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성비에 의한 경주남산지역 석조문화재의 손상 임상연구
Modeling Study on Deterioration of Stone Monuments in the Gyeongju Namsan Mountain by Acid Rain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2 no.1 = no.59, 2009년, pp.35 - 47  

도진영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 ,  최기주 (강원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남산화강암과 보수물질인 시멘트몰탈에 다양한 산성도를 지닌 인공강우을 적용한 후 변화되는 양상을 통해 경주지역 석조문화재의 산성비에 의한 손상을 예측하였다. 2005년 경주지역 강우의 산성도가 pH $4.93{\sim}6.39$로 측정되어, 이를 토대로 pH 4.0, pH 5.6, pH 8.0의 인공강우를 제작하여 시편에 적용하였으며, 인공풍화시험을 병행하여 시험을 가속화하였다. 경주남산화강암과 반응한 pH 5.6와 pH 8.0 강우는 중성으로 변화하였으며, 강우적용 시험 후 시편의 무게는 감소하였다. 경주남산화강암의 수용성 이온성분이 인공강우 적용 후 시험전에 비해 높게 검출되었으며, 이는 구성광물의 용해에서 주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강우에 의해 이탈된 광물성분은 주로 석영, 정장석사장석으로 산성비에 의해 바탕의 석기부위가 용해되고, 이로 인해 광물입자들이 이탈하는 것으로 보인다. 석조문화재 보수물질인 시멘트몰탈은 산성비뿐만 아니라 알칼리성 강우에 의해서도 수용성 이온성분으로 용해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teriorations of stone monuments located in Gyeongju area are predicted in a modeling study. Artificial rain and accelerated weathering test are here applied to the Gyeongju Namsan granite and cement mortar. They are reacted with pH 4.0, pH 8.0 and pH 5.6 rain, respectively. The two former va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경주지역 강우의 산성도를 측정하여 이와 동일한 산성도를 띄는 인공비를 제작하고, 경주지역 석조문화재에 주로 이용된 경주남산화강암에 적용하는 임상연구를 통하여, 산성비에 의해 발생되는 경주지역 석조 문화재의 손상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며 그 손상메커니즘을 도출하고자 한다.
  • 산성비가 석조문화재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주지역 강우의 산성도와 함유이온성분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성도의 강우를 제작하여, 경주지역 석조문화재 대표적인 구성 화강암인 경주남산화강암(알칼리장석화강암)에 적용하고, 경주지역 온습도변화를 적용한 인공풍화시험을 거쳐 그 풍화형태를 관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경주지역 석조문화재의 보수에 대량으로 사용되었던 시멘트몰탈이 산성비에 의해 손상되는 양상과 암석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시멘트몰탈을 시료로 제작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석조문화재 보존연구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석조문화재의 손상은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및 기계적 원인 등에 의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발생된다(김수진, 2003). 손상이 상당히 진행된 석조문화재의 진단 및 과학적, 기술적 조치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보존연구는 석조문화재 자체의 손상상태와 손상된 부위를 수리 복원하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이상헌, 2006; 이정은 외, 2006). 그러나 손상이 일어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함께 연구하여그 문제점을 차단하지 않는 현재와 같은 보존연구는 부분적이고, 단기적이어서 반복적인 손상을 불러일으키는 결과를 보인다(도진영, 2006).
석조문화재의 손상은 어떤 것에 의해 발생하는가? 석조문화재의 손상은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및 기계적 원인 등에 의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발생된다(김수진, 2003). 손상이 상당히 진행된 석조문화재의 진단 및 과학적, 기술적 조치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보존연구는 석조문화재 자체의 손상상태와 손상된 부위를 수리 복원하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이상헌, 2006; 이정은 외, 2006).
석조문화재 자체의 손상상태와 손상된 부위를 수리 복원하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현재 보존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손상이 상당히 진행된 석조문화재의 진단 및 과학적, 기술적 조치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보존연구는 석조문화재 자체의 손상상태와 손상된 부위를 수리 복원하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이상헌, 2006; 이정은 외, 2006). 그러나 손상이 일어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함께 연구하여그 문제점을 차단하지 않는 현재와 같은 보존연구는 부분적이고, 단기적이어서 반복적인 손상을 불러일으키는 결과를 보인다(도진영,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수진 (2003) 옥외 석조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사이트 환경 관리의 중요성.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18회학술대회논문집, 17-23 

  2. 도진영 (2005a) 분황사석탑 구성 화강암의 훼손현상. 보존과학회지. 17(1), 73-82 

  3. 도진영 (2005b) 서악리삼층석탑에 형성된 표면오염물질의 특징과 그 제거방안연구. 경주문화연구 제7집, 47-64 

  4. 도진영 (2006) 석조문화재의 손상에 미치는 보수처리제의 영향. 경주문화연구 제8집, 29-44 

  5. 이상헌 (2006) 나주동문외석당간 구성암석의 암석학적 특징과 훼손양상. 보존과학회지, 19(1), 57-66 

  6. 이정은, 이찬희, 이명성 (2006) 경주 분황사석탑의 풍화훼손도 평가와 보존과학적 진단. 보존과학회지, 19(1), 19-32 

  7. 정종현, 정민호, 손병현 (2008) 경주지역 석조문화재 풍화훼손 특성. 신라문화, 제30집, 243-272 

  8. Coote, A., Lewry, A., and Yates, T. (1989) Acid Deposition and Building Materials, In: Acid Deposition, JWS.Longhurst, Hrsg.(eds), 265-286 

  9. Grossi, G.M., Murrary M., and Butlin, R.N. (1995) Response of porous building stone to acid deposition.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85, 2713-2718 

  10. Haneef, S., Dickinson, C., and Johnson, J. (1992) Simulation of the Degradation of coupled Stones by Artificial acid Rain. Studies in Conservation, 37, 105-112 

  11. Kim, K.Y., Do, J.Y, Kim, Y.J., Youn., M., and Ryu., J (2008) Measurement of Submicron Aerosols in the Urban Area of Seoul and in the National Park Area of Gyeongju Using PIXE Analysis. Journal of Korean Physical Society, 52(3), 896-903 

  12. Kim, S.J., Chang, S.J., and Lee, S.J. (2000) Silicate mineral-water reactions and their environmental implications. Proceeding of the 9th International Congress on Applied Mineralogy, Vol. 2, Balkema, 583-586 

  13. Nord, A.G. and Tronner, K. (1995) Effect of acid rain on sandstone: The royal palace and the riddarholm church, stockholm.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85, 

  14. Smith, B., Magee, R., and Whalley, W. (1993) Weathering of granite in a polluted environment,: Budapest. In: VICENTE-HERNANDEZ A, MOLINO BALLESTEROS E AND RIVES-ARNAU V (eds), Alteration of Granites and Similar Rocks used a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