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산염질 암석으로 구성된 석조문화재의 산성비에 의한 손상 연구
Study on Deterioration of Stone Monuments Constructed with Carbonate Rock by Acid Rain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6 no.4, 2013년, pp.273 - 283  

도진영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산염질 암석으로 건조된 석조문화재의 산성비에 따른 손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백운암질 대리암 시편에 pH 4.0, pH 5.6 및 pH 6.85 인공강우와 인공풍화시험을 적용하였다. 모든 산성도의 강우는 대리암과 반응 후 중성부근으로 변화하였다. 대리암과 반응한 후 모든 산성도의 강우에서 $Ca^{2+}$$Mg^{2+}$의 함량이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탈이온수에서의 이온함량도 산성수에서와 유사하다. pH 4.0 강우와 반응한 대리암 시편의 무게가 시험 매회 $0.00037kg/m^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한계산성비 pH 5.6에 비해 약 1.4배, 중성강우에 비해 약 3.1배, 그리고 인공풍화시험만 거친 시편에 비해서는 3.7배 큰 값이다. 일축압축강도는 pH 4.0 강우에서 시험 매회 $0.2468kg/m^2$가 감소되며 강우에 접하지 않았을 때보다 2배 크다. pH 5.6과 pH 6.85 강우에서는 강도감소율이 각각 0.1791, $0.1280kg/m^2$로 도출되어 강우의 산성도가 강할수록 대리암의 강도는 약화됨이 예측되었다. 강우에 의해 대리암으로부터 이탈된 광물은 백운석과 소량의 방해석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rtificial rain (pH 4.0, pH 5.6 and pH 6.85) and weathering simulation test are applied in dolomitic marble for the prediction of deterioration of the stone monuments constructed with carbonate rock by acid rain. pH of the applied rain all increase to about neutral pH after reaction of marbl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탄산염질 암석으로 건조되어 야외에 위치하는 석조문화재가 현재와 같은 산성 강우 조건 하에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위에서 실시한 규산염질 암석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대리암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경주지역 강우의 산성도를 지닌 강우, 청정한 강우, 그리고 산성 강우를 세립질의 회백색 대리암 시편에 적용한 후 온습도변화를 이용한 인공풍화시험을 수행하여 손상을 가속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성비라고 칭해지는 것의 범위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대두된 중요한 문제점 중 하나가 산성비(acid rain)이다. 일반적으로 산성비라고 통칭되고 있으나 산성비는 비의 형태뿐만 아니라 눈, 안개 등 여러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산성비의 피해는 여러 분야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그 특성상 야외에 위치한 것이 주 피해 대상이다.
우리나라에서 산성비에 대한 석조문화재의 피해에 대한 관심이 덜했던 이유는? 최근에 환경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산성비에 의한 석조문화재의 피해 추정 등에 의하여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석조문화재는 주로 탑, 불상 등의 불교문화재로 야외에 위치하고 있으나 화강암 등의 규산염질 암석이 주 구성석재이기 때문에 탄산염질 암석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성비에 덜 취약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리고 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업화 기간이 짧으며, 더욱 야외에 위치한 석조문화재들이 주로 주변 대기환경이 양호한 비도심지역에 분포하기 때문에 이러한 의문이 제기되기 전까지는 석조문화재의 손상을 굳이 산성비와 연관 짓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산성비가 서구에서 주목받은 이유는? , 1992). 서구의 석조물 유산은 건축물과 그 부속물들로서 이들은 대부분 석회암이나 대리암 등 산성비에 취약한 탄산염질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200년이 넘는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된 산성비와의 오랜 반응에 의해 심각한 손상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utlin, R.N., Yates, T.J.S., Murray, M., and Ashall, G. (1995) The United Kingdom national materials exposure programme.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85, 2655-2660. 

  2. Coote, A., Lewry, A., and Yates, T. (1989) Acid deposition and building materials, In: Acid Deposition, JWS. Longhurst, Hrsg. (eds), 265-286.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2001) Stud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one monument 2001, 1, 463-482 (in Korean).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2002) Stud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one monument 2002, 1, 71-72 (in Korean).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2003) Stud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one monument 2003, 1, 123-124 (in Korean).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2004) Stud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one monument 2004, 1, 33-34 (in Korean).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2005) Stud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one monument 2005, 1, 39-40 (in Korean). 

  8. Do. J.Y., Choi, G.J., and Cho, H.G. (2009) Modeling study on deterioration of stone monuments in the Gyeongju Namsan mountain by acid rain.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2, 35-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Do. J.Y. and Cho, H.G. (2010) Modeling study on deterioration of stone monuments constructed with silicate rock by acid rain.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3, 63-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aneef, S., Dickinson, C., and Johnson, J. (1992) Simulation of the degradation of coupled stones by artificial acid rain. Studies in Conservation, 37, 105-112. 

  11. Jung, J.H., Shon, B.H., and Jung, M.H. (2008) Deterioration and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ju and surroundings. The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30, 243-2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J. (2007) A study on estimation strength of stone construction cultural heritage by non-destructive test.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80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S.I. (2000) Study on quality of atmospheric environment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ju area I. Journal of Seorabul College, 18, 327-3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I. (2002) Estimation for the reduction of atmospheric deposition of air acid pollutions in Silla culture region. Proceeding of the 34th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79-80 (in Korean). 

  15. Leysen, L., Roekens, R., and van Grieken, R. (1989) Air-Pollution-Induced chemical decay of a sandylimestone cathedral in Belgium.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8, 263-287. 

  16.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9)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08, 399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Roekens, E. and van Grieken, R. (1989) Rates of air pollution induced surface recession and material loss for a cathedral in Belgium. Atmospheric Environment, 23, 271-277. 

  18. Tablebook Chemistry (1973) 6, VEB Deutscher Verlag fur Grundstoffindustrie. 

  19. Vleugels, G.J. and van Grieken R.E. (1994) Weathering of treated and untreated limestones in atmospheric exposures. APT Bulletin, 23, 48-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