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대 한반도에서 재배된 벼의 전래 경로에 대한 고찰
Reconsideration on the Importation Pathway of Ancient Korean Rice(Oryzar sativar 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4 no.1, 2009년, pp.119 - 123  

박태식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활발한 발굴에 따른 곡물의 출토가 많아짐에 따라, 벼의 한반도(韓半島) 전래(傳來) 경로(經路)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한반도(韓半島) 최고(最古) 벼인 청원 소로리(小魯里) 벼의 전래경로에 대하여 제4기 자연환경(自然環境), 생태적(生態的), 작물학적(作物學的)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로리(小魯里) 볍씨는, 최대빙하기(最大氷河期)이후 한반도가 중국대륙과 하나의 대륙으로 연결되었을 당시 한국조상(韓國祖上) 중 남방계(南方系)의 한 부류가 볍씨를 가지고 중국대륙 남부지역에서 해안을 따라 동북진(東北進)하다가 당시 옛 금강하류(錦江下流)를 거쳐 소로리(小魯里)로 이동하였다고 추정된다. 이를 "옛 금강-소로리 볏길(Old Geumgang-Sorori Rice Road)"이라 명명한다. 2. 유전적(遺傳的) 변이(變異)가 큰 소로리(小魯里)벼는 빙하기이후 지리적(地理的), 생식적(生殖的) 격리(隔離)가 발생함에 따라 한반도(韓半島)의 자연환경(自然環境)에 적응(適應)(자연선택(自然選擇))하게 되어 변이가 적은 고대(古代)벼(가와지(家瓦地)벼)로 종(種)의 분화(分化)(논벼, 수도(水稻))가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즉 한반도에서 순화단계(馴化段階)인 소로리(小魯里)벼가 재배(栽培)벼로 발전(發展)하였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portation pathway of rice cultivar into Korea was re-established with considering ancient ge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roribyeo excavated from Cheongwon. It is assumed that Sororibyeo settled down in Korea by the importation pathway along the southern seashore of China through old down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열대지역에서 한반도로 벼가 전래된 경로를 인간이 수렵, 자연 채취를 벗어나 農耕을 시작한 舊石器末인 최근세 제4기(Quaternary Period)환경을 배경으로 生態學的·作物學的면에서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 小魯里 출토 볍씨는 과연 어떤 경로로 이렇게 빠른 시기에 한반도에 전래되었는지는 朴 & 李(2004b)의 小魯里 볍씨에 관한 논문에서 일부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으며, 小魯里 볍씨가 나타난 시기(약 15,000년 전)인 최근세 제4기 자연환경 분석을 통해 그 해답을 좀 더 명확히 찾고자 하였다.
  • 그 길을 필자는 “옛 금강-소로리 볏길”(Old Geumgang-Sorori Rice Road)로 명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의 전래경로 대하여 제4기 자연환경(自然環境), 생태적(生態的), 작물학적(作物學的)면을 검토한 결과는 어떠한가? 특히 한반도(韓半島) 최고(最古) 벼인 청원 소로리(小魯里) 벼의 전래경로에 대하여 제4기 자연환경(自然環境), 생태적(生態的), 작물학적(作物學的)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로리(小魯里) 볍씨는, 최대빙하기(最大氷河期)이후 한반도가 중국대륙과 하나의 대륙으로 연결되었을 당시 한국조상(韓國祖上) 중 남방계(南方系)의 한 부류가 볍씨를 가지고 중국대륙 남부지역에서 해안을 따라 동북진(東北進)하다가 당시 옛 금강하류(錦江下流)를 거쳐 소로리(小魯里)로 이동하였다고 추정된다. 이를 "옛 금강-소로리 볏길(Old Geumgang-Sorori Rice Road)"이라 명명한다. 2. 유전적(遺傳的) 변이(變異)가 큰 소로리(小魯里)벼는 빙하기이후 지리적(地理的), 생식적(生殖的) 격리(隔離)가 발생함에 따라 한반도(韓半島)의 자연환경(自然環境)에 적응(適應)(자연선택(自然選擇))하게 되어 변이가 적은 고대(古代)벼(가와지(家瓦地)벼)로 종(種)의 분화(分化)(논벼, 수도(水稻))가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즉 한반도에서 순화단계(馴化段階)인 소로리(小魯里)벼가 재배(栽培)벼로 발전(發展)하였다고 판단된다. Importation pathway of rice cultivar into Korea was re-established with considering ancient ge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roribyeo excavated from Cheongwon. It is assumed that Sororibyeo settled down in Korea by the importation pathway along the southern seashore of China through old downstream of Geumgang by a southern Korean human race when China and Korea were not yet separated each other by the Yellow Sea.
벼의 原産地는 무엇이 유력한가? 벼(Oryza sativa)의, 특히 아시아에서 栽培되는 벼의 原産地는 生物學的 또는 考古學的 자료에 의하면 여러 지역이 거론되고 있으나 野生벼 및 中間 生態型들의 自生地를 조사한 결과 인도 앗삼, 중국 윈난 지방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Chang, 1976; 李, 1963; 許, 1986, 1991; 朴 & 李, 2004a). 지금도 이 지방을 중심으로 인도 북부, 네팔, 방글라데시, 미얀마, 베트남, 타이 북부, 중국 윈난과 남부 지방에는 많은 野生種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 남부지역은 북위 28°(東鄕)까지 야생벼가 분포되어있다(Chu & Zhang, 1984; 嚴, 2003).
遺傳的 變異가 큰 小魯里벼 빙하기 이후 어떻게 되었다고 추정되는가? 2. 遺傳的 變異가 큰 小魯里벼는 빙하기이후 地理的, 生殖的 隔離가 발생함에 따라 韓半島의 自然環境에 適應(自然選擇)하게 되어 변이가 적은 古代벼(家瓦地벼)로 種의 分化(논벼, 水稻)가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즉 한반도에서 馴化段階인 小魯里벼가 栽培벼로 發展하였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ng, T. T. 1976. The origin, evolution, cultivation, dissemination, and diversification of Asian and African rices. Euphytica 25 pp. 425-441 

