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이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on Steroidogenesis and Apoptosis of Human Granulosa-Lutein Cells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3 no.4, 2009년, pp.353 - 362  

이효진 (서울여자대학교 생명공학과) ,  양현원 (서울여자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nRH는 국부적으로 난소에서 합성되며, 난소내 과립 및 황체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GnRH는 난소내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가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는지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 채취시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한 후 5, 50, 100 ng/$m\ell$ GnRH와 1 IU/$m\ell$ FSH를 처리하고 세포의 세포자연사 여부와 분비된 progesterone$(P_4)$과 estradiol$(E_2)$ 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화 분석과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평가한 결과, GnRH는 농도 의존적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증가시켰고, 특히 100 ng/$m\ell$ GnRH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세포자연사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의 증가는 FSH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발광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배양내 $P_4$$E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GnRH을 처리한 후 $E_2$의 양은 변화가 없었던 반면 $P_4$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GnRH의 $P_4$ 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자연사 결과 마찬가지로 FSH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시술시 사용되고 있는 GnRH 작용제가 난소의 기능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다량으로 투여되는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난소에 대한 GnRH의 생리적 기전을 이해하고 향후 새로운 과배란 유도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nRH and its receptor are known to express locally in the ovary and to regulate the ovarian function by affecting on granulosa and lutein cells. It has been reported that GnRH directly causes apoptosis in the granulosa and lutein cells of the ovary. However, whether the apoptosis of the cells by Gn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획득하여 GnRH와 FSH를 처리한 후 합성되는 스테로이드 양의 변화를 조사하고, 배양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GnRH가 배양된 과립-황체화 세포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작용 기전을 조사하고, 또한 FSH에 의해 GnRH의 난소 기능 억제 효과가 회복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 2003), 아직 그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nRH가 난소내 세포의 세포자연사와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이용하여 GnRH와 FSH를 처리한 후 세포자연사를 확인하고 합성되는 P4와 E2 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이란?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는 시상하부에서 합성되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 호르몬으로 뇌하수체 문맥 순환을 통하여 뇌하수체 전엽에 있는 GnRH 수용체와 결합하여 작용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뇌하수체 전엽에서 생식샘자극호르몬인 FSH와 LH가 분비되며, 분비된 생식샘자극호르몬들은 생식소 및 그 부속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Wierman et al.
GnRH 난소 기능의 촉진 효과는 어떠한가? 반면, GnRH에 의한 난소 기능의 촉진 효과로 난자의 감수 분열을 유도하고, 배양된 과립세포에서 20α-hydroxysteroid dehydrogenase의 활성을 자극하며, 인지질로부터 arachidonic acid 방출을 자극하여 prostaglandin E와 F의 합성을 증진시킴으로써 배란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Hsueh et al., 1980; Clark, 1982).
난소에서 발현되는 GnRH의 난소 기능 억제 효과는 무엇인가? 난소에서 발현되는 GnRH는 난소 기능의 억제와 촉진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먼저 난소 기능에 대한 GnRH의 억제 효과로 GnRH는 난소내 과립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생식샘자극호르몬에 의한 스테로이드 합성을 억제시키고(Kolena & Channing, 1972), 과립세포의 cyclic nucleotide의 축적을 방해한다(Magoffin et al., 1981; Erickson et al., 1985). 또한 LH와 prolactin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FSH, LH, IGF-1 수용체의 발현도 감소시켜 P4, androgen 및 estrogen의 합성을 억제시킨다(Amsterdam et al., 2003). 더욱이 다량으로 투여된 GnRH는 난소내 난포의 발생과 배란을 억제시키며, 배양된 과립세포에 처리하면 inhibin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Rippel & Johnson, 1976; Bicsak et al., 19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msterdam A, Keren-Tal I, Aharoni D, Dantes A, Land- Bracha A, Rimon E, Sasson R, Hirsh L (2003) Steroidogenesis and apoptosis in the mammalian ovary. Steroids 68:861-867. 

