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2-2004년의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상황 및 약제처리에 의한 애멸구의 화학적 방제
Incidence of Rice stripe virus during 2002 to 2004 in Korea and Chemical Control of Small Brown Plant Hopper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3 no.4, 2009년, pp.309 - 314  

박진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진태성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최홍수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이수헌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신동범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 ,  오인석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 ,  이상계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이민호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최병렬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잡곡과) ,  배순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잡곡과) ,  김진영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한광섭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생물환경과) ,  노태환 (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농업과) ,  고숙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박종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녹차연구소) ,  이봉춘 (국립식량과학원 신소재개발) ,  김태성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정부근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홍성준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충회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박형만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이기운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2년에서 2004년에 걸쳐 전국적으로 Rice stripe tenuivirus(RSV)에 의한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지역과 발생 포장율을 조사한 결과, RSV에 의한 발병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RSV의 발생주율은 감수성 품종인 추청과 새추청, 일품에서 각각 45.8, 45.0 43.7%로 매우 높은 데 반해 저항성 품종인 화성에서는 4.4%로 낮았고, 좌지주율 역시 추청과 새추청, 일품 품종에서 각각 33.6, 33.2, 31.9%인데 비해 화성에서는 0.8%에 그쳤다. 두 가지 보독충 채집방법간의 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기존의 포충망 채집에 비해 동력흡충기를 이용한 채집이 매우 효율적이었다. 2002년부터 2004년에 걸쳐 전국적으로 보독충 밀도를 조사한 결과, 연도별로 전국적인 평균 보독충율은 각각 3.6, 2.3, 1.3%로 시험기간에 걸쳐 보독충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병 발생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앙전 육묘상의 육묘상처리제 및 수면전개제 처리에 의한 애멸구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Imidacloprid 입제 등 4종 처리제의 약효가 인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idence of rice stripe disease, caused by Rice stripe tenuivirus (RSV), was surveyed during 2002 to 2004. The incidence area and ratio of diseased fields were decreased gradually during those period. Rate of diseased plants were 45.8%, 45.0% and 43.7% in the susceptible cultivars Chucheong, Saech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2002년부터 2004년 사이에 수행된 RSV 발생생태와 보독충율의 변동추이에 관한 조사 및 애멸구의 이앙전 육묘상처리 약제에 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SV의 매개충은 무엇인가? 심한 경우 국지적으로 벼가 생육을 하지 못하고 주저앉아 버리는 좌지(座止) 현상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Yasuo, 1967). RSV의 매개충인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는 멸구과(Homoptera; Delphacide)에 속하는 곤충으로 직접흡즙에 의한 피해도 주지만 바이러스의 매개충으로서의 역할이 매우 크고 중요하며 국내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 1974).
RSV는 어디서 처음 보고되었는가? RSV는 일본에서 최초로 보고되었으며(Kuribayashi, 1931) 특히 japonica 계통의 벼에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데(Falk & Tsai, 1998) 한국과 중국, 대만, 극동 러시아 등지에서 보고 되어 있다. 일본에서 1963년부터 1968까지 매년 50만 ha 이상의 면적에서 발생하여 큰 문제가 되었는데 이는 전체 논의 13~19%에 이르는 방대한 면적이었다(Toriyama, 1995).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면적은 1999년과 20001년을 비교하였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가? 2001년에 서해안 일대를 중심으로 벼줄무늬잎마름병(Rice stripe tenuivirus; RSV)이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큰 사회문제가 되었다. 1999년의 발생면적 949 ha에서 2001년에 4,663 ha로 5배 가까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발생지역도 주로 영남 지역에서 발생하던 양상에서 강화, 김포, 충남 등 서해안 지역으로 확대되어 큰 문제를 일으켰다. 이후, 2007년 충남과 전남 지역에 대발생하면서 새로이 벼의 문제병해충이 되고 있지만 오랜 기간 동안의 연구단절로 인해 대발생 원인과 변화된 발생생태 등의 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Chung, B. J. 1974. Studies on the occurrence, host range, transmission, and control of rice stripe disease in Korea. Kor. J. Pl. Prot. 13(4):181-204 

  2. Falk, W. B., and Tsai, J. H. 1998. 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of viruses in the genus tenuivirus. Annu. Rev. Phytopathol. 36:139-163 

  3. Kuribayashi, K. 1931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ce stripe disease and Delphacodes striatella Fallen. Byochugai Zasshi 18:565-571, 636-640 

  4. Toriyama, S. 1983a. Rice stripe virus. CMI/AAB Description of Plant viruses, No. 269 

  5. Toriyama S. 1995. Viruses and molecular biology of Tenuivirus. In Pathogenesis and Host Specificity in Plant Diseases, Vol. 3, Viruses and Viroids, ed. RP Singh, US Singh, K Kohmoto, pp. 211-223. Oxford : Peramon 

  6. Yasuo, S. 1969. Effect of virus on the rice plant, In : The Virus Diseases of the Rice Plant, Johns Hopkins Press, Baltimore. pp. 167-1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