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정량X선회절분석법을 이용한 황해 남동부, 한국남해 및 제주도 남단 표층퇴적물의 광물분포 연구
Mineral Distribution of the Southeastern Yellow Sea and South Sea of Korea using Quantitative XRD Analysis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2 no.1 = no.59, 2009년, pp.49 - 61  

문동혁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이희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방제연구부) ,  신경훈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 ,  도진영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0년과 2007년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채취한 황해남동부, 한국남해 및 제주도 남단 해역의 표층 퇴적물 시료 131정점에 대하여 정량X선 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광물조성을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각광물의 분포도를 작성하여, 연구 해역 퇴적물의 근원지를 추정하였다. 연구지역 표층퇴적물은 조암광물(석영 37.4%, 사장석 11.7 %, 알카리장석 5.5%, 각섬석 3.1%), 점토광물(일라이트 19.2%, 녹니석 4.7%, 카올리나이트 1.8%) 및 탄산염광물(방해석 10.7%, 아라고나이트 3.4%)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의 분포는 세립질 퇴적물의 분포 양상과 거의 비슷한데, 특히 흑산니질대(HSMD: Hucksan Mudbelt Deposit), 한국남해니질대(SSKMD: South Sea of Korea Mudbelt Deposit) 그리고 제주니질대(JJMD: Jeju Mudbelt Deposit)의 분포 양상과 대부분 일치한다. 지난 최후 빙기의 잔류퇴적물로 생각되는 연구지역 내 조립질 퇴적물은 조암광물을 많이 포함하며, 그 상부에 퇴적된 세립질 퇴적물은 점토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연구해역의 점토광물 조성과 주요해류의 흐름 및 지리적인 요소를 고려하면 흑산니 질대와 한국남해니질대는 주로 한반도 기원의 세립질 퇴적물이 퇴적된 것으로 추정되며, 제주니질대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원양의 부유퇴적물이 복합적으로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mineral composition and mineral distribution pattern of 131 surface sediments collected at the cruise in 2000 and 2007 from Southeastern Yellow Sea, South Sea of Korea and Southern part of Jeju Island. Mineral compositions of surface sediments were determined using the quantitative X-...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황해 남동부와 한국남해 및 제주도 남단 해역의 표층 퇴적물을 구성하는 광물의 종류와 양을 정확히 알아낸 후, 이를 이용하여 특히 점토광물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 연구해역에 분포하는 세립질 퇴적물의 근원지 해석에의 적용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해의 특징은? 황해는 중국대륙 양자강과 제주도를 연결하는 선상의 북측 지역으로 평균수심이 약 44 m인 천해의 대륙붕이며, 동중국해는 중국의 양자강-제주도-일본구주 및 류구열도-대만을 연결하는 선 안쪽의 광범위한 해역으로 대륙붕, 오끼나와곡분, 대륙사면, 류구해구 등 독특한 해저지형을 이루고 있다(Saito, 1998b). 이와 같이 구분되는 황해 및 동중국해는 중국의 강들과 한반도에서 흘러나오는 강들, 즉 압록강, 대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 등을 통해 막대한 양의 육상기원 퇴적물이 유입되어 집적되고 있으며(Milliman and Meade, 1983; Schubel et al.
X선 회절분석 자료는 어디에 효과적인가? 해양퇴적물을 비롯한 지구 물질 내에 존재하는 광물의 종류를 감정하고, 그 조성을 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점토입자로 분리될 정도로 입자가 작은 광물들을 식별하는 데는 X선 회절분석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정확한 방법으로 여겨진다(문희수, 1996). 기존에 이루어진 한반도 주변해역의 점토광물과 관련한 연구들은 해저퇴적물 내 점토광물의 함량을 결정할 때, 각 점토광물의 대표적인 피크의 면적비를 이용하는 방법(Biscaye, 1965)을 이용하였다.
황해 및 동중국해의 지난 10년간 연간퇴적율은? 이와 같이 구분되는 황해 및 동중국해는 중국의 강들과 한반도에서 흘러나오는 강들, 즉 압록강, 대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 등을 통해 막대한 양의 육상기원 퇴적물이 유입되어 집적되고 있으며(Milliman and Meade, 1983; Schubel et al., 1984), 지난 100년간의 연간퇴적율(sediment accumulation rate)은 평균 1∼5mm에 달하는 곳도 있다(Lim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승우, 민권홍, 조규창, 김철민, 박관순, 김원식, 신원철 (1980) 연근해저 해양지질조사 및 물리탐사 연구 (제주∼청산도해역). 자원개발연구보고, 15-33 

  2. 문동혁, 김순오, 이희일, 신동혁, 신경훈, 조현구 (2007) 황해 표층퇴적물의 X선 광물정량분석; 2001년 황해 2차 탐사 시료, 한국광물학회지, 20(3), 203-212 

  3. 문동혁, 이희일, 신동혁, 신경훈, 조현구 (2008) 황해 표층퇴적물의 점토광물 분포; 절대광물조성과 상대 광물조성. 한국광물학회지, 21(3), 289-295 

  4. 문희수 (1996) X선 회절분석을 이용한 점토광물의 식별. 점토광물학, 제4장. 민음사. 85-145 

  5. 윤정수 (1986) Socotra암초의 지질 및 주변해역 퇴적물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지, 22(2), 123-134 

  6. 윤정수, 강순석 (1991) 제주해협 표층퇴적물의 특성 -특히 점토광물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12(3), 175-195 

  7. 윤정수, 임동일, 변종수, 정회수 (2005) 87Sr/86Sr 비를 이용한 동중국해 대륙붕 퇴적물의 기원 연구. 한국 해양학회지 바다, 10, 92-99 

  8. 최동림, 이태희, 유해수, 임동일, 허식, 김광희 (2005) 동중국해 북부대륙붕에 발달한 니질 퇴적체의 탄성파 연구. 자원환경지질, 38, 633-642 

  9. Aoki, S., Oinuma, K., and Sudo, T. (1974) the distribution of clay minerals in the recent sediments of the japan Sea. Deep-Sea Res., 21, 299-310 

  10. Biscaye, P.E. (1965) Mineralogy and sedimentation of clay minerals in recent deep-sea clay in the Atlantic Ocean and adjacent seas and oceans. Geol. Soc. 

