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충하초 균사체로 발효시킨 백련잎차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White Lotus Leaf Fermented by Mycelial Paecilomyces japonic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5, 2009년, pp.594 - 600  

김종숙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왕수빈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성구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조영숙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석규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눈꽃 동충하초 균사체를 이용한 백련잎 발효차와 비발효차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품질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추출수율, 갈변도,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무기질의 함량을 조사하였고, 또한 수증기 증류법으로 백련잎차의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추출수율은 발효 및 비발효차 모두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백련잎 발효차의 열수 추출용매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26.55%를 나타내었고(p<0.05), 갈변도는 흡광도로서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1.6배 이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당은 백련잎 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에서 43.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glucose 함량은 발효차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5.6배, 3.7배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총 유기산은 $861.9{\sim}4,704.8\;mg%$ 범위로서 발효 백련잎차의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에는 succinic acid가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백련잎 발효차는 비발효차의 경우와는 달리 acet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가 확인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건물 당 $346.4{\sim}1,480.8\;mg%$ 범위 로서, 비발효 백련잎차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백련잎 발효차는 비발효차에 비하여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용매별로는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2.9배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총 무기질은 비발효 및 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각각 2.1배, 1.7배 높았으며, 그 중에서는 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휘발성 성분은 aldehyde류 11종, alcohol류 14종, ketone류 11종, hydrocarbone류 11종, acid류 12종으로 총 59개를 동정할 수가 있었으며, 특히 비발 효차는 alcohol류, 발효차는 aldehyde류와 ketone류에서 서로 다른 휘발성분들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lotus leaf tea (LLT) fermented with or without mycelial Paecilomyces japonica were investigated. Extraction yield and browning index of hot water extract from non fermented and fermented LLTs were higher than those of ethanol extract (p<0.05). In all LLTs, nutrition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백련잎을 이용한 눈꽃 동충하초 균사체를 배양하여 기호성과 품질특성이 증진된 백련잎 발효차를 개발하고자, 그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미네랄 성분 등을 분석하였고, 백련잎 발효차의 휘발성 성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잎이란? 연잎(Nelumbo nucifera Gaertn)은 하엽(荷葉)이라고 하며, 맛이 쓰고 조직이 두꺼운 왁스층으로 발달되어 있어, 연못이나 논밭에서 재배되고 있는 수생식물로서 아시아 남부와 북호주가 원산지이고,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 동부 지역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다(3). 오래 전부터 민간치료제로서 출혈성위염ㆍ위궤양, 설사, 두통, 야뇨증, 해독, 진정 및 해열작용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4), 그 화학성분으로는 armepavine, nuciferine, N-nornuciferine, pronuciferine, roemerine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5)과 각종 유기산, 미네랄과 탄수화물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3,4).
연잎의 효능은? 연잎(Nelumbo nucifera Gaertn)은 하엽(荷葉)이라고 하며, 맛이 쓰고 조직이 두꺼운 왁스층으로 발달되어 있어, 연못이나 논밭에서 재배되고 있는 수생식물로서 아시아 남부와 북호주가 원산지이고,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 동부 지역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다(3). 오래 전부터 민간치료제로서 출혈성위염ㆍ위궤양, 설사, 두통, 야뇨증, 해독, 진정 및 해열작용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4), 그 화학성분으로는 armepavine, nuciferine, N-nornuciferine, pronuciferine, roemerine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5)과 각종 유기산, 미네랄과 탄수화물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3,4).
연잎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그리고 연잎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6-8), 항균(9,10), 항비만(11-13), 지질개선(14,15), 피부주름 개선(16), 미백(17),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18), 항바이러스(19) 등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늦여름~가을에 채취한 연잎을 자연건조ㆍ가공하여 전통식품의 부재료로서 쿠키(20), 빵(21)이나 떡(22,23), 어묵(24), 술(8) 등에 이용하거나 여린 잎을 연잎차로서 이용하기도 하지만(25), 아직 연잎의 식품 응용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YS, Shin DY, Kim JH, Jang JM, Park SK, Kang SK, Lee MK. 2009. Natural Living Tea and Health. Namdo Tea Research Institute, Suncheon, Korea 

  2. Cho YS, Park SK, Lee KS, Kim JY, Wang SB, Shon MY. 2008. Development of microbial fermented tea using wild type green tea. Report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Ministry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oul, Korea 

  3. Lee KS, Kwon YJ, Lee KY. 2008.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vitamin, mineral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lotus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22-1626 

