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취생성의 주요 원인균에 대한 nanosilver의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이들 세균의 증식 조건도 함께 연구하였다. 포항공과대학교 나노기술센터로부터 $NANOVER^{TM}$, WA 1000 현탁액을 제공 받아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공시균으로는 주요 구취생성균으로 알려진 Fusobacterium nucleatum (KCTC 2640), Prevotella melaninogenica (KCTC 3689), Klebsiella pneumonia (KCTC 1560) 3종의 세균류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자원센터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공시균의 배양에 혐기성세균 배양에 이용되는 tryptone- yeast extract-ammonium acetate(TYA) 배지와 chopped beef meat(CBM) 배지를 이용하였다. 1. 최적배양조건으로 감압배양, CBM 배지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간균인 K. pneumonia에 Nanover(5 및 10 ppm)를 처리하고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균체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는 세균의 생장점 부근에서 세포벽에 손상을 주어 세포벽을 절단하여 다량의 막상 편린을 생성하고 autolysin을 불활성화 시켜 filament형 균체를 형성하여 균의 증식은 일시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었으나 완전히 사멸시키지는 못하였으며, 구취 세균을 전혀 다른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균제로서의 역할은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is much interest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nano-sized silver particle (nanosilver) since silver is known to be safe and effective as disinfectant for a long time. Oral malodor is considered to originate in the oral cavity primarily as a result of production of malodorous comp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구강균주, 특히 구취의 발생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그람-음성 혐기성 박테리아에 대한 nanosilver의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기 때문에 nanosilver를 이용한 구취치료제의 개발에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취생성의 주요 원인균인 Prevotella melaninogenica, Fusobacterium nucleatum, Klebsiella pneumonia에 대한 nanosilver 의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이들 세균의 증식 조건도 함께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를 발생시키는 구강 내 원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1) 구취는 구강내 원인과 구강외 원인에 의해서 모두 발생할 수 있으나, 전체 구취 환자의 약 80-90%는 구강내에 그 원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3) 구취를 발생시키는 구강내 원인으로는 설태, 치주질환, 깊은 치아우식 와동, 괴사치수의 노출, 지치주위염, 점막의 궤양, 음식물 잔사, 불량한 보철물, 의치의 위생불량, 구강건 조증 등이 있는데, 특히 혀의 표면에 있는 설태가 구취발생의 주요 부위로 알려져 있다. 4) 구취를 느끼는 시기로는 기상시, 공복시, 식후, 장시간 말하지 않을때 등 다양하나 타액의 유출이 최소화되고 세균의 활동이 증가하는 기상시에 구취가 가장 강하게 느껴진다.
항균물질이 첨가된 구강세정제 중 무기 항균제가 가진 특징은? 항균 물질에는 다양한 유기 항균제와 무기 항균제가 이용되고 있다. 무기 항균제는 가격이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인체에 무해하고 휘발 또는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등의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어 최근 생활환경 및 위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소개된 신소재인 nanosilver는 최대직경의 크기가 100 nm 이하의 초미립 상태의 은을 가리키는 것인데, 이것이 무기 항균제로서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의료용 품이나 여러 가지 생활용품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구취의 주된 원인인 휘발성 황화합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Tonzetich 6) 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이용 하여 구취에 포함된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디메틸 썰파이드 등과 같은 휘발성 황화합물을 밝혀내었으며 이러한 물질이 구취의 주성분으로서 구취의 강도는 이러한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와 관계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밖에 인돌, 스카톨, butyric acid, valeric acid, 암모니아, putrescine, cadaverine과 같은 화학물 질도 구취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7) 휘발성 황화합물이 구취의 주된 원인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1977;48:13-20 

  2. Miyazaki H, Sakao S, Katoh Y, Takehara T.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phur compounds and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s in the general population. J Periodontol 1995;66:679-684 

  3. Klinberg I, Westbay G. Oral malodor. Crit Rev Oral Biol Med 1990;1:247-259 

  4. De Boever EH, Loesche WJ.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anaerobic microflora of the tongue to oral malodor. J Am Dent Assoc 1995;126:1384-1393 

  5. 신승철, 이건수. 한국인의 구취실태에 대한 역학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9;23(4):343-359 

  6.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r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1977;48:13-20 

  7. GoldbergS, Kozlovsky A, Gordon D, Gelernter I, Sintov A, Rosenberg M. Cadaverine as a putative component of oral malodor. J Dent res 1994;73(6):1168-1172 

  8. Kleinberg I, Westbay G. Salivary and metabolic factors involved in oral malodor formation. J Periodontol 1992;63:768-775 

  9. Persson S, Edlund MB, Claesson R, Carlsson J. The formation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by oral bacteria. Oral Microbiol Immunol 1990;5(4):195-201 

