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변형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이용한 키메라 생쥐의 생산
Production of Chimeric Mice Following Transgenesis of Multipotent Spermatogonial Stem Cells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3 no.4, 2009년, pp.305 - 312  

임정은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엄진희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김형준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  박재균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  이현정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  이동률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분화성 정원줄기세포의 장기간 체외배양 중에 확립되는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가져 3배엽성 세포로 체외분화가 가능하며 기형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outbred 생쥐(ICR strain)로부터 확립된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의 형질전환 가능성을 확인하며, 배아 내로 주입하여 유전적 키메라를 형성하는 효율을 배아줄기세포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넣은 배아로부터 태어난 산자는 총 47마리(4.8%)가 태어나, 67마리(11.7%)가 태어난 배아줄기세포군에 비해 그 효율이 낮았다(P<0.05). 그러나 산자들 중의 키메라 생쥐의 비율은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 군으로 부터 3마리(6.4%)가 태어나 배아줄기세포 군으로부터 태어난 5마리(7.5%)와 유사하였다(P>0.05). 태어난 유전자변형 생쥐의 장기를 확인한 결과, 췌장, 심장, 뇌, 근육, 위, 피부, 정소에 GFP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배아의 근육, 위, 뼈 등에서 anti-GFP 항체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outbred 생쥐로부터 확립된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가 inbred 생쥐로부터 확립된 배아줄기세포와 마찬가지로 키메라 생쥐를 생산할 수 있는 전분화능을 가짐을 확인하였고, 새로운 유전자변형 동물의 생산을 위한 매개체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potent spermatogonial stem cells (mSSCs), derived from uni-potent SSC, are a type of reprogrammed cell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embryonic stem cells (ESC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transgenesis of mSSC derived from outbred mice and the production of tra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ntiviral transfection에 의한 outbred strain에서 확립된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주의 형질전환과 배아 내 주입을 통한 키메라의 생산을 통해 전분화능을 확인하고 유전자변형동물의 생산 가능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oat color의 확인을 통해 유전자변형동물의 생산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ICR strain에서 유래된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BDF1 hybrid 생쥐의 배아와 섞어 주었다. 따라서 ICR strain의 배아에 주입되어 outbred strain의 유전자변형동물의 생산은 시도하지 못했고, strain과 inbred/outbred 간의 생산효율의 직접적인 비교도 시행할 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전자 변형동물의 생산에는 어떤 기술이 필수적인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의 특성과 기능을 연구하는데 있어 유전자변형동물의 제작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전자 변형동물의 생산에는 유전자를 조작하는 기술과 조작된 유전자를 전달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우선,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기 위한 조작에는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방법과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키는 knock-out, 대체시키거나 추가하는 knock-in 기술들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의 특성과 기능을 연구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의 특성과 기능을 연구하는데 있어 유전자변형동물의 제작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전자 변형동물의 생산에는 유전자를 조작하는 기술과 조작된 유전자를 전달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유전자를 조작하는 기술과 조작된 유전자를 전달하는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유전자 변형동물의 생산에는 유전자를 조작하는 기술과 조작된 유전자를 전달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우선,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기 위한 조작에는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방법과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키는 knock-out, 대체시키거나 추가하는 knock-in 기술들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조작된 유전자의 전달을 위해서는 유전자 벡터를 수정란의 웅성전핵(male pronucleus)에 주입하거나 조작된 유전자를 가진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s, ESCs)를 배아에 주입하여 유전적 키메라를 만드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Poueymirou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Eggan K, Akutsu H, Loring J, Jackson-Grusby L, Klemm M, Rideout WM 3rd, Yanagimachi R, Jaenisch R (2001) Hybrid vigor, fetal overgrowth, and viability of mice derived by nuclear cloning and tetraploid embryo complementation. Proc Natl Acad Sci USA 98:6209- 6214. 

  2. Guan K, Nayernia K, Maier LS, Wagner S, Dressel R, Lee JH, Nolte J, Wolf F, Li M, Engel W, Hasenfuss G (2006) Pluripotency of spermatogonial stem cells from adult mouse testis. Nature 440:1199-1203. 

