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3 no.1, 2020년, pp.103 - 112  

이영창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김남희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  권성진 (동의대학교 동의지천교양대학 외국어교양학부) ,  김보성 (동의대학교 동의지천교양대학 철학인문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은 단순히 생활필수품을 넘어 현대인들이 과도하게 몰입하게 되는 대상이 되었다. 이로 인해 현대인들의 다수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노출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 중독 현상은 대상물 자체의 문제를 넘어 이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 척도, 성인 애착 척도, 내현적 자기애의 척도를 각각 사용하여, 스마트폰 중독, 성인 애착 및 내현적 자기애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인 애착정도와 내현적 자기애 정도를 독립 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과민/취약성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phones, now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have become more than just an appliance, but an object of obsession for many. This has resulted in smartphone addiction in many modern people. However, the phenomenon of object addiction can lie beyond the problem of the object itself, varying accord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초기 사회적 관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는 두 변인의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두 변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설명한 연구는 드문 것이 사실이다(Lee, Kim, Kwon & Kim,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인 성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서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영향을 동시에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 및 회피적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의관계를 살펴보고, 애착유형과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 특히, 스마트폰 중독이 특정한 시기 혹은 상황적 요인보다는 아동부터 성인까지 점진적으로 자라나는 특성일 수 있어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을 이해하기위해 내부적 특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을 한정하고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중독을 매개할 수 있는 다양한 내 외부 요인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rennan, K. A., Clark, L.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ed interview, In F.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 (pp. 46-76), New York: Guilford Press. 

  2. Choi, S. W. & Kim, S. H. (2015). Influence of adolescent to parents on addiction to smart phone: mediation effect brought in by self-esteem.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2(3), 365-383. DOI: 10.16983/kjsp.2015.12.3.365 

  3. Choi, Y. Y. & Seo, Y. S.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on effect of impulsivenes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3), 749-772. 

  4. Flores, P. (2004).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Lanham: Jason Aronson Inc. 

  5. Gallup. (2018). 2012-2018 smartphone usage, Available from Gallup Korea Daily Opinion Database (Gallup Report No. 943). 

  6. Gang, S. H. & Chung, N. W.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4(4), 969-990. 

  7. Hwang, K. O.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yle,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 

  8. Ihm, J. (2018). Social implications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The role of support networks and social engagement.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7(2), 473-481. 

  9. Jang, H. J. & Chae, K. M. (2006)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technological addiction(cellular 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4), 839-852. 

  10. Je, H. C. & Kim, J. G. (2014).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internet addiction: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4(2), 477-489. 

  11. Jeong, B. W. & Hong, H. Y. (2015).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marital empathy and marital satisfaction as mediato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1), 183-201. 

  12. Kang, D., Kim, B., Kim, D., Seo, J., Ahn, J., Lee, B., & Lee, J. (2017).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In Proceedings of 2017 Spring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32. 

  13. Kemberg, O. F. (1975).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Jason Aronson. 

  14. Kim, B. (2016). Differenc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ue to adult attachment styl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3), 1611-1619. 

  15. Kim, B. (2017).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level on regulation ability of learning motivat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hysiological & Anthropological Sciences, 1(2), 25-29. DOI: 10.26469/JPAS.2017.1.2.25 

  16. Kim, H. J. & Kim, E.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and college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7(2), 157-179. DOI: 10.15703/kjc.17.2.201604.157 

  17. Kim, H. J. & Lee, E. (2018). The rol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between adolescents' insecure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0), 651-659. DOI: 10.21742/AJMAHS.2018.10.02. 

  18. Kim, J. U. & Gawk, T. E. (2016).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0), 1055-1076. 

  19. Kim, K, H., Byun, S. Y., & Im, S. (2016).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7(1), 131-154. DOI: 10.16881/jss.2016.01.27.1.131 

  20. Kim, S. S., Lee, Y. S., & Kang, J. (2017).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NS addiction.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0(2), 33-44. DOI: 10.14695/KJSOS.2017.20.2.33 

  21.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22. Konok, V., Gigler, D., Bereczky, B. M., & Miklosi, A. (2016). Humans' attachment to their mobile phones and its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attachment sty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1, 537-547. 

  23.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9), 3528-3552. 

  24. Lee, H. D. & Hong, H. Y. (2011).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internet add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 Mediation effects of lonelines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0), 271-294. 

  25. Lee, J. E., Cho, I. & Kim, E. Y.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insecure attachm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 229-237. DOI: 10.14400/JDC.2019.17.1.129 

  26. Lee, K. J. & Chung, N. W. (2007).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on excessive internet us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1), 55-69. 

  27. Lee, Y. J., Lee, S., Lee, A. R., Bahn, G. H., Choi, T. Y., Kim, J. Y., Kim. J. H., Park, E. J., Park, J. S., Bahng, S. Y., Lee, M. S., Lee, S. H., & Choi, S. (2015). Attitudes of psychiatrists towards smartphone usa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4(4), 556-563. 

  28. Lee, Y., Kwan, Y., & Chae, G. (2019). The effects of parental-attachment on smart phone addic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Forum For Youth Culture, 59, 55-79. DOI: 10.17854/ffyc.2019.07.59.55 

  29. Lee, Y. C., Kim, N. H., Kwon, S. J., & Kim, B. (2019). The Effects of the adult attachment and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Proceedings of 2019 ICEASS(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and Social Sciences), 371-372. 

  30. Mannion, K. (2018). The effect of smartphones on anxiety: An attachment issue or fear of missing out?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s://scholarship.shu.edu/dissertations/2521 

  31. Min, Y. K., Cho, W. H., Kim, J. H., Kim, J. H., & Kim, B. (2011). Differences in the sensitivity of information with the use of smart-pho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2), 787-794. 

  32. Min, Y. K., Han, S. I., Lee, N., Kim, J. H., & Kim, B. (2011).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self-efficacy differences of college students in adult attachment styl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1), 163-171. 

  33. Nadeem, M. (2019). The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elf-Control, Impulsivity and Narcissism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hdl.handle.net/123456789/2297 

  34. Park, J. H. & Jeon, J. (2013).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smart phone addiction and spiritual well-being in christian adolescences. Faith & Scholaship, 18(4), 141-164. 

  35. Zapf, J. L. Greiner, J., & Carroll, J. (2008). Attachment styles and male sex addiction. Sexual Addiction and Compulsivity, 1(52), 158-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