S., 2006, Historical seismicity of Kore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6(3), 846-855. 

  30. Lee, H. K. and Schwarcz, H. P., 2001, ESR dating of the subsidiary faults in the Yangsan fault system,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0(5), 999-1003. 

  31. Park, J.-C., Kim, W., Chung, T. W., Baag, C.-E., and Ree, J.-H., 2007, Focal mechanisms of recent earthquake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69(3), 1103-1114. 

  32. Okada, A., Watanabe, M., Suzuki, Y., Kyung, J. B., Jo, W. R., Kim, S. K., Oike, K., and Nakamura, T., 1998, Active fault topography and fault outcrops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system, southeast Korea, Journal of Geography (in Japanese), 107(5), 644-658. 

  33. Ree, J.-H., Lee, Y.-J., Rhodes, E.J., Park, Y., Kwon, S.-T., Chwae, U., Jeon, J.-S., and Lee, B., 2003, Quaternary reactivation of Tertiary faults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Age constraint by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Island Arc, 12(1), 1-12. 

  34. Rhee, H.-M., Seo., J.-M., Sheen, D.-H. and Choi, I.-K., 2012,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on metropolitan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3), 259-273. 

  35. Saint Louis University Earthquake Center, 2015, Retrieved from http://www.eas.slu.edu/Earthquake_Center . 

  36. Son, M., Lee, Y. H., Kim, I.-S., and Chang T. W., 2001, Quaternary thrust fault (Chail fault) in Chail village, Nongso 1-dong, Buk-gu, Ulsan-si, Annual Fall Meeting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65 (In Korean). 

  37. Son, M., Chong, H.-Y., and Kim, I.-S., 2002,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vicinitie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Yonil Tectonic Line,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2), 175-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Son, M., Song, C. W., Kim, M.-C., Cheon, Y., Jung, S., Cho, H., Kim, H.-G. Kim, J. S., and Sohn, Y. K., 2013,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1), 93-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Song, M.-Y. and Kyung, J. B., 1996, A geophysical survey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and determination of fault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7(2), 205-212. 

  40. Wells, D. L. and Coppersmith, K. J., 1996, New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magnitude, rupture length, rupture width, rupture area, and surface displacement,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84(4), 974-1002. 

  41. Yoon, S. H. and Chough, S. K.,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7(1), 83-97. 

  42. Yoon., S., 1979, The Tertiary deposits of the Ulsan Basin. No. 2. Molluscan Fossils,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5(1), 1-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