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 프로토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씬-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 설계
A Design of Framework for Thin-Client by using X Protocol based Appl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0 no.4, 2009년, pp.509 - 520  

송민규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기술의 발전은 컴퓨터, 모바일 시스템을 비롯한 정보기기의 활용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시켰다. 60-70년대의 메인 프레임을 시작으로 80년대의 서버-클라이언트 패러다임을 거쳐 90년대 이후의 네트워크 컴퓨터 형태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현재 컴퓨터 시스템은 독립적인 물리적 시스템에서 상호보완적인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1][2]. 네트워크 기반의 시스템에서 작업 수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는 로컬 시스템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에 저장된다[1].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상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마치 로컬 환경에서와 같이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하여 클라이언트는 보다 경량화, 네트워크 친화적시스템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씬-클라이언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서버 상의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마치 로컬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는 X프로토콜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단일화 된 서버 시스템과는 달리 프락시를 미들-티어로 설계하여 QoS 및 세션의 영속성을 제고하였다. 씬-클라이언트와 서버에 각각 X서버, Xvfb(X virtual frame buffer)를 구현하였고 세션 관리를 위하여 XSMP(X Session Management Protocol)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단순한 서버 디스플레이 전달을 넘어, 서버 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씬-클라이언트에 원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씬-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dvancement of network & application technology causes a major change for the use of IT(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including computer and mobile system. In the process from beginning with main frame in the 1960s and 70's, through the server-client paradigm in the 1980s and toward the d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네트워크 상에서 서버(X 애플리케이션)와 클 라이언트(X 서버)간 통신 세션을 저장, 유지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본 논문에서는 XSMP(X Session Management Protocol)을 활용하고자 한다. X 서버와 통신하는 일련의 X 애플리케이션 그룹이 세션의 주체에 해당하며 각 X 애플리케이션은 자신만의 상태정보를 가지고 있다.
  • X 애플리케이션과는 분리된 미들-티어 시스템에 가상 서버로서 역할을 하는 Xvfb를 지정한 것은 작업에 있어서의 효율성에 근거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에서 우리는 다수의 씬-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중앙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이는 X 애플리케이션이 보다 많은 X 서버와 통신 및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는 클라이언트(X서버)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서버(X 애플리케이션)의 오버로드는 급격히 증가되게 된다.
  • 본 논문에서는 XSMP 기반의 세션 관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리눅스 시스템을 지정하였고 해당 시스템 위에 씬-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는 리눅스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쓰이는 MySQL을 활용하였으며, 리눅스 시스템 상에서 세션 관리자가 실행되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타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씬-클라이언트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반 프로토콜로서 X 프로토콜을 활용하였고 메커니즘 구현을 위한 요소기술로서 Xvfb, XSMP, NX를 활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성능 및 효율성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서버라는 단순한 2계층 모델을 지양하고 프락시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미들-티어를 지정하였고 그를 서버와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구성하였다. 씬-클라이언트 상의 실제 X 서버에 대한 가상의 X서버로서 프락시가 그 기능을 수행하기에 WAN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X 애플리케이션은 세션 관리자가 제공하는 SESSION MANAGER 환경 변수를 통하여 세션 관리자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일련의 속성을 활용하여 각 X 애플리케이션은 세션 관리자에게 자신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씬-클라이언트에 대한 일관된 세션 유지 및 네트워크 복원 후의 세션 정보 제공을 XSMP 프로토콜을 통하여 구현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씬-클라이언트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그 기능 및 역할에 따라 세분화하고 그에 관련된 각 프로토콜을 LAN에서 분산 시스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성능과 안정성 면에서 한층 개선된 씬-클라이언트 아키텍쳐를 구현할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장점에서 나아가 실제 X 서버에 동기화된 복사본을 미들-티어에 구성하고자 하였다. 실제 X 서버에 동기화된 서버가 내부 LAN 상에서 실행된다면 X 프로토콜 통신에 있어서 지연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라운드 트립 트래픽을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 다수의 네트워크와 사용자로 인해 낮은 대역폭, 높은 지연이 상존하는 WAN 상에서의 X 프로토콜 통신은 네트워크 성능 저하로 이어지며 그 원인은 X 트래픽, 빈번한 라운드 트립, 캐시 활용 부재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서 우리의 시스템에 NX를 접목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X 트래픽 압축, 라운드 트립의 감소는 물론 캐시 활용 메커니즘을 구현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보다 향상된 성능의 X 데이터 전달 뿐아니라 보안의 측면에 있어서도 SSH 프로토콜 기반의 암호화, 인증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본 장에서는 X 프로토콜 기반의 씬-클라이언트 구현에 있어 반영하고자 하는 요소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가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단일 네트워크 또는 LAN 환경이 아닌 수많은 장비와 네트워크로 구성된 인터넷과 같은 WAN에서 실행된다.