  2. Ashkenazi A, Dixit VM (1998) Death receptors: signaling and modulation. Science 281:1305-1308. 

  3. Birnbaumer L, Shahabi N, Rivier J, Vale W (1985) Evidence for a physiological role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or GnRH-like material in the ovary. Endocrinology 116:1367-1370. 

  4. Bicsak TA, Tucker EM, Cappel S, Vaughan J, Rivier J, Vale W, Hsueh AJ (1986) Hormonal regulation of granulosa cell inhibin biosynthesis. Endocrinology 119(6): 2711-2719. 

  5. Billig H, Furuta I, Hsueh AJ (1994)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directly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in the rat ovary: biochemical and in situ detection of deoxyribonucleic acid fragmentation in granulosa cells. Endocrinology 134:245-252. 

  6. Braw RH, Tsafriri A (1980) Effect of PMSG on follicular atresia in the immature rat ovary. J Reprod Fertil 59:267-272. 

  7. Cheng CK, Leung PC (2005) Molecular biology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I, GnRH-II, and their receptors in humans. Endocr Rev 26:283-306. 

  8. Choi JH, Gilks CB, Auersperg N, Leung PC (2006) Immunolocalization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I, GnRH-II, and type I GnRH receptor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in the human ovary. J Clin Endocrinol Metab 91:4562-4570. 

  9. Clark MR (1982) Stimulation of progesterone and prostaglandin E accumulation by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and LHRH analogs in rat granulosa cells. Endocrinology 110:146-152. 

  10. Erickson GF, Magoffin DA, Dyer CA, Hofeditz C (1985) The ovarian androgen producing cells: a review of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Endocr Rev 6:371-399. 

  11. Hirshfield AN (1991) Development of follicles in the mammalian ovary. Int Rev Cytol 124:43-101. 

  12. Hsueh AJ, Erickson GF (1979) Extrapituitary action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direct inhibition ovarian steroidogenesis. Science 204:854-855. 

  13. Hsueh AJ, Wang C, Erickson GF (1980) Direct inhibitory effect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upon folliclestimulating hormone induction of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and aromatase activity in rat granulosa cells. Endocrinology 106:1697-1705. 

  14. Jones PB, Conn PM, Marian J, Hsueh AJ (1980) Binding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to rat ovarian granulosa cells. Life Sci 27:2125-2132. 

  15. Kang SK, Choi KC, Yang HS, Leung PC (2003) Potential role of gonadotrophin-releasing hormone (GnRH)-I and GnRH-II in the ovary and ovarian cancer. Endocr Relat Cancer 10:169-177. 

  16. Kang SK, Tai CJ, Nathwani PS, Leung PC (2001) Differential regulation of two form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messenger ribonucleic acid in human granulosaluteal cells. Endocrinology 142:182-192. 

  17. Kolena J, Channing CP (1972) Stimulatory effects of LH, FSH and prostaglandins upon cyclic 3',5'-AMP levels in porcine granulosa cells. Endocrinology 90:1543-1550. 

  18. Kumar S. (1995) ICE-like proteases in apoptosis. Trends Biochem Sci 20:198-202. 

  19. Limonta P, Moretti RM, Marelli MM, Motta M (2003) The biology of gonadotropin hormone-releasing hormone: role in the control of tumor growth and progression in humans. Front Neuroendocrinol. 24:279-295. 

  20. Magoffin DA, Reynolds DS, Erickson GF (1981) Direct inhibitory effect of GnRH on androgen secretion by ovarian interstitial cells. Endocrinology 109:661-663. 

  21. Markstrom E, Svensson E, Shao R, Svanberg B, Billig H (2002) Survival factors regulating ovarian apoptosis: dependence on follicle differentiation. Reproduction 123: 23-30. 

  22. Matsubara H, Ikuta K, Ozaki Y, Suzuki Y, Suzuki N, Sato T, Suzumori K (2000) Gonadotropins and cytokines affect luteal function through control of apoptosis in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J Clin Endocrinol Metab 85:1620-1626. 

  23. Matsumi H, Yano T, Osuga Y, Kugu K, Tang X, Xu JP (2000) Regul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to promote cytostasis in ovarian follicular development. Bio Reprod 63:141-146. 