  11. Chough, S.K. (1985) Further evidence of fine-grained sediment dispersal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Sediment Geol., 41, 159-172 

  12. DeMster, D.J., Mckee, B.A., Nittrourer, C.A., Qian, J.C., and Chen, G.D. (1985) Rates of sediment accumulation and particle reworking based on radiochemical 

  13. Keller, G.H. and Yincan, Y. (1985) Geotechnical properties of surface and near-surface deposits on the East China Sea. Con. Shelf Res., 4, 159-174 

  14. Khim, B.K. (1988) Sedimentological study of the muddy deposition in the Yellow Sea, Master of science in Seoul Nat. Univ., 1-106 (unpublished) 

  15. Lee, H.J. and Chough, S.K. (1989) Sediment distribution, dispersal and budget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87, 195-205 

  16. Lim, D.I., Choi, J.Y., Jang, H.S., Rho, K.C., and Ahn, K.S. (2007) Recent sediment accumulation and origin of shelf mud deposit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s. Progress in Oceanography, 73, 145-159 

  17. Milliman, J.D. and Meade, R.H. (1983) World-wide delivery of river sediment to the oceans. The Journal of Geology, 91, 1-21 

  18. Milliman, J.D., Beardsely, R.C., Yang, Z.S., and Limeburner, R. (1985) Modern Huanghe-derived muds on the outer shelf of the East China Sea: identification 

  19. Milliman, J.D., Li, F., Zhao, Y.Y., Zheng, T.M., and Limebruner, R. (1986) Suspended matter regime in the Yellow Sea, Prog. Oceanoger, 17, 215-227 

  20. Niino, H. and Emery, K.O. (1961) Sediments of the shallow portions of East China Sea and South China Sea. Geol. Soc. Am. Bull., 4, 731-762 

  21. Nittrouer, C.A. DeMaster, D.J., and Mckee, B.A. (1984) Fine-scale stratigraphy in proximal and distal deposits of sediment dispersal system in the Esat China Sea. Mar. Geol., 61, 13-24 

  22. Oh, I.S. and Park, T. (2004) A numerical study on the dispersion of the Yangtze River water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J. Korean Soc. Oceanogr., 39, 

  23. Park, Y.A., Kim, S.C., and Choi, J.Y. (1986) The distribution and transportation of fine-grained sediments on the inner continental shelf off the Kuem River estuary, Kor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5, 499-519 

  24. Rietveld, H.M. (1969) A profile refinement method for Nuclear and Magnetic structure. Journal of Applied Crystallography, 2, 65-71 

  25. Saito, Y. (1998a) Sea level changes since the Last Glacial in the East China Sea. Quat. Res., 37, 235-242 

  26. Saito, Y. (1998b) Sedimentary environment and budget in the East China Sea. Bulletin on Coastal Oceano--graphy, 36, 43-58 (in Japanese) 

  27. Schubel, J.R., Shen, H.T., and Park, M.J. (1984) A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 sedimentation processes of estuaries entering the Yellow Sea. In: 

  28. Park, Y.A., Pilkey, O.H., Kim, S.W. (Eds.), Marine Geology and Physical Processes of the Yellow Sea, 286-308 

  29. Sternberg, R.W., Largen, L.H., and Miao, Y.T. (1985) Tidally driven sediment transport on the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 Cont> Shelf Res., 4, 105-120 

  30. Taylor, J.C. (1991) Computer program for standardless quantitative analysis of minerals using the full powder diffraction profile. Powder Diffraction, 6, 2-9 

  31. Wang, C.S. (1961) Sand-fraction study of the shelf sediment off China Coast. Geol. Soc. China Pro., 4, 33-49 

  32. Wells, J.T. and Huh, O.K. (1984) Fall-season patterns of turbidity and Sediment transport in the Korea Strait and southeastern Yellow Sea. In Ichiye, T., (ed), Ocean Hydrodynamics of the Japan and East China Sea, Elsevier, Amsterdam., 387-397 

  33. Yang, S.Y., Jung, H.S., Lim, D.I., and Li, C.X. (2003) A review on the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ediments in the Yellow Sea. Earth Science Reviews, 63, 93-120 

  34. Yang, Z. and Milliman, J.D. (1983) Fine-grained sediment sources of East China Sea. Sedimentation on the continental shelf, China Ocean Press, Beijing, 405-415 

  35. Yi, H.I., Chun, J.H., Shin, I.C., Shin, D.H., and Jou, H.T. (2004) The Record of Origin and Transport of Sediment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e Yellow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9, 96-106 

  36. Yoo, D.G., Lee, C.W., Kim, S.P., Jin, J.H., Kim, J.K., and Han, H.C. (2002) Late Quaternary transgressive and highstand systems tracts in the northern Eas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