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용매에 따른 겨우살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istletoe Extracts from Viscum album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5, 2009년, pp.529 - 534  

주민정 (한국식품연구원) ,  도정룡 (한국식품연구원)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추출용매 및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겨우살이는 microwave 방법으로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뒤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시 원재료(slice) 추출물에 비해 분말상태(powder) 추출물의 polyphenol 함량이 높았다. 특히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물과 100% 에탄올 추출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 작용 역시 분말(powder) 상태의 겨우살이 추출물에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활성은 90% 이상으로 기준물질인 L-ascorbic acid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아질산염전자공여능과 총 폴리페놀함량과 마찬가지로 원재료(slice)보다분말(powder) 추출구에서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pH의 증가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SOD는 4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tyrosinase 역시 20% 이하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겨우살이 추출물은 SOD 유사활성 및 tyrosinase 저해효과는 높지 않지만 우수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istletoe extracts were examined. 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tyrosinase of mistletoe extracted with water, 50%, and 100% ethanol were determine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powder extract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겨우살이를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으로 가공함에 있어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은 추출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겨우살이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이용하여 용매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작용,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의 생리활성 측정을 통해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적용을 위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겨우살이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이용하여 용매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작용,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의 생리활성 측정을 통해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적용을 위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겨우살이를 microwave 방법으로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뒤 수행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겨우살이는 microwave 방법으로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뒤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시 원재료(slice) 추출물에 비해 분말상태(powder) 추출물의 polyphenol 함량이 높았다. 특히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물과 100% 에탄올 추출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 작용 역시 분말(powder) 상태의 겨우살이 추출물에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활성은 90% 이상으로 기준물질인 L-ascorbic acid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아질산염은 전자 공여능과 총 폴리페놀함량과 마찬가지로 원재료(slice)보다 분말(powder) 추출구에서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pH의 증가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SOD는 4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tyrosinase 역시 20% 이하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겨우살이 추출물은 SOD 유사활성 및 tyrosinase 저해효과는 높지 않지만 우수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겨우살이는 무엇인가? 겨우살이는 기생식물군으로 그 숙주식물에 따라 여러 가지 과(科)와 종(種)으로 나누어지며 형태와 구성성분도 각각 다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겨우살이는 참나무, 팽나무, 오리나무 등에 기생하는 다년생 반 기생 상록 식물로 동서양에서 질병 치료에 사용하며 동맥경화증, 고혈압, 폐암, 결장암, 유방암 등의 항암활성 및 면역 증강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4). 지금까지 겨우살이에서 분리된 성분으로는 lectin, viscotoxin, flavonoid, triterpene, polysaccharide, alkaloid 등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 주요 항암인자인 lectin의 연구결과 한국산(Viscum album L.
겨우살이에서 분리된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겨우살이는 참나무, 팽나무, 오리나무 등에 기생하는 다년생 반 기생 상록 식물로 동서양에서 질병 치료에 사용하며 동맥경화증, 고혈압, 폐암, 결장암, 유방암 등의 항암활성 및 면역 증강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4). 지금까지 겨우살이에서 분리된 성분으로는 lectin, viscotoxin, flavonoid, triterpene, polysaccharide, alkaloid 등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 주요 항암인자인 lectin의 연구결과 한국산(Viscum album L. va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uttan G, Kuttan R. 1992.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 peptide isolated from Viscum album extract (NSC 635089). Immunol Invest 21: 285-296 

  2. Hajto T, Hostanska K, Frei K, Rordorf C, Gabius, Hans J. 1990. Increased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 interleukin 1, and interleukin 6 by human mononuclear cells exposed to $\beta$ -galactoside-specific lectin from clinically applied mistletoe extract. Cancer Res 50: 3322-3326 

  3. Bussing A, Suzart K, Schweizer K. 1997. Differences in the apoptosis-inducing properties of Viscum album L. extracts. Anti-Cancer Drug 8(suppl 1): S9-S14 

  4. Franz H. 1986. Mistletoe lectins and their A and B chains. Oncology 43(suppl 1): 23-34 

  5. Bussing A. 1997. Mistletoe: a story with an open end. Anti-Cancer Drug 8(suppl 1): S1-S2 

  6. Rentea R, Lyon E, Hunter R. 1981. Biologic properties of Iscador: A Viscum album preparation: I. hyperplasia of the thymic cortex and accelerated regeneration of hematopoietic cells following x-irradiation. Lab Invest 44: 43-48 