  24. Neill JD (2002) GnRH and GnRH receptor genes in the human genome. Endocrinology 143:737-743. 

  25. Parborell F, Pecci A, Gonzalez O, Vitale A, Tesone M (2002) Effects of a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on rat ovarian follicle apoptosis: regulation by epidermal growth factor and the expression of Bcl-2-related genes. Biol Reprod 67:481-486. 

  26. Parinaud J, Oustry P, Bussenot I, Tourre A, Perineau M, Plantavid M, Monrozies X, Reme JM, Pontonnier G (1992) Paradoxical ovarian stimulations in the use of LHRH analogs.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47: 129-133. 

  27. Pellicer A, Tarin JJ, Miro F, Sampaio M, De los Santos MJ, Remohi J (1992) The use of gonadotrophin releasinghormone analogues (GnRHa), in in-vitro fertilization: some clin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f a direct effect on the human ovary. Hum Reprod 1:39-47. 

  28. Pieper DR, Richards JS, Marshall JC (1981) Ovarian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receptors: characterization, distribution, and induction by GnRH. Endocrinology 108:1148-1155. 

  29. Rippel RH, Johnson ES (1976) Inhibition of HCG-induced ovarian and uterine weight augmentation in the immature rat by analogs of GnRH. Proc Soc Exp Biol Med 152:432-436. 

  30. Sealfon SC, Weinstein H, Millar RP (1997) Molecular mechanisms of ligand interaction with th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receptor. Endocr Rev 18:180-205. 

  31. Sifer C, Blanc-Layrac G, Bringuier AF, Porcher R, Madelenat P, Feldmann G, Benifla JL (2003) Effects of a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on the incidence of apoptosis in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110: 43-48. 

  32. Smith KB, Fraser HM (1991) Control of progesterone and inhibin secretion during the luteal phase in the macaque. J Endocrinol 128:107-113. 

  33. Sridaran R, Lee MA, Haynes L, Srivastava RK, Ghose M, Sridaran G, Smith CJ (1999) GnRH action on luteal steroidogenesis during pregnancy. Steroids 64:618-623. 

  34. Takekida S, Matsuo H, Maruo T (2003) GnRH agonist action on granulosa cells at varying follicular stages. Mol Cell Endocrinol 202:155-164. 

  35. Tilly JL, Tilly KI, Perez GI (1997) The genes of cell death and cellular susceptibility to apoptosis in the ovary: a hypothesis. Cell Death Differ 4:180-187. 

  36. Tsafriri A, Braw RH (1984) Experimental approaches to atresia in mammals. Oxf Rev Reprod Biol 6:226-265. 

  37. Tsai NM, Hsieh RH, Au HK, Shieh MJ, Huang SY, Tzeng CR (2005) Effects of gonadotrophin-releasing hormone agonists on apoptosis of granulosa cells. Ann NY Acad Sci 1042:531-537. 

  38. Wang J, Steele GL, Baimbridge KG, Rodway MR, Leung PC (1992) Intracellular calcium and the signaling mechanism of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in rat granulosa cells. Am J Obstet Gynecol 167:541-547. 

  39. Whitelaw PF, Eidne KA, Sellar R, Smyth CD, Hillier SG (1995)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receptor messenger ribonucleic acid expression in rat ovary. Endocrinology 136:172-179. 

  40. Wierman ME, Rivier JE, Wang C (1989) The structure and regulation of the pituitary gonadotrophin subunit genes. Endocrinology 124:272-278. 

  41. Zeleznik AJ, Ihrig LL, Bassett SG (1989) Developmental expression of $Ca^{++}$ / $Mg^{++}$ -dependent endonuclease activity in rat granulosa and luteal cells. Endocrinology 125: 2218-2220. 

  42. 박은주, 김평식, 염윤희, 양현원, 박원일, 강병문 (2004) GnRHagonist에 의한 인간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사멸은 caspase-3와 -9 및 PARP의 활성화에 의해 유도됨.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7:1145-1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