  2. Chen, Baozhang. 1997. The Finds and Preliminary Study of Rice Cultivation in the Neolithic Site at Jiahu in Henan Province. The 2n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On the Agricultural Arecheology. p. 37 

  3. Chu Qiren, Zhang Zhenhua. 1984. Pachytene analysis on Chinese Dong Xiang Wild Rice and Its Affinity with Cultivated Rice. Acta Genetic Sinica 11(6) pp. 466-471 

  4. Lee, Chun-Yung, Tae-Shik Park. 1978. Carbonized Grains form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1) Carbonized Rice from Hunamri, Seoul National Univ, Coll of Agic. Bull. 3(2)2. pp. 243-254 

  5. Morishima, Hiroko., Tan Lin-Hwa & Kikuo Wasano. 1995. An Observation of Wild Rice Populations in Hainan and Yunnan, China.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98-107 

  6. Park,Y.A., 1992. The changes of sea level and climate during the late Pleistonce and Holcene in the Yellow Sea region. Korean J. Quat. Res. 6, pp. 3-19 

  7. Wang, Xiankun, Chuangjing Sun, Juzhong Zhang. 2003. A Discussion on the Origin of Oryza japonica in China and Sorori Rice in Korea. 亞細亞 先史農耕과 小魯里 볍씨. 충북대학교박물관,청원군. 서울. pp. 115-123 

  8. 李隆助, 禹種允. 2000. 淸原 小魯里 舊石器遺蹟. 충북대학교박물관, 한국토지공사. 조사보고 제68집. 학연문화사. 서울. 613p 

  9. 李隆助, 禹種允.. 2003. 世界 最古의 小魯里 볍씨의 發掘과 의미. 亞細亞 先史農耕과 小魯里 볍씨. 충북대학교박물관,청원군. 서울. pp. 27-32 