  • 본 장에서는 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씬-클라이언트를 구현하기 아키텍쳐 설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를 위한 계층화된 시스템 아키텍쳐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X 클라이언트, X 서버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씬-클라이언트는 기존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는 달리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경량화시킨 시스템으로서 작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에 위치한다[1]. 본 장에서는 씬-클라이언트의 개념 및 동작 원리에 대해 서버 기반 컴퓨팅과 플러그-인 기반 컴퓨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씬-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 및 그 동작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기반으로 씬-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실제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해보고자 한다.
  • 씬-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발전에 따라 등장한 시스템이기에 네트워크의 상태에 종속적일 수 밖에 없다[2][6]. 이는 씬-클라이언트의 장점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씬-클라이언트의 이러한 단점 및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그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네트워크 장애 및 고장으로 두 시스템 간의 통신이 단절되면 세션, 데이터가 유실되고 X 애플리케이션은 좀비상태가 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상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X 서버와 X 애플리케이션 간 세션이 지속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씬-클라이언트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 프락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서버를 지정 하여 미들-티어 서버 상에서 수행되도록 하였다. 가상 서버는 씬-클라이언트의 X 서버와 유사한 형태로 동작하며 서버 상에서 실행되는 X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상의 타 클라이언트로 이동 또는 리다이렉트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이러한 특성으로 원격의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컴퓨터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로컬에서와 같이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커니즘에서 클라이언트를 경량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4]. 이러한 시스템은 씬-클라이언트로 불리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씬-클라이언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있는 접근법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네트워크 장애 및 오류로 인해 씬-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이 단절되더라도 이전 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XSM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버 상의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는 세션 관리자 및 그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활용을 제안하였다. 서버 상의 X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되는 동안 데이터베이스의 세션 관리자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신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 또한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아닌 다수의 클라이언트에 멀티플렉싱하는 기능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임의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버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고 세션을 유지 및 전달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그를 위한 가상 서버(Pseudo Server)를 지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상에서 보다 원활히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및 필요성을 반영하여 씬-클라이언트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계층적 아키텍쳐를 도시해보면 (그림 4)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X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씬-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현하는 가능성 있는 한 방법으로 X 프로토콜을 활용하였다. X 프로토콜은 로컬에서 원격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기반의 프로토콜로서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마치 로컬 시스템 상의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5][6]. 이러한 특성의 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우리는 네트워크 상의 각 시스템에 X server, Xvfb(X virtual frame buffer)를 구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 아키텍쳐를 설계하였다.
시스템 설계에 있어 성능,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본 장에서는 X 프로토콜 기반의 씬-클라이언트 구현에 있어 반영하고자 하는 요소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가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단일 네트워크 또는 LAN 환경이 아닌 수많은 장비와 네트워크로 구성된 인터넷과 같은 WAN에서 실행된다. 때문에 시스템 설계에 있어 성능,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네트워크로부터 격리된 컴퓨터는 어떻게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단순한 네트워크 형태의 진화만이 아닌, 컴퓨터 시스템의 형태 및 활용에 있어서도 막대한 변화를 야기시키고 있다. 네트워크로부터 격리된 컴퓨터는 제한된 성능, 용량의 독립적 시스템에 불과하지만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수많은 컴퓨터 시스템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가 이루어지는 특성에 의하여 임의의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타 시스템의 기능 및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ttp://en.wikipedia.org/wiki/Thin_client 

  2. White Paper, "Thin-Client/Server Computing", Citrix Systems, Inc, 1998 

  3. Niraj Tolia, David G. Andersen, and M. Satyanaraya nan "Quantifying Interactive User Experience on Thin Clients", IEEE Internet Computing, pp. 46-52, IEEE Computer Society, 2006. 

  4. Andrej Volchkov, "Server-Based Computing Opport unities", IT Pro, pp. 18-23, IEEE Computer Society, 2002. 

  5. http://en.wikipedia.org/wiki/X_Window_System_core_protocol 

  6. Martin Mauve, "Protocol Enhancement and Compression for X-Based Application Sharing", University of Mannheim, pp. 11-12, , 1997 

  7. Tristan Richardson, Quentin Stafford-Fraser, Kenneth R. Wood, and Andy Hopper, "Virtual Network Computing", Mobile Computing, IEEE Coimputer Society, pp. 33-38, 1998 

  8. Mike Wexler, "X Session Management Protocol", The Open Group, pp. 1-3, 2002 

  9. http://www.pulsewan.com/data101/thin_client_basics.htm 

  10. http://en.wikipedia.org/wiki/Xvfb 

  11. http://en.wikipedia.org/wiki/NX_technolog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