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rtisol이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tisol on the Steroidogenesis and the Apoptosis of Human Granulosa-Lutein Cells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3 no.4, 2009년, pp.329 - 339  

김진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양현원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tisol은 난소내 다량으로 존재하며, 난소 세포에 그 수용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사람의 과립 및 황체화 세포에서 cortisol은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배란 후 난포액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cortisol이 과립-황체화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과배란 유도후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하면서 5, 50, $500{\mu}g/m\ell$ cortisol과 1 IU/$m\ell$ FSH를 처리하고 세포의 세포자연사와 분비된 progesterone$(P_4)$과 estradiol$(E_2)$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화 분석과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평가한 결과, cortisol는 농도 의존적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증가시켰고, 특히 50과 $500{\mu}g/m\ell$ cortisol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세포자연사 비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cortisol에 의한 세포자연사의 증가는 FSH에 의해 억제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화학발광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배양내 $P_4$$E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cortisol을 처리한 후 $E_2$의 양은 변화가 없었던 반면 $P_4$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cortisol의 $P_4$ 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자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FSH에 의해 회복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일정 농도 이상의 cortisol은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또한 $P_4$의 합성을 억제시킴으로써 난포 폐쇄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음 보여준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들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에 대한 cortisol의 생리적인 관련성을 밝혀 그 기전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tisol is present in high concentration in the ovary and its receptor is expressed in the ovarian cells. Moreover, cortisol is known to have a role in steroid synthesis and cell metabolism in human granulosa and lutein cells. However, little is known of the role of cortisol presenting in high co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cortisol이 난소내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과 세포자연사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된 사람의 과립-황체화 세포에 cortisol과 FSH를 처리한 후 생성되는 P4와 E2의 양을 측정하고, 배양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 양상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란전 난포에 고농도로 존재하는 cortisol이 과립-황체화 세포에 미칠 수 있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립-황체화 세포에 cortisol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세포자연사와 분비되는 E2와 P4의 양을 조사하였다. 먼저 과립-황체화 세포에서 세포자연사를 확인한 결과, 처리된 cortisol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자연사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이러한 cortisol에 의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rtisol이 난포액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난소내 과립세포의 세포자연사는 난포액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물질에 의하여 촉진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그 중에 cortisol은 난포액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면서 과립세포에서 발현되는 cortisol 수용체와 결합하여 국부적으로 난소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sson & Amsterdam, 2003). 본 연구에서도 난자 채취 과정에서 획득한 난포액에서 cortisol 농도를 측정한 결과, 100 ㎍/㎖ 내외의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1).
Cortisol이란? Cortisol은 뇌하수체 전엽으로부터 분비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자극에 의해 부신피질에서 합성되는 glucocorticoid계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장기적인 스트레스와 몸의 긴장으로 인해 분비가 촉진된다(Streeten et al., 1984).
과립-황체화 세포에 cortisol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 자연사를 확인한 결과 어떻게 나타났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란전 난포에 고농도로 존재하는 cortisol이 과립-황체화 세포에 미칠 수 있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립-황체화 세포에 cortisol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세포자연사와 분비되는 E2와 P4의 양을 조사하였다. 먼저 과립-황체화 세포에서 세포자연사를 확인한 결과, 처리된 cortisol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자연사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이러한 cortisol에 의한 과립-황체화 세포의 죽음이 FSH에 의해 회복되지 못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dersen CY (2002) Possible new mechanism of cortisol action in female reproductive organs: phys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free hormone hypothesis. J Endocrinol 173:211-217. 

  2. Baldwin DM (1979) The effect of glucocorticoids on estrogendependent luteinizing hormone release in the ovariectomized rat and on gonadotropin secretin in the intact female rat. Endocrinology 105:120-128. 

  3. Ben-Rafael Z, Benadiva CA, Garcia CJ, Flickinger GL (1988) Cortisol stimulation of estradiol and progesterone secretion by human granulosa cells is independent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 effects. Fertil Steril 49:813- 816. 

  4. Bourgeois S, Newby RF (1977) Diploid and haploid states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gene of mouse lymphoid cell lines. Cell 11:423-430. 

  5. Breen KM, Billings HJ, Wagenmaker ER, Wessinger EW, Karsch FJ (2005) Endocrine basis for disruptive effects of cortisol on preovulatory events. Endocrinology 146: 2107-2115. 

  6. Channing CP, Tsai V, Sachs D (1976) Role of insulin, thyroxin and cortisol in luteinization of porcine granulosa cells grown in chemically defined media. Biol Reprod 15:235-247. 

  7. Dobson H, Alam MG, Kanchev LN (1987) Effect of betametasone treatment on luteal lifespan and the LH response to GnRH in dairy cows. J Reprod Fertil 80: 25-30. 

  8. Fateh M, Ben-Rafael Z, Benadiva CA, Mastroianni L Jr, Flickinger GL (1989) Cortisol levels in human follicular fluid. Fertil Steril 51:538-541. 

  9. Feng Z, Marti A, Jehn B, Altermatt HJ, Chicaiza G, Jaggi R (1995) Glucocorticoid and progesterone inhibit involution and programmed cell death in the mouse mammary gland. J Cell Biol 131:1095-1103. 

  10. Giddings SJ, Young DA (1974) An in vitro effect of physiological levels of cortisol and related steroids on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nucleus in rat thymic lymphocytes as measured by resistance to lysis. J Steroid Biochem 5:587-595. 