  4. Han KY,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Jeolpyu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04-1611 

  5. Zelenski SG. 1977. Alkaloids of Nelumbo nucifera (wild) (Nymphaeacea). J Pharm Sci 66: 1627-1628 

  6. Lee KS, Kim MG, Lee KY.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2-186 

  7. Park CH, Hur JM, Song KS, Park JC. 2007.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Nelumbo nucifera showi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Kor J Pharmacogn 38: 263-269 

  8. Lee HK, Choi YM, Noh DO, Suh HJ. 2005.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lotus liquor (Yunyupju). Int J Food Sci Technol 40: 709-715 

  9. Lee KS, Oh CS, Lee KY. 2006.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19-223 

  10. Agnihotri VK, EISohly HN, Khan SI, Jacob MR, Joshi VC, Smillie T, Khan IA, Walker LA. 2008. Constituents of Nelumbo nucifera leaves and their antimalarial and antifungal activity. Phytochemistry Letters 1: 89-93 

  11. Lee EH, Lee YJ, Choi OB, Kang SM. 2007. Effects of a combined diet of Jerusalem artichoke's inulin, lotus leaf and herb extracts in obesity-induced white rat with fat die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95-303 

  12.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M. 2006.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14-120 

  13. Ono Y, Hattori E, Fukaya Y, Imai S, Ohizumi Y. 2006. Anti-obesity effect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in mice and rats. J Ethanopharmacol 106: 238-244 

  14. Kim SB, Rho SB, Rhyu DY, Kim DW. 2005.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hyperlipidemic and atherosclerotic bio F1B hamster. Kor J Pharmacogn 36: 229-234 

  15. Shin MK, Han SH. 2006. Effe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leaf powder on lipid concentration in rats fed high diet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202-208 

  16. Yang WM, Kim HM, Chang MS, Park WS, Kim WN, Kim SW, Choi DG, Lee HC, Kim YK, Park SK. 2006.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anti-oxidation and type I procollagen expression in CCD-986sk cells. Korean J Oriental Med Prescription 14: 67-75 

  17. Chang MS, Kim HM, Yang WM, Kim DR, Park EH, Ko EB, Choi MJ. 2007. Inhibitory effects of Nulumbo nucifera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clone M-3 melanocyte cells. Kor J Herbology 22: 87-94 

  18. Jung HA, Jung YJ, Yoon NY, Jeong DM, Bae HJ, Kim DW, Na DH, Choi JS. 2008. Inhibitory effects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rat lens aldose reductase, advanced glycogen endproducts formation, and oxidative stress. Food Chem Toxicol 46: 3818-3826 

  19. Kashiwada Y, Aoshima A, Ikeshiro Y, Chen YP, Furukawa H, Itoigawa M, Fujioka T, Mihashi K, Cosentino LM, Lee KH. 2005. Anti-HIV benzylalkaloids and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Nelumbo nucifera, and structure-activity correlations with related alkaloides. Bioorganic Medicinal Chem 13: 443-448 

  20.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24: 398-404 

  21. Park SH, Chang KH, Byun GI, Kang WW.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flour partly substituted by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6: 47-52 

  22.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33-442 

  23. Son KH, Park D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 prepar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and lo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77-986 

  24. Shin Y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47-953 

  25. Kim DC, Kim DW, In MJ. 2006. Preparation of lotus leaves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163-164 

  26. Kang SK. 2007.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free amino acid, free sugar and vitamin of Curcuma longa L. and Curcuma atomatica Salib according to picking time. Korean J Food Preserv 14: 624-632 

  27. Kang SK. 2007. Changes in organic acid, mineral, color, curcumin and bitter substance of Curcuma longa L. and Curcuma atomatica Salib according to picking time. Korean J Food Preserv 14: 633-638 

  28. Ohara I, Ariyoshi S. 1979. Comparison of protein precipitants for the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 in plasma. Agric Biol Chem 43: 1473-1478 

  29. Sakai T, Yoshihara K, Hirose Y. 1970.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stituents of volatile oils of zanthoxylum. Chem Soc Bull 43: 484-487 

  30. Duncan D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47: 11-20 

  31. Choi JH. 2005. Physiological activity and isoflavone composition of soybean products prepared with some different strains.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32. Kim JK, Kang WW, Kim GY, Moon HK. 2001. Changes of flavor compounds in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during growt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72-478 

  33. Lee MS, Chung MS. 2003.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Korean J Food Culture 18: 69-7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