  3. Kanatsu-Shinohara M, Inoue K, Lee J, Yoshimoto M, Ogonuki N, Miki H, Baba S, Kato T, Kazuki Y, Toyokuni S, Toyushima M, Niwa O, Oshimura M, Heike T, Nakahata T, Ishino F, Ogura A, Shinohara T (2004) Gener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neonatal mouse testis. Cell 119:1001-1012. 

  4. Kanatsu-Shinohara M, Ikawa M, Takehashi M, Ogonuki N, Miki H, Inoue K, Kazuki Y, Lee J, Toyokuni S, Oshimura M, Ogura A, Shinohara T (2006) Production of knockout mice by random or targeted mutagenesis in spermatogonial stem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103:8018-8023. 

  5. Kawase E, Suemori H, Takahashi N, Okazaki K, Hashimoto K, Nakatsuji N (1994) Strain difference in establishment of mouse embryonic stem (ES) cell lines. Int J Dev Biol 38:385-390. 

  6. Kim HJ, Lee HJ, Lim JJ, Kwak KH, Kim KS, Lee DR (2009) Reprogramming of neonatal out-bred spermatogonial stem cells into a multipotent state using a unique multisteculture system. Mol Cells in revision. 

  7. Kirchain SM, Hayward AM, Mkandawire JM, Qi P, Burds AA (2008) Comparison of tetraploid blastocyst microinjection of outbred Crl:CD1 (ICR), hybrid B6D2F1/Tac, and inbred C57BL/6NTac embryos for generation of mice derived from embryonic stem cells. Comp Med 58: 145-150. 

  8. Poueymirou WT, Auerbach W, Frendewey D, Hickey JF, Escaravage JM, Esau L, Dore AT, Stevens S, Adams NC, Dominguez MG, Gale NW, Yancopoulos GD, DeChiara TM, Valenzuela DM (2007) F0 generation mice fully derived from gene-targeted embryonic stem cells allowing immediate phenotypic analyses. Nat Biotechnol 25:91-99. 

  9. Ramirez MA, Fernandez-Gonzalez R, Perez-Crespo M, Pericuesta E, Gutierrez-Adan A (2009) Effect of stem cell activation, culture media of manipulated embryos, and site of embryo transfer in the production of F0 embryonic stem cell mice. Biol Reprod 80:1216-1222. 

  10. Schoonjans L, Kreemers V, Danloy S, Moreadith RW, Laroche Y, Collen D (2003) Improved generation of germline-competent embryonic stem cell lines from inbred mouse strains. Stem Cells 21:90-97. 

  11. Seandel M, James D, Shmelkov SV, Falciatori I, Kim J, Chavala S, Scherr DS, Zhang F, Torres R, Gale NW, Yancopoulos GD, Murphy A, Valenzuela DM, Hobbs RM, Pandolfi PP, Rafii S (2007) Generation of functional multipotent adult stem cells from GPR125+ germline progenitors. Nature 449:346-350. 

  12. Suzuki O, Matsuda J, Takano K, Yamamoto Y, Asano T, Naiki M, Kusanagi M (1999) Effect of genetic background on establishment of mouse embryonic stem cells. Exp Anim 48:213-216. 

  13. Takehashi M, Kanatsu-Shinohara M, Miki H, Lee J, Kazuki Y, Inoue K, Ogonuki N, Toyokuni S, Oshimura M, Ogura A, Shinohara T (2007) Production of knockout mice by gene targeting in multipotent germline stem cells. Dev Biol 312:344-352. 

  14. Te Riele H, Maandag ER, Berns A (1992) Highly efficient gene targeting in embryonic stem cells through homologous recombination with isogenic DNA constructs. Proc Natl Acad Sci USA 89:5128-5132. 

  15. Wall RJ (2001) Pronuclear microinjection. Cloning Stem Cells 3:209-220. 

  16. Ware CB, Siverts LA, Nelson AM, Morton JF, Ladiges WC (2003) Utility of a C57BL/6 ES line versus 129 ES lines for targeted mutations in mice. Transgenic Res 12:743-7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