  11. Hallahan C, Young DA, Munck A (1973) Time course of early events in the action of glucocorticoids on rat thymus cells in vitro. Synthesis and turnover of a hypothetical cortisol-induced protein inhibition of glucose metabolism and of a presumed ribonucleic acid. J Biol Chem 248:2922-2927. 

  12. Hillier SG, Tetsuka M (1998) An anti-inflammatory role for glucocorticoids in the ovaries- J Reprod Immunol 39:21-27. 

  13. Hsueh AJ, Erickson GF (1978) Glucocorticoid inhibition of FSH-induced estrogen production in cultured rat granulosa cells. Steroids 32:639-648. 

  14. Huang TJ, Shirley Li P (2001) Dexamethasone inhibits luteinizing hormone-induced synthesis of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in cultured rat preovulatory follicles. Biol Reprod 64:163-170. 

  15. Jarrett RJ (1965) Effects and mode of action of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upon the reproductive tract of the female mouse. Endocrinology 76:434-440. 

  16. Kaiser N, Edelman IS (1977) Calcium dependence of glucocorticoid-induced lymphocytolysis. Proc Natl Acad Sci USA 74:638-642. 

  17. Kanchev LN, Dobson H, Ward WR, Fitzpatrick RJ (1976) Concentration of steroids in bovine peripheral plasma during the oestrous cycle and the effect of betamethasone treatment. J Reprod Fertil 48:341-345. 

  18. Komiyama J, Nishimura R, Lee HY, Sakumoto R, Tetsuka M, Acosta TJ, Skarzynski DJ, Okuda K (2008) Cortisol is a suppressor of apoptosis in bovine corpus luteum. Biol Reprod 78:888-895. 

  19. Macfarlane MS, Breen KM, Sakurai H, Adams BM, Adams TE (2000) Effect of duration of in fusion of stress-like concentrations of cortisol on follicular development and the preovulatory surge of LH in sheep. Anim Reprod Sci 63:167-175. 

  20. McKay LI, Cidlowski JA (1999) Molecular control of immune/inflammatory responses: interactions between nuclear factor- ${\kappa}$ B and steroid receptor-signaling pathways. Endocr Rev 20:435-459. 

  21. Michael AE, Cooke BA (1994) A working hypothesis for the regulation of steroidogenesis and germ cell development in the gonads by glucocorticoids and 11 ${\beta}$ -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1 ${\beta}$ HSD). Mol Cell Endocrinol 100: 55-63. 

  22. Michael AE, Thurston LM, Rae MT (2003) Glucocorticoid metabolism and reproduction: a tale of two enzymes. Reproduction 126:425-441. 

  23. Munck A (1968) Metabolic site and time course of cortisol action on glucose uptake, lactic acid output, and glucose 6-phosphate levels of rat thymus cells in vitro. J Biol Chem 243:1039-1042. 

  24. Nordeen SK, Young DA (1976) Glucocorticoid action on rat thymic lymphocytes. Experiments utilizing adenosine to support cellular metabolism lead to a reassessment of catabolic hormone actions. J Biol Chem 251:7295- 7303. 

  25. Norwitz ER, Schust DJ, Fisher SJ (2001) Implantation and the survival of early pregnancy. N Engl J Med 345: 1400-1408. 

  26. Okuda K, Korzekwa A, Shibaya M, Murakami S, Nishimura R, Tsubouchi M, Woclawek-Potocka I, Skarzynski DJ (2004) Progesterone is a suppressor of apoptosis in bovine luteal cells. Biol Reprod 71:2065-2071. 

  27. Omura T, Morohashi K (1995) Gene regulation of steroidogenesis. J Steroid Biochem Mol Biol 53:19-25. 

  28. Pisetsky DS, Fairhurst AM (2007) The origin of extracellular DNA during the clearance of dead and dying cells. Autoimmunity 40:281-284. 

  29. Sasson R, Amsterdam A (2003) Pleiotropic anti-apoptotic activity of glucocorticoids in ovarian follicular cells. Biochem Pharmacol 66:1393-1401. 

  30. Schoonmaker JN, Erickson GF (1983) Glucocorticoid modulation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mediated granulosa cell differentiation. Endocrinology 113(4):1356-1363. 

  31. Schreiber JR, Nakamura K, Erickson GF (1982) Rat ovary glucocorticoid receptor: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Steroids 39:569-584. 

  32. Shimojo M, Ricketts ML, Petrelli MD, Moradi P, Johnson GD, Bradwell AR, Hewison M, Howie AJ, Stewart PM (1997) Immunodetection of 11b-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2 in human mineralocorticoid target tissues: evidence for nuclear localization. Endocrinology 138:1305-1311. 

  33. Streeten DH, Anderson GH Jr, Dalakos TG, Seeley D, Mallov JS, Eusebio R, Sunderlin FS, Badawy SZ, King RB (1984) Normal and abnormal funct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 adrenocortical system in man. Endocr Rev 5:371-394. 

  34. Tetsuka M, Thomas FJ, Thomas MJ, Anderson RA, Mason JI, Hillier SG (1997) Differential expression of messenger ribonucleic acids encoding 11b-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s 1 and 2 in human granulosa cells. J Clin Endocrinol Metab 82:2006-2009. 

  35. Wang M (2005) The role of glucocorticoid action in the pathophysiology of the metabolic syndrome. Nutr Metab 2(1):3. 

  36. Whorwood CB, Franklyn JA, Sheppard MC, Stewart PM (1992) Tissue loclization of 11 ${\beta}$ -hydroxysteroid dehydrogenas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glucocorticoid receptor. J Steroid Biochem Mol Biol 41:2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