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요인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감각추구의 조절효과
Use of the Internet and Internet addiction of youth in the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 sense of control of the pursuit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0 no.2, 2009년, pp.309 - 318  

유병혁 (숙지고등학교) ,  김수민 (군산대학교) ,  강일모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문화산업경영) ,  백현기 (전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요인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감각추구와 대인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3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win 13.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계수산출과 상관분석을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조절회귀분석(MMR)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때, 대인관계와 감각추구의 변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정적(+)영향을 주었다.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때, 대인관계와 감각 추구는 각각 상호작용을 하여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youth of this research using the Internet, navigate to the factors and relationships with Internet addiction, and the sense of seeking and wa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o was studied 347 high school students in the Gyeonggi Province. SPSS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터넷 사용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감각추구와 대인관계가 조절효과를 미친다는 가설적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인터넷 중독 성향과 관련된 변인들의 상호작용을 탐색함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이르는 복잡한 과정을 규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대인관계와 감각추구는 각각 상호작용을 하여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에 있어서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함으로써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유용한 적응기제임을 밝히고, 대인관계 및 감각추구의 상호작용에 따른 조절효과의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감소를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로부터 인터넷 사용요인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대인관계와 감각추구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조절효과를 바탕으로 (그림 1)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높은 대인관계요인과 감각추구요인이 인터넷 중독의 인터넷 사용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감소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토대로 개념적 기틀과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측정변인간의 상호 관련성 여부와 관련성 정도를 알기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12개 연구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를 에 정리하였다.
  •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인식하고, 대인관계와 감각추구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인터넷 중독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터넷 사용요인은 사용 환경, 사용 시기, 사용목적으로 가정하였다. 이지향(2005)은 인터넷 중독 성향 군에 포함된 남자 청소년의 비율이 여자 청소년보다 높았으며, 이는 남자 청소년이 인터넷 사용목적이 다양하며 흥미를 추구하는 경향 및 보상경험이 강하다.
  • 장우민(2003)은 감각추구성향과 인터넷 중독간의 상관관계에서 스릴과 모험추구는 인터넷 중독과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나고, 김정순(2008)은 감각추구성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적경험추구, 사회적 일탈추구, 침착성 상실은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8][13].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감각추구를 인터넷 사용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정하였다.
  • 인터넷이 사회적 관계를 넓혀 주고 친구들과의 우정을 다지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가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가정하였다.
  • 고위험군이 일반군과 잠재위험군보다 나표현 및 성취 영역에서 높은 동기점수를 보였다(2008,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용요인을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정하였다[15].
  • 가설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있어서 인터넷 사용요인은 인터넷 중독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신 중독증의 원인은? 이러한 통신 중독증의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익명성과 채팅, 심리적 위안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통신 중독의 원인이다.
통신 중독이란? 통신 중독은 정보이용자가 대화방, 머드게임, 동호회 등 인터넷을 과도하게 즐겨 전자우편이나 정보검색을 주로 이용하는 일반인들과 달리 현실도피의 수단으로 사이버공간에 빠져드는 것을 말한다. 통신 중독에는 채팅, 머드게임, 정보 서핑, 사이버트레이닝, 도박, 쇼핑 등이 있다.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요인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감각추구와 대인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계수산출과 상관분석을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조절회귀분석(MMR)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때, 대인관계와 감각추구의 변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정적(+)영향을 주었다.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때, 대인관계와 감각 추구는 각각 상호작용을 하여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숙희(2002). 인터넷과 수업. 제1판 서울: 교육과학사. 

  2. 김미영(2003).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3. 김정순(2008). 청소년ADHD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4. 남궁일(2007).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가정?학교적응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5. 배숙진(1999). 청소년에게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개념, 학교적응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6. 백현기(2008). 학교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현상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6권 제3호, pp. 93-107. 

  7. 부성인(2006). 인터넷 게임 이용 수준 및 게임 이용 동기, 감각추구 성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8. 안재영(2008).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 인터넷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대인관계기술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9. 여정숙?이수연(2007). 인터넷 중독 개입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7-48. 

  10. 이숙진(2007).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11. 이지향(2005). 인터넷 환경변인과 중재변인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2. 우정연(2007).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문제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13. 장우민(2003).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학교적응 및 인터넷중독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14.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5). 인터넷 중독상담 성과 측정 연구. 연구보고. pp. 1-90. 

  15. 한국인터넷진흥원?정보통신부(2007). 2007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16. Allport, G (1935). Pattern & growth in personality,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7.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18. Brenner, V.(1997). Psycholgy of Computer Use.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tion, Psychological Reports, 80, 879-82. 

  19. Goldberg(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 

  20. Griffith, M. (1997). Does internet and computer addiction exist? some case evidence. Paper presented at the 105th APA annual convention, Chicago. 

  21. Kopp, C. B. (1982). The adolesc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22. Suler, J.(1996). Computer and cyberspace addiction. 

  23. Young, J. H. (1998). Internet addiction and its relation to depression, impulsiveness,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social relationship (social discomfor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The Korea University of Korea, Seoul. 

  24. Davis, R. A. (2001). A cognitive-behaviora 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2), 187-195. 

  25. Zuckerman, M. (1979). Sensation seeking. In H. London & J. Exner (Eds.), Dimension of personality. New York: Wiley.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