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규방문화에 표현된 색채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Found in the Gyubang Culture of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3, 2009년, pp.109 - 130  

김은경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rotor characteristics of Guybang culture (women's living in Joseon) relics which the life images and mental world of women in Joseon if expressed to prepare rotor data to be utilized in modern design and information for color identity establishment of Korean women culture. Th...

주제어

참고문헌 (27)

  1. 김영인 외 (2006). 한중일 색채의 기호학적 비교분석과 색채 공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보고서 

  2. 김영인 외 (1997). 색동의 색채와 배열 형식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보고서 

  3. 김경미 외 (2005). 한국의 규방문화. 도서출판 박이정, p. 5 

  4. 이미석 (2002). 조선시대 규방문화와 침선소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최정임 (2004). 한국의 전통미와 규방공예의 현대적 이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정희 (2002). 규방용품의 형태를 응용한 금속노리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정봉례 (1999). 조선조 규방용풍을 응용한 장신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정순진 (2006). 규방문화디자인상품개발 현황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조선시대 규방공예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보경 (2003). 규방공예의 전통 침선기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조영선 (1999). 조선시대 규방공예의 조형미를 응용한 금속공예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수진 (2005). 조선 규방문화의 추상적 이미지 표현 연구: 기하학적 형태와 색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영 . 김문진 (2000). 규방공예. 컬처라인, p. 8 

  13. 강숙자 (1987). 한국 전통사회 여성의 삶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14. 김종헌 (1996). 한국 전통 거주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2), p. 83 

  15. 태평양 장학문화재단. 태평양 여대생 논문집, 제1집('95-'97), p. 591 

  16. 李時鎔. 朝鮮朝 士大夫의 閨房敎育. 인천교대 논문집 11, p. 40 

  17. 昭惠王后, 內訓, 卷第一, 言行章 第一. 申貞淑(1970). 한국의 전통사회의 내훈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47, p. 113 

  18. 김지용 (1976). 내훈(內訓)에 비춰진 이조 여인들의 생활상. 아시아여성연구, (7), p. 339 

  19. 경기도 박물관 (2004). 박영숙. 허동화 소장 자수 특별전 실로 잣는 꿈 황홀한 우리 자수 

  20.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2000). 한국의 자수 어제와 오늘 

  21. 한국자수박물관 (2005). 이렇게 예쁜 보자기 

  22. 한국자수박물관 (2006). 끈목 . 매듭 

  23. 허동화 편저 (2004). 이렇게 소중한 보자기 역사. 한국자수박물관. 

  24. 김지선 (2006). 한국 전통 꽃문양의 상징성과 형태 및 색채 특성에 따른 조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허동화 (2006). 우리 규방 문화. 현암사, pp. 275-276 

  26.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색채상징.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0(4) 

  27. 한국문화상징사전 (1992). 동아출판사, p.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