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조건에 따른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Viscum album L.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 2010년, pp.14 - 19  

이혜진 (한국식품연구원) ,  도정룡 (한국식품연구원)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겨우살이의 농도를 25 mL/g, 50 mL/g, 100 mL/g로 추출비율을 달리하고, 추출용매로 증류수, 50% EtOH, 100% EtOH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 작용 측정 결과 50 mL/g의 비율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전자공여능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특히 50% EtOH 추출물이 93.27%로 비교물질인 L-ascrobic acid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p<0.05). SOD 유사활성에서도 50 mL/g의 비율로 추출한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지만, 모든 추출물이 40%미만의 활성을 보였다(p<0.05).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25 mL/g, 50 mL/g, 100 mL/g의 비율로 추출한 모든 추출물에서 증류수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50 mL/g의 비율로 추출한 추출물은 모든 추출용매의 조건에서도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다(p<0.05).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 50% EtOH를 이용한 모든 추출물이 80% 이상의 높은 소거능력을 보였고, 특히 산성조건인 pH 1.2에서 모든 추출물이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p<0.05).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의 경우는 모든 농도의 겨우살이가 10%미만의 매우 낮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추어 볼 때, 겨우살이가 적정의 농도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을 갖고 있으며,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추출조건을 찾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및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effects of mistletoe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50% ethanol extract had shown 92.27% at 50 mL/g, which was higher than 1.0% and 0.1% L-ascorbate solutions (p<0.05). SOD-like activities were the most effective in all sa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뽕나무 겨우살이를 추출비율 및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 SOD 유사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tyrosinase 활성 저해능 등을 측정하여 겨우살이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겨우살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효능을 이용하여 기능성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우살이의 국내 기주식물은? 겨우살이는 잎과 줄기가 모두 진한 녹색을 띠고 가지가 두 갈래로 계속 갈라지며 신장하는 반기생성 식물(hemipatasote)로서 국내에서는 참나무, 팽나무, 뽕나무, 벚 나무, 자작나무 등에 기생한다(1). 겨우살이의 성분으로 lectin, amyrin, inositol, viscotoxin, viscine, flavonoid, polysaccharide, tyramine, histamine, choline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겨우살이 성분의 약리적 효능은 무엇인가? 겨우살이의 성분으로 lectin, amyrin, inositol, viscotoxin, viscine, flavonoid, polysaccharide, tyramine, histamine, choline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cholesterol 저하, 혈압 강하 작용, 이뇨,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 요통, 산후, 동상 등의 약리적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5). 특히, 겨우살이의 주성분인 lectin은 세포독성 효과 및 면역력 증강 효과, 항암활성 등(6,7)에 대한 보고가 있었고, 국내에서도 국내산 겨우살이의 생리활성 연구(8,9)를 통해 그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겨우살이의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겨우살이는 잎과 줄기가 모두 진한 녹색을 띠고 가지가 두 갈래로 계속 갈라지며 신장하는 반기생성 식물(hemipatasote)로서 국내에서는 참나무, 팽나무, 뽕나무, 벚 나무, 자작나무 등에 기생한다(1). 겨우살이의 성분으로 lectin, amyrin, inositol, viscotoxin, viscine, flavonoid, polysaccharide, tyramine, histamine, choline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cholesterol 저하, 혈압 강하 작용, 이뇨,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 요통, 산후, 동상 등의 약리적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ark CH, Park CG, Bang KH, Park HW, Seong NS. 2003. Plant growth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el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w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22-126. 

  2. Park JS. 1994. The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s on tumor growth in vivo.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 22-24. 

  3. Han SS, Kang ST, Choi KP, Park WB, Lee DS. 1998. Antimutagenic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59-365. 

  4. Vester F. 1965. Amino acid pattern and malignant growth. Biochem Biophys Acta 104: 98-99. 

  5. Verster F, Steel A, Stoll M, Mulle M. 1968. Zur Kenntnis der inhaltsstoffe von Viscum album III, isolierung und veinigungcancerostatischer protein fraktionen. Physiol Chem Hoppe-Seyler 349: 125-126. 