  10. 김연옥. 1997. 한반도 고기후의 변화. 자연보존. 100, pp. 1-17 

  11. 김용간, 석광준. 1984. 남경유적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평양 

  12. 김욱. 2005. 미토콘드아DNA변이와 한국인 집단의 기원. 고구려재단(현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13. pp. 18-58 

  13. 박순직. 이종훈. 2004a. 식용작물학 I 벼와 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서울. p. 43-67 

  14. 박용안, 공우석. 2001. 한국의 제4기 환경. 우리나라 제4기 육상층서와 환경.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31-72 

  15. 朴泰植. 李隆助. 1995. 고양 家瓦地 1지구 출토 벼 낟알들과 한국 선사시대 벼농사. 농업논문집 37(2) pp. 1-12 

  16. 朴泰植. 李隆助. 2004b. 小魯里 볍씨 發掘로 살펴 본 韓國 벼의 起源. 한국농업사학회 제3권 2호 pp. 19-132 

  17. 裴安平. 1989. 彭頭山文化的稻作遺存與中國史前農業. 農業考古. 第2期 

  18. 沈峯槿. 1991. 韓國 先史時代 稻作農耕. 韓國考古學報 27집 pp. 5-58 

  19. 安承模. 2000. 韓半島 벼농사 起源에 관한 제논의. 한국고대사논총 제9집. pp. 177-202 

  20. 嚴文明. 1982. 韓國稻作農業的起源. 農業考古. 第 2期 

  21. 嚴文明. 2003. 稻作農業的起源?小魯里稻谷. 亞細亞 先史農耕과 小魯里 볍씨. 충북대학교박물관, 청원군. 서울. pp. 95-103 

  22. 吳靑雲. 1995. 大嘴子遺跡出土炭火米の 考察と 硏究.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29-132 

  23. 王錫平, 王春起. 1995. 山東省棲霞縣楊家圈遺跡 出土 水稻 遺物.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143-145 

  24. 袁家榮. 2005. 湖南道懸玉蟾岩遺址發見1粒1万2千年前的栽培稻. 新華社長沙 (記者明星) 2005-1-29 

  25. 劉君. 1995a. 河姆渡遺跡.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115-118 

  26. 劉君. 1995b. 羅家角遺址.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113-114 

  27. 李燦. 1963. 稻作의 歷史 地理的 考察-起源과 傳播에 관하여. 大韓地理學會. 地理學 1. pp. 50-66 

  28. 李春寧, 朴泰植. 1979. 夫餘郡 草村面 無紋土器 住居址 출토 탄화미. 松菊里(1), 국립박물관고적조사보고 

  29. 李春寧. 1964. 李朝農業技術史. 韓國硏究叢書. 제21집. 韓國硏究院. 서울 

  30. 李春寧. 1973. 韓國農耕起源에 관한 小考. 民族文化硏究 7. pp.1-27 

  31. 任孝宰. 1990. 경기도 金浦半島의 考古學調査 硏究. 서울대학교박물관 연보 2 pp. 1-22 

  32. 任孝宰. 2001. 韓國古代稻作文化의 起源. 학연문화사. 서울. p.131 

  33. 張德滋. 1979. 早期稻作歷史. 中和農業史論叢. 臺灣 商務印書館. pp. 49-50 

  34. 朝鮮總督府. 1924. 大正11年度 古蹟調査 報告 

  35. 趙現鐘, 申相孝, 張齊根. 1997. 光州 新昌洞 低濕地 遺蹟 I. 국립광주박물관학술총서 33책 pp. 29-133 

  36. 許文會. 1986. 벼의 系統分類와 東北아시아로의 傳播. 벼의 유전과 육종. pp. 425-439 

  37. 許文會. 1991. 韓國 栽培稻의 起源과 傳來. 한국고고학회. 27집 pp. 6-91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