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빔 리소그래피에서의 근접효과 보정을 이용한 패턴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tern Fabrication using Proximity Effect Correction in E-Beam Lithography 원문보기

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equipment technology, v.8 no.2, 2009년, pp.1 - 10  

오세규 (서울산업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나노아이티공학과) ,  김동환 (서울산업대학교 기계설계자동화공학부) ,  김승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메카트로니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the electron beam lithography pattern fabrication using the proximity effect correction. When electron beam exposes into electron beam resist, the beam tends to spread inside the substance (forward scattering). And the electron beam reflected from substrate spreads again (back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SEM기반의 전자빔 리소그래피 시스템 구성을 위하여 패턴 생성기 구현 및 패턴 생성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였다. 패턴 형상에 따른 SEM의 전자빔 위치를 제어하였고, 점, 선, 사각형 패턴을 실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전압을 사용하여 패턴을 제작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근접효과에 대해서만 다루기로 한다. 전자 산란 모델을 이용하여 감광막과 기판에서의 전자빔 에너지 분포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빔의 중첩으로 인해 발생되는 근접효과를 확인한다.
  • 전자 산란 모델을 이용하여 감광막과 기판에서의 전자빔 에너지 분포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빔의 중첩으로 인해 발생되는 근접효과를 확인한다. 전자빔 리소그래피에서 미세패턴을 제작할 때 발생하는 근접효과를 보정하여 더 정확한 패턴을 제작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Fig. 23(b)는 흰색 사각형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 가우시안 형태의 빔으로 패턴을 묘화시키기 위해서는 전자빔을 이동시키면서 패턴의 형상을 점으로 채워서 만들어야한다. 가우시안 형태의 빔을 전자빔 픽셀하나로 가정하고, 전자빔 픽셀 두 개로 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초의 픽셀에서부터 다음 픽셀까지 일정거리를 이동하여 묘화시켜야 한다. 이때 전자빔의 산란에 의해 퍼짐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거리이상을 움직여야만 두개의 원을 만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세대 묘화기술 요구에 따른 차세대 리소그래피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광 리소그래피(optical lithography)는 해상도 한계에 도달한 상태이며, 차세대 묘화기술(Next Generation Litho -graphy) 요구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극자외선(EUV), 나노임프린트(Nanoimprint), 전자빔 리소그래피(EBL) 등 차세대 리소그래피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성화 되고 있는 상태이다[2,3]. 차세대 리소그래피 중에서 전자빔 리소그래피 기술은 고해상도와 높은 정렬 정확도를 가지므로 마스크 제작, DRAM의 시제품 제작 등의 초 미세소자의 제작에 이용되고 있다.
반도체 공정에서 리소그래피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리소그래피(lithography)는 어원이 그리스어인 litho(돌)과 graph(그리다)의 합성어로 석판술 혹은 인쇄라는 뜻이다. 반도체 공정에서 돌(실리콘 웨이퍼)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리소그래피라고 한다. 이러한 리소그래피기술은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비용의 30%, 공정 시간의 60%를 차지하는 핵심기술이다[1].
전자빔 리소그래피에서 감광제는 어떻게 사용되는가? 전자빔 리소그래피는 광 리소그래피와 같이 폴리머 감광막 위에 패턴을 노광하고 현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양성 감광제는 노광된 부분이, 그리고 음성 증폭형 감광제가 아닌 경우, 감광제에 전자빔을 노광하면 분자사슬이 끊어지거나 상호 연결되어 노광되지 않은 부분에 비해 더욱 가용성이 되거나 또는 불용성이 된다. 이를 적당한 현상액으로 현상하면 미세패턴을 얻게 된다. 화학 증폭형 감광제인 경우에는 전자빔을 노광하면, 산(acid)이 발생하고, PEB(Post Exposure Bake)과정에서 산이 촉매가 되어 분자사슬을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화학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감광제에 입사된 전자들이 방사하는 에너지의 분포가 현상될 패턴을 결정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un, K. J., Oh, H. K., and Kim, S. J., "Lithography 기술 현황 및 향후 전망", J. of IEEK, Vol. 19, No. 5, pp. 377-388, 1992. 

  2. Sheats, J. R., and Smith, B. W., "Technology roadmap for nanoelectronics", Marcel Dekker Inc., 1998. 

  3. Madou, M. J., "Fundamentals of microfabrication", CRC press, 2nd Ed., pp. 53-57, 2001. 

  4. Seo, T. W., Ham, Y. M., Chun, K. J., and Lee, J. D., "3-D Resist Profile Simulation using String Model on E-beam Lithography", Journal of IEEK, Vol. 33A, No. 6, pp. 1094-1100, 1996. 

  5. Ham, Y. M., Lee, C. B., Seo, T. W., Chun, K. J., and Cho, K. S., "Development parameter measurement and profile analysis of electron beam resist for lithography simulation", Journal of IEEK, Vol. 33A, No. 7, pp. 1396-1402, 1996. 

  6. Bae, Y. C., Seo, T. W., and Chun, K. J., "Submicron Patterning in Electron Beam Lithography using Trilayer Resist", Journal of IEEK, Vol. 31A, No. 10, pp. 1358-1364, 1994. 

  7. Kim, J. G., Lee, J. J., Cho, S. H., Choi, D. S., and Lee, E. S., "Nano-machining Technology Using Electron Bea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25, No. 3, pp. 7-14, 2008. 

  8. Rishton, S. A. and Kern, D. P., "Point exposure distribution measurements for proximity correction in electron beam lithography on a sub-100 nm scale", J. Vac. Sci. Technol. B, Vol. 5, No. 1, pp. 135-141, 1987. 

  9. Parikh, Mihir, "Corrections to proximity effects in electron beam lithography. I. Theory",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50, No. 4371, 1979. 

  10. Chang, T. H. P., "Proximity Effect in E-beam Lithography", J. Vac. Sci. Technol., Vol. 12, Issue 6, pp. 1271-1275, 1975. 

  11. Nastaushev, Y. V., Gavrilova, T., Kachanova, M., Nenasheva, L., Kolosanov, V., Naumova, O. V., Popov, V. P., and Aseev, A. L., "Energy deposition functions in electron resist films on substrat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C19, pp. 189-19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