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선의 유형과 조형특성
The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n Represented of Costume in the chosu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3 no.8, 2003년, pp.39 - 52  

옥명선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  박옥련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  이주영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added ‘Seon(선)’ to the dress of Chosun Dynasty and analyzed them into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eo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the standard, the decoration and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ree types, the types o...

주제어

참고문헌 (35)

  1. 朴京子 (1983). 韓國服飾論攷 - 우리나라 옷의 ?과 회장에 관한 小考. 서울: 신구문화. p. 37 

  2. 金元龍 (1974). 韓國美術全集 4 - 壁. 서울: 동화출판공사 

  3. 朝鮮畵報社出版部편 (1986). 北韓考古學術叢書(8) - 高句麗古墳壁畵. 日本 東京: 朝鮮畵報社 

  4. 조선일보사편 (1994). 集安 고구려 고분벽화. 서울: 朝鮮日報社 

  5. 서울대학교출판부편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 I . II - 고구려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6. 이은창 (2000). 한국 복식의 역사(고대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 pp. 102-112 

  7. 백영자 (1993). 한국의 복식. 서울: 경춘사. pp. 25-27 

  8. 李如星 (1998). 조선복식고. 서울: 범우사. pp. 98-102 

  9. 김영숙, 김명숙 (1998). 한국 복식사. 청주: 청주대학교 출판사. p. 199 

  10. 柳喜卿 (1996). 韓國服飾文化史. 서울: (株)敎文社, p. 29 

  11. 유효순 (1981), 古代服飾에 나타난 ?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석사학위논문 

  12. 朴京子(1983). 韓國服飾論攷 - 우리나라 옷의 ?과 회장에 관한 小考. 서울: 신구문화, pp. 37-48 

  13. 조효순 (1991), '居家雜服攷' 에 나타난 服色의 의미와 상징성. 복식, 17. pp. 83..91 

  14. 경기도박물관편 (2001). 전주이씨묘출토복식조사보고서. 전주: 경기도박물관 

  15. 경기도박물관 (2002). 광주 고읍 의원군 일가 출토복식 - 조선의 옷매무새. 서울: 민속원 

  16. 한국출토복식연구회편 (2002). 韓國의 壽衣文化. 한국출토복식연구회 학술총서, 서울: 신유 

  17. 石宙善紀念民俗博物館編. 韓國服飾, 제8호 (1990), 12호 (1994), 14호 (1996), 17호 (1999), 19호(2001). 20호 (2002), 서울: 檀大출판부 

  18. 忠北大學校博物館編 (1999). 調査報告 第61冊 朝鮮時代服飾硏究. 청주: 忠北大學校博物館 

  19. 石宙善 (1996). 衣 - 民俗學資料 第三輯. 서울: 檀國大學校 附屬 石宙善紀念 民俗博物館 

  20. 高麗大學校博物館 (1990). 服飾類名品圖錄, 서울: 高麗大學校博物館 

  21. 국립민속박물관편 (1995). 한국복식 2천년. 서울: 도서출판 신유 

  22. 國立中央博物館편 (1988). 韓國의 美 - 衣裳 . 裝身具 . 褓. 서울: 國立中央博物館 

  23. 韓國放送事業團 (1986). 韓國服飾圓錄 II . III. 서울: 삼화인쇄주식회사 

  24. 金英淑, 孫敬子 (1984). 朝鮮王朝 韓國服飾圓錄 - 上.下卷. 서울: 藝耕産業社 

  25. 金英淑 (1987). 朝鮮朝末期王室服飾. 서울: 民族文化文庫刊行會 

  26.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서울: 高麗書藉株式會社 

  27. 高福男 (1986). 韓國傳統服飾史硏究. 서울: 일조각 

  28. 금기숙 (1993).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101 

  29. 石宙善 (1996). 衣 - 民俗學資料 第三輯. 서울: 檀國大學校 附屬 石宙善紀念 民俗博物館, p. 162 

  30. 조효순 (1997). 복식, 서울: 대원사. p. 67 

  31.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292-293 

  32. 김영숙, 손경자 (1984). 朝鮮王朝 韓國服飾圖鑑. 서울: 예경사, p. 86 

  33. 이주영 (1993), 朝鮮時代 無袖衣에 관한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6 

  34. 이주영 (2001). 조선시대 직령(直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p. 102 

  35. 권영숙, 이주영 (1995), 조선 초 . 중기 여자 장의(長衣)제도 - 임란전후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家政大學硏究報告, 第21輯. p. 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