  6. Gayon GR, Jung ML, Scala DD, Beck JP. 1986.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fermented and unfermented mistletoe preparations on cultured tumor cells. Oncology 43(suppl. 1): 35-46. 

  7. Holtskog R, Sandvig K, Olsnes S. 1988. Characterization of a toxic lectin in isocador, a misltetoe preparation with alleged cancerostatic properties. Oncology 45: 172-179. 

  8. Yoon TJ, Yoo YC, Kang TB, Baeck YJ, Huh CS, Song SK, Lee KH, Azuma I, Kim JB. 1998. Prophylactic effect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on tumor metastasis is mediated by enhancement of NK cell activity. Int J Immunopharmacol 20: 163-172. 

  9. Ribereau-Gayon G, Jung ML, Baudino S, Salle G, Beck JP. 1986. Effect of mistletoe (Viscum album L.) extracts on cultured tumor cells. Experientia 42: 594-599. 

  10. Jung BY. 1999. Study of biological activity components of korean and european mistletoe.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42-50. 

  11.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2.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13.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4.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5. Wong TC, Luh BS, Whitaker JR. 197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of clingstone peach. Plant Physio 48: 19-23.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Park SJ, Oh DH. 2003.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124. 

  18.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Son JH. 2004.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44-250. 

  19.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20. Choi MA, Park NY, Woo SM, Jeong YJ. 2003.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rom Hericium erinaceu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77-782. 

  21. Song HS, Park YH, Kim SK, Moon WK, Kim DW, Moon KY. 2004. Downregulatory effect of mistletoe (Viscum album) and Pueraria root (Pueraria radix) on cellular NF-kB activa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94-1600. 

  22. Jung GT, Ju IO, Choi DG, Jeong JS, Ryu J, Ko BR, Choi JS, Choi YG. 2005.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lums (oishiwase and formo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16-821. 

  23. Hong HE, Kang NK, Kim SS.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24. Kim SR, Ha TY, Song HN, Kim YS, Park YK.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71-177. 

  25.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6. Yosizawa S, Horiuchi T, Yoshida T, Okuda T. 1987.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of (-)-epigllocatechin gallate, the main constituent of tannin in green tea. Phytother Res 1: 44-47. 

  27. An BJ, Lee JT, Kwak JH, Park JM, Lee JY, Son JH, Bae JH, Choi C. 2004.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92-95. 

  28. Lee SE, Seong NS, Park CG, Seong JS. 2002. Screening for antioxidative of oriental medicinal plant materials. Kor J Medicinal Crop Sci 10: 171-176. 

  29. Kwon HJ, Park CS.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m Omija. Korean J Food Preserv 15: 587-592. 

  30. Kim JH, Yoon SJ, Lee KH, Kwon HJ. 2005.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orm Basil (Ocimum basilicum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73-177. 

  31. Kim TH. 2008. Antiox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antalum album extracts by extract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5: 456-460. 

  32. Bastsh H, Ohshima H, Pignatell B. 1988. Inhibition of endogenous nitrosation: mechanism and implication in human cancer prevention. Mutat Res 202: 307-324. 

  33. Kim SM, Cho YS, Sung SL.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a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3-632. 

  34. Lee YS, Joo EY, Kim NW.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Lespedeza bicolor . Korean J Food Preserv 12: 75-79. 

  35. Jung GT, Ju IO, Choi JS, Choi YG. 2002.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inned apple, pear and peach. Korean J Food Preserv 9: 391-395. 

  36. Park JH, Chin YG, Shin UK, Beak SK, Chung MH, Park YI. 1997.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herbal drugs. Arch Pharm Res 4: 518-523. 

  37. Park YH, Chang SK. 1997. Screening of inhibitory effect of edible mushrooms on tyrosinase and isolation of active component. J Fd Hyg Safety 12: 195-199. 

  38. Lee YS, Choi BD, Joo EY, Shin SR, Kim NW. 200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ability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lia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6: 101-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