  7. Bloksma N, Dijk HV, Korst P, Willers JM. 1979. Cellular and humoral adjuvant activity of mistletoe extract. Immunobiology 156: 309-319 

  8. Doser C, Doser M, Huelsen H, Mechelke F. 1989. Influence of carbohydrates on the cytotoxicity of an aqueous mistletoe drug and of purified mistletoe lectins tested on human T-leukemia cells. Arzneimittel-forschung/Drug Res 39: 647-651 

  9. Khwaja TA, Dias CB, Pentecost S. 1986. Recent studies on the anticancer activities mistletoe (Viscum album) and its alkaloids. Oncology 43(suppl 1): 42-50 

  10. Ribereau-Gayon G, Jung ML, Baudino S, Salle G, Beck JP. 1986. Effect of mistletoe (Viscum album L.) extracts on cultured tumor cells. Experientia 42: 594-599 

  11. Bocci V. 1993. Mistltoe (Viscum album) lectins an cytokine inducers and immuniadjuvant in tumor therapy. A review. J Biol Regul Homeost Agents 7: 1-6 

  12. Joller PW, Menrad JM, Schwarz T, Pfueller U, Parnham MJ, Weyhenmeyer R, Lentzen H. 1996. Stim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via a special standardized mistletoe preparation in an in vitro human bioassay. Arzneimittel-Forsch-ung/Drug Res 46: 649-653 

  13. Schink M. 1997. Mistletoe therapy for human cancer: the role of natural killer cells. Anticancer Drugs 8(supple 1): S47-S51 

  14. Klett CY, Anderer FA. 1989. Activation of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ity of human blood monocytes by a low molecular component from Viscum album extract. Arzneimittel-For-schung/Drug Res 39( ): 1580-1585 

  15. Yoon TJ, Yoo YC, Kang TB, Baeck YJ, Huh CS, Song SK, Lee KH, Azuma I, Kim JB. 1998. Prophylactic effect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on tumor metastasis is mediated by enhancement of NK cell activity. International J Immunopharmacology 20: 163-172 

  16. Bloksma N, Diji HV, Korst P, Willers JM. 1979. Cellular and humoral adjuvant activity of a mistletoe extract. Immunobiol 15: 309-319 

  17.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8.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9.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0.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21. Wong TC, Luh BS, Whitaker JR. 1971. Isolation and chara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of clingstone peach. Plant Physio 48: 19-23 

  22. Choi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23.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4. Kim NY, Kim YK, Bea KJ, Choi JH, Moon JH, Park GH, Oh DH. 2005.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extraction condition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 of wild grape seed (Vitis coigneti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55-758 

  25. Oboh G, Akindahunsi AA. 2004. Change in the ascorbic acid, total 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n-dried commonly consumed green leafy vegetables in Nigeria. Nutr Health 18: 29-36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Seo YH, Kim IJ, Lee AS, Min HK. 2001.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61-166 

  28. Park SJ, Oh DH. 2003.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124 

  29. Cha HS, Park KM. 200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30. Lee MJ, Moon GS.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 wang-dae, som dae, maengjong-juk and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26-1232 

  31. Song HS, Park YH, Kim SK, Moon WK, Kim DW, Moon KY. 2004. Downregulatory effect of mistletoe (Viscum album) and Pueraria root (Pueraria radix) on cellular NF-kB activa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94-1600 

  32.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33. Jeong HJ, Kim SA, Kwon JH, Kim HK.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deniae fructus extracts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as affected by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2-287 

  34.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35. Kim SJ, Han DS, Moon KD, Thee JS. 1995. Measurement of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natural antioxidants. Biosci Biotech Biochem 59: 822-826 

  36. Lim JA, Yun BW, Baek SH.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183-188 

  37. Park YB, Lee TG, Kim OK, Do JR, Yeo SG, Park YH, Kim SB.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 of Classiat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24-128 

  38. Kim DS, Ahn BW, Yeum DM, Lee DH, Kim SB,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1.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vegetable extrac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39. Kim DS, Ahn BW, Yeum DM, Lee DH, Park YH, Kim DS.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2.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eaweed extracts. Bull Korean Fish Soc 20: 469-473 

  40. Hearing VJ, Tsukamoto K. 1991. Enzymatic control of pigmentation in mammals. FASEB J 5: 2902-2909 

  41. Hearing VJ, Jimenez M. 1989. Analysis of mammalian pigmentation at the molecular level. Pigment Cell Res 2: 75-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