  10. Persson S, Claesson R, Carlsson J. The capacity of subgingival species to produce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human serum. Oral Microbiol Immunol 1989;4:169-172 

  11. 이재명, 임성빈, 정진형, 홍기석. 치주질환 치료 후 구취감소에 대한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2004;34(2):449-459 

  12. 강은혜, 임회순, 최재흥, 김무영. 전문가 잇솔질과 자가잇솔질의 구취감소효과 비교. Oral Biology Research 2003;27(2):77-84 

  13. Yaegaki K, Sanada K. Biochemical and clinical factors influencing oral malodor in periodontal patients. J Periodontol 63:783-789, 1992 

  14. Yaegaki K, Sanada K.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from clinically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 Res 1992;27:233-238 

  15. Nachnami S. The effects of oral rinses on halitosis. J Cal Dent Assoc 1997;25:145-150 

  16. Winkel EG, Roldan S, Van Winkelhoff AJ, Herrera D, Sanz M. Clinical effects of a new mouthrinse containing chlorhexidine,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zinc-lactate on oral halitosis. J Clin Periodontol 2003;30:300-306 

  17. 김도윤, 신금백, 장기완. Chitosan이 구취 관련 구강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억제효과.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2;27(1):1-14 

  18. 안형준, 유지원, 김기서, 김종열, 최종훈. 키토올리고당 과 자일리톨 및 아연이 포함된 구강청정제(마이센스액) 의 구취감소, 치태형성 및 재부착 억제 치은염 완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3;28(2):185-195 

  19. Chen X, Schluesener. Nanosilver. A nanoproduct in medical application. Toxicology Letters 2008;176:1-12 

  20. Cheng D, Yang J, Zhao Y. Antibacterial materials of silver nanoparticles application in medical appliances and appliances for daily use. Chin Med Equip J 2004;4:26-32 

  21. 조경환, 박수길. 초음파법으로 제조된 은 나노 입자의 항균특성 연구. J Korean Ind Eng Chem 2004;15:952-955 

  22. 김지연, 김성은, 김재은, 이종찬, 윤제용. 은 이온과의 비교를 통한 나노 은 입자의 항균 특성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05;27(7):771-776 

  23. 조준형, 이용원, 김형진, 이종만. 기상분사법을 이용한 은나노 항균 기능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펄프.종이 공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2005;197-205 

  24. Berg M, Fosdick LS. Studies in periodontal disease. II. Putrefactive organisms in the mouth. J Dent Res 1946;25:73-81 

  25. McNamara TF, Alexander JF, Lee M. The role of microorganisms in the production of oral malodor. Oral Surg 1972;34:41-48 

  26. Donaldson AC, McKenzie D, Riggio MP et al. Microbiological culture analysis of the tongue anaerobic microflora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halitosis. Oral Dis 2005;11(Suppl 1):61-63 

  27. Figueiredo LC, Rosetti EP, Marcantonio Jr. E, Marcantonio RAC, Salvador SL. The relationship of oral malodor in patients with or without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2002;73:1338-1342 

  28. Bosy A, Kulkarni GV, Rosenberg M, McCulloch CAG. Relationship of oral malodor to periodontitis: evidence of independence in discrete subpopulations. J Periodontol 1994;65:37-46 

  29. De Boever EH, De Uzeda M, Loesche WJ. Relationship between volatile sulfur compounds. BANA-hydrolyzing bacteria and gingival health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aints of oral malodor. J Clin Dent 1994;4:114-119 

  30. Morita M, Wang HL. Relationship between sulcular sulfide level and oral malodor in subjec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2001;72:79-84 

  31. Nakano Y, Yoshimura M, Koga T. Correlation between oral malodor and periodontal bacteria. Microbes Infet 2002;4:679-683 

  32. Miyazaki H, Sakao S, Katoh Y, Takehara T.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phur compounds and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s in the general population. J Periodontol 1995;66:679-684 

  33. Haraszthy VI, Zambon JJ, Sreenivasan PK et al. Identification of oral bacterial species associated with halitosis. J Am Dent Assoc 2007;138:1113-1120 

  34. Washio J, Sato T, Koseki T, Takahashi N. Hydrogen sulfide-producing bacteria in tongue biofil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ral malodor. J Med Microbiol 2005;54:889-895 

  35. Tanaka M, Yamamoto Y, Kuboniwa M et al. Contribution of periodontal pathogens on tongue dorsa analyzed with real-time PCR to oral malodor. Microbes and Infect 2004;6:1078-1083 

  36. Nester EW, Anderson DG, Roberts CE, Jr., Nester MT. Microbiology-a human perspective. 4th ed., 2006, McGraw-Hill Co, pp. 88-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