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실잣밤나무 열매의 영양성분
Nutritional Compositions in Edible Por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See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5, 2009년, pp.649 - 652  

이진철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 ,  이병두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이홍열 (동아인재대학 호텔조리제빵) ,  정동옥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잣밤의 소재를 널리 알리고 새로운 식품 원으로 개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잣밤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습물기준으로 일반성분 중 수탄수화물은 63.10, 수분 29.64, 조단백질 5.03, 회분 1.25 및 조지방 함량은 1.00%이었다. 주요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과 histidine이었고, 유리당은 3.74%로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잣밤 총 지질의 지방산 중 linolenic acid(18:3), palmitic acid(16:0) 및 oleic acid(18:1)가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무기성분은 P, K, Mg, Zn 및 Ca이었고, 이들의 함량은 각각 88.31, 26.00, 13.20, 10.90 및 3.93 mg/100g이었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풍부한 영양성분을 포함한 구실잣밤의 열매를 새로운 식품 소재의 개발에 사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tritional compositions in edible por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seeds were investigated. Moisture content of Castanopsis cuspidata was 24.72 (Wt. %), crude protein was 2.19% (Wt. %), crude lipid was 0.83% (Wt. %), ash was 1.04% (Wt. %), and carbohydrate was 52.63% (Wt. %) in Castanopsis cuspi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잣밤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잣밤을 새로운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잣밤에 대해서 널리 알려, 새로운 식품 원으로 소개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 잣밤의 소재를 널리 알리고 새로운 식품 원으로 개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잣밤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습물기준으로 일반성분 중 수탄수화물은 63.

가설 설정

  • 1)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to saturated fatty aci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로운 식품 원으로 개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잣밤 가식부의 성분을 연구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잣밤의 소재를 널리 알리고 새로운 식품 원으로 개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잣밤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습물기준으로 일반성분 중 수탄수화물은 63.10, 수분 29.64, 조단백질 5.03, 회분 1.25 및 조지방 함량은 1.00%이었다.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과 histidine이었고, 유리당은 3.74%로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잣밤 총 지질의 지방산 중 linolenic acid(18:3), palmitic acid(16:0) 및 oleic acid(18:1)가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무기성분은 P, K, Mg, Zn 및 Ca이었고, 이들의 함량은 각각 88.31, 26.00, 13.20, 10.90 및 3.93 mg/100 g이었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풍부한 영양성분을 포함한 구실잣밤의 열매를 새로운 식품 소재의 개발에 사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밤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밤에 대한 연구로는 밤의 저장에 관한 연구(2,3), 밤 페이스트 제조와 품질특성(4), 밤가루 물리적 특성(5) 및 변색방지에 대한 연구(6), 밤꽃의 항균성(7), 밤껍질의 중금속 흡착특성(8), 밤 전분질의 다양한 특성(9-15) 및 밤잎의 기능성(16,17)과 밤잎차에 대한 연구(18-21) 등, 밤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잣밤에 대한 연구로는 잣밤나무의 생태나 식생에 관한 연구(22,23) 외에 잣밤나무 종실인 잣밤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구실잣밤나무는 무엇인가?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는 제주도, 완도 등 남해안이남 지역에 분포하고, 해안가나 산록에 자생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지리적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열매인 잣밤은 길이가 보통 2 cm 내외의 견과로서 난형이고 10월에 성숙되며, 수피는 어망 등의 염색에도 쓰이며, 잣밤은 감미롭고 전분이 많아서 생식하거나, 묵을 써 먹기도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YN. 1998. Flora of Korea. 3th ed.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p 72 

  2. Shin DH, Bae JS, Ba KW. 1982.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hestnuts. Korean J Nutrition Food 11: 41-46 

  3. Lee BH, Yoon IH, Kim YB, Han PJ, Lee CM. 1985. Studies on storing chest-nut (Castanea crenata var. dulcis Nakai) sealing with polyethylene film.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31-335 

  4. Seo YH, Kim JH, Lim JH, Moon KD. 1999. Processing and quality properties of chestnut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72-578 

  5. Lim JH, Kim JH, Seo YH, Moon KD. 1999. Effects of low-temperature blanching on physical properties of chest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216-1220 

  6. Cho SH, Sung NK, Ki WK, Hur JH, Shim KH, Jung DH. 1988. Effect of blanching on the prevention of discoloration in the thermal-treated chestnut powder. J Korean Soc Food Nutr 17: 211-214 

  7. Lee YS, Seo KI, Shim KH.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 flower extracts (Castanea crenat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04-109 

  8. Shin SE, Cha WS, Seo JJ, Kim JS. 1999. A study on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s by chestnut shell. Korean J Biotechnol Bioeng 14: 141-145 

  9. Park YA, Kim JH, Hwang TY, Moon KD.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xylpropylated chestnut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999-1004 

  10. Choo NY, Ahn SY. 1995. Effects of molecular structural changes of chestnut starch on starch and it's ge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28-1034 

  11. Choo NY, Ahn SY. 1995.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and it's gel.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17-1027 

  12. Kwon JH, Park SH, Kim SK. 1993. Effects of ionizing energy on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83-85 

  13. Park HH, Kim SK, Pyun YR, Lee SY. 1989. Rheolog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15-819 

  14. Park HH, Lee KH, Kim SK. 1986.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437-442 

  15. Park YH, Kim SK, Lee SY, Kim JB. 1984.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chestnut starch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14-318 

  16. Choi YH, Kim JH, Kim MJ, Han SS, Rim YS. 2000. Antioxidative compounds in leaves of Castanea crenata S. et Z.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373-377 

  17. Jeong CH, Hur JY, Shim KH. 2002.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9: 234-239 

  18. Choi OB, Kim KM, Yoo KS, Park KH. 1986. Anti-allergic effects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68-471 

  19. Choi OB, Yoo KS, Park KH. 199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28-1131 

  20. Choi OB, Yoo KS, Park KH. 1997. The processing of tea with Castanea crenata leave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J Kor Tea Soc 3: 105-115 

  21. Choi OB, Yoo KS, Park KH. 1998. Storage stability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J Kor Tea Soc 4: 105-113 

  22. Kim MH. 1991.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in Cheju island. 1. Natural Castanopsis-Machilus type forest. Korean J Ecol 14: 39-48 

  23. Kang JT, Park NC, Chung YG. 2002. Effects of the soil properties on growth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Dendropanax morbifera stands in warm temperature forest zone. J Korean For Soc 91: 679-686 

  2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5.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6. Kim SB, Lee TG, Park YB, Yeum DM, Kim OK, Byun HS, Park YH. 1993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derived from fermented fish product. Bull Korean Fish Soc 26: 323-327 

  27. Choi JH, Jang JG, Park KD, Park MH, Oh SK. 198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28.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Physiol 37: 91-94 

  29. Morrison WR, Smith LH.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pid Res 5: 600-606 

  30. Cho DM, Kim DS, Lee DS, Kim HR, Pyun JH.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 1.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trace elements according to the place. Bull Korean Fish Soc 28: 50 

  31. Ha BS, Bae MS, Jeong TM, Sung NJ, Son YO. 1982. Studies on constituent variation during storage after freeze-drying of chestnut.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97-105 

  32. Nha YA, Yang CB. 1996.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64-1170 

  33. Nomura K, Ogasawara Y, Uemukai H, Yoshida M. 1995. Change of sugar content in chestnut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Acta Horticult 398: 265-276 

  34. Nha YA, Yang CB. 1997. Changes of lipid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7-445 

  35.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2007. Trace mineral content of foods. In Food composition.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p 430-4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