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高麗時代) 주류음식문화(酒類飮食文化) - $12{\\sim}14$세기(世紀) 시문명(詩文銘)과 관서명(官署銘) 청자중심(靑磁中心)으로 -
Alcohol Beverages and Food Culture in the Late Koryo Dynasty: - Focused on Celadon inscribed with Poetry and Government Office Name in the 12th-14th Centuries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2, 2009년, pp.117 - 125  

고경희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mport routes of distilled rice liquor soju and how soju developed among the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es using celadon inscribed with poetry related to alcohol beverages in the 12th century, Maebyeong style vases inscribed with government office name in charg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려왕실의 음식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내장택(內莊宅), 상식국(尙食局), 사온서(司膳署), 선관서(膳官署), 요물고(料物庫), 사온서(司 署), 내원서(內園署)가 있다(Han & Chung 2003). 본고에서는 왕실의 주례와 관련하여 술을 저장하던 14세기 관서명 청자매병 실물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고려시대에 증류주인 소주가 고려후기에 유입되면서 곡주 위주의 탁주, 청주, 소주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소주 유입경로와 왕실과 상류층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술과 관련된 시문명청자와 왕실의 주례를 담당하던 관서명 매병을 통하여 고려시대의 주류음식문화 수준을 문헌자료와 실물자료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증류주인 소주는 고려후기 아라비아 상인을 통한 인도·서남만사회의 증류주가 원을 통하여 직·간접경로로 14세기 경 고려시대 충숙왕과 충혜왕 시대에 증류주가 유입되어 기존 탁주·청주 문화와 함께 증류주인 소주가 추가되어 주류의 완성시기로 나타났다.
  • 음식문화 연구학술자료는 직접 자료인 실물자료에 있는 문자기록이 가장 우선하나 고려시대의 실물자료 자체가 빈약하며 남아있는 문자기록도 열악하고 음식이 역사적 실물자료로 남아있지 않다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으나 본 연구는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증류주 유입경로와 왕실과 상류층 문화의 시대적 대변인 역할을 하는 술과 관련된 청자의 직접적 실물자료인 12세기 식탁용 시문명 주자와 14세기 저장용 관서명 청자 매병이라는 그릇을 중심으로 고려시대 주류음식 문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 때 왕이 마시는 청주를 무엇이라 했는가? <고려에서는 찹쌀이 없어서 멥쌀에 누룩을 섞어서 술을 만드는데, 빛깔이 짙고 맛이 진해 쉽게 취하고 빨리 깬다. 왕이 마시는 것을 양온(良醞)이라고 하는데 좌고(左庫)에 보관하는 맑은 청주이다. 여기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질그릇 술독(瓦尊)에 담아서 황색비단(黃絹)으로 봉해둔다.
고려시대에 대외교류와 증류주 제조기술의 유입으로 어떤 종류의 주류가 공존했는가? 삼국시대에 술이 어떻게 빚어졌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제조기술은 상당히 발전하였고1)(김 2001), 통일신라시대에는 이미 청주음용이 상류사회에서 성행하였다2)(강 1989). 특히 고려시대는 역사상 가장 풍부한 사상과 문화 발전시기로 송, 원, 거란 등과 대외교류를 통하여 술의 종류도 다양하고 증류주 제조기술의 유입으로 탁주, 청주, 소주의 세 종류의 주류가 공존하기 시작한 시기이다(장 1996).
양온은 어디에 보관하는 청주인가? <고려에서는 찹쌀이 없어서 멥쌀에 누룩을 섞어서 술을 만드는데, 빛깔이 짙고 맛이 진해 쉽게 취하고 빨리 깬다. 왕이 마시는 것을 양온(良醞)이라고 하는데 좌고(左庫)에 보관하는 맑은 청주이다. 여기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질그릇 술독(瓦尊)에 담아서 황색비단(黃絹)으로 봉해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인희. 1989.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pp 143-156 

  2. 고유섭 저. 진홍섭 편역 1977. '고려청자' 삼성문화재단, pp 59-69 

  3. 김부식 지음, 이병도 역주. 2001.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pp 293, pp 350 

  4. 박종진. 2000. 조세제도의 변화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 서울대학교출판부, pp 183-241 

  5. 서긍 저/조동원 김대식 이경록 이상국 이상국 홍기표 공역. 2005. '고려도경' 황소자리, pp 328, 386 

  6. 윤용이. 1966. '아름다운 우리도자' 학고재, pp 57-73 

  7. 이광규. 1973. '레비트로스' 현대신서 51, p 68 

  8. 이규경. 1959. '오주연문장전산고' 동국문화사, pp 137-136 

  9. 이색. 1973. '목은집' 대양서적, pp 24-37 

  10. 이수광. 김만성 역. 1975 '지봉유설' 을지문화사 pp 434-439 

  11. 이성우. 2004. '한국식생활의 역사' 수학사, p 25 

  12. 장지현. 1996. '한국외래주유입사연구' 수학사, pp 10-100 

  13. 최남선. 1947. '조선상식' 동명사, pp 445-462 

  14. 허균. 2003. '뜻으로 풀어본 옛 그림' 대한교과서, pp 83-87 

  15. 허만즈, 김하림, 한종환 옮김, 2004. '중국의 술문화' 에디터, pp 59-62 

  16. Bang BS. 2001. A study on the Koryo celadon excavated in Kaesung. The Art History Journal Vol. 20:201-227 

  17. Chung YK, Hong JS. 2008. Cultural discussion for food-cul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in historical transition of tableware. Korean J. Food Culture, 23(3):308-317 

  18. Chung YM. 1992.' 'Inscriptions in the Koryo Celadons'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pp. 143-159 

  19. Han BJ, Chung LA. 2003. A study of royal dietary culture in Koryo dynas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2):73-82 

  20. Kim MH, Chung HK.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tableware pottery and the food culture for genre painting in the 18th Chosun period. Korean J. Food Culture, 22(6):653-664 

  21. Kim YJ. 2004. Production time and characteristics of Maebyeong with inscription of government office in late Goryeo and early Jeseon period. 'Cultural history formed by our clay' Yongin University Museum. Gyeonggido. pp 146-163 

  22. Koh KH. 2003. A study on food culture of Chosun period appearing in Korean genre painting. Korean J. Food Culture, 18(3):211-225 

  23. Koh KH. 2003.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the festival for elderly persons' 60th birthday (Hoegap) and marriage anniversary (Hoehon) appearing in the 18th century painting of the Chosun period. Korean J. Food Culture, 18(6):536-543 

  24. Koh KH. 2005. A study on the late of Chosun dynasty food culture in Giroyeon paintings. Korean J. Food Culture, 20(2):144- 151 

  25. Lee EW, Yun YI, Lee JM. 2004. The types and uses of tableware China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Korean J. Food Culture, 19(5):477-483 

  26. Lee UJ. 2004. A literature review of the tea utensils in the Koryo dynasty and Chosun dynasty. Korean J. Food Culture, 19(4):378-391 

  27. Park YH. 2006. A study on the preference degree of a dangcho patter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tic.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14(6):88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