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아동식습관 설문지(Korean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K-CEBQ)의 타당화 예비연구
Pre-study of Validation of the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in Korean Children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3 no.1, 2009년, pp.127 - 140  

이민정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소아과) ,  장규태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소아과) ,  한윤정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소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this study, we obtained Korean version of CEBQ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and verify whether it is reliable or not. Methods Total 106 parents completed this questionnaire, and we gathered children's BMI data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MI and m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한국 아동의 식습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하여 CEBQ 한국어 번역판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원본 CEBQ와 비교하여 검증하기 위한 논문이다. 그리고 연령 및 성별, 체중, 식욕부진 증상과 식습관이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는 식욕부진으로 내원한 환아 40명, 다른 이유로 내원한 환아 28명, 건강강좌에 참석한 일반 소아 38명으로 총 106명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되어졌다.
  • 이 논문은 한국 아동의 식습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하여 CEBQ 한국어 번역판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원본 CEBQ와 비교하여 검증하기 위한 논문이다. 그리고 연령 및 성별, 체중, 식욕부진 증상과 식습관이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EBQ는 몇 가지 scale로 구성되었나 이 설문지는 저체중과 과체중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는 식습관의 개인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디자인되어졌다10). CEBQ는 다음 8가지 scale로 구성되어 있다. Food Responsiveness(FR)과 Enjoyment of Food(EF)는 모두 소아의 일반적인 음식에 대한 기호와 먹고 싶어하는 욕망을 나타낸다.
CEBQ란 어떤 설문지 인가? CEBQ는 소아의 식습관을 측정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다면적 설문지이다. 이 설문지는 저체중과 과체중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는 식습관의 개인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디자인되어졌다10).
아동기 동안, 아이들은 점차적으로 에너지 섭취를 효과적으로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을 잃어버리고, 그럼으로 인하여 더 많이 섭취하고 거기에 따라 과도한 체중을 얻게 된다고 본 이유는? 이러한 음식에 대한 식욕반응과 먹는 비율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아동들에서 확실하게 증가되어 있는것이 밝혀졌다2,10,11). Desire to Drink(DD)는 달콤한 음료를 마시고 싶어하는 욕구를 반영 한다2). BMI는 달콤한 음료의 빈번한 소비와 연관되어 있고 음료 소비가 줄어들었을 때 비만아동이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온 것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12-14). Satiety Responsiveness(SR)은 에너지 섭취를 조절하기 위해 식사 후에 음식 섭취를 줄이는 능력을 표현하는 것이다. 영아는 배고픔과 포만감에 높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었고, 반면에 나이가 들수록 이것에 대한 반응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기 동안, 아이들은 점차적으로 에너지 섭취를 효과적으로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을 잃어버리고, 그럼으로 인하여 더 많이 섭취하고 거기에 따라 과도한 체중을 얻게 된다10,11,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최은영, 장규태, 김장현. 모 한방병원 소아과 외래 환자의 주소증에 대한 연구(’01-’04년).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2):197-213. 

  2. Wardle J, Guthrie CA, Sanderson S, Rapoport L.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1 Oct;42(7):963-70. 

  3. Van Strien T, Frijters JER, Bergers GPA, Defares PB.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 for assessment of restrained, emotional, and externaleating behavior. Int J Eat Disord. 1986;5:295-315. 

  4. Van Strien T, Oosterveld. The Children's DEBQ for assessment of restrained, emotional, and external eating in 7-to 12-year-old children. Int J Eat Disord. 

  5. Archer LA, Rosenbaum PL, Streiner DL. The Children's Eating Behavior Inventory: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J Pediatr Psychol. 1991;16:629-42. 

  6. Babbit RL, Edlen-Nezein L, Manikam R, Summers J, Murphy CM. Assessment of eating and weight-related problems in children and special populations:measures, theory, and research. In Handbook of assessment 

  7. Viana V, Sinde S, Saxton JC.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associations with BMI in portuguese children. Brit J Nutr. 2008;100:445-50 

  8. Sleddens EF, Kremers SP, Thijs C. The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factorial validity and assciation with Body Mass Index in Dutch children aged 6-7.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2008 Oct 20;5:49. 

  9. 안효섭. 홍창의 소아과학 제8판. 서울:대한교과서(주). 2006:1309. 

  10. Carnell S, Wardle J. Measuring behavioural susceptibility to obesity: validation of the child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Appetite. 2007 Jan;48(1):104-13. 

  11. Carnell S, Wardle J. Appetite and adiposity in children: evidence for a behavioral susceptibility theory of obesity. Am J Clin Nutr. 2008 Jul;88(1):22-9. 

  12. Utter J, Scragg R, Schaaf D, Fitzgerald E, Wilson N. Correlates of body mass index amo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New Zealand children. Int J Pediatr Obes. 2007;2(2):104-13. 

  13. Ludwig DS, Peterson KE, Gortmaker SL. Relation between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drinks and childhood obesity: a prospective, observational 

  14. James J, Thomas P, Cavan D, Kerr D.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by reducing consumption of carbonated drinks: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04 May 22;328(7450):1237. 

  15. Cecil JE, Palmer CAN, Wrieden W, Murrie I, Bolton-Smith C, Watt P, Wallis DJ, Hetherington MM. Energy intakes of children after preloads:adjustment, not compensation. Am J Clin Nutr. 2005;82:302-8. 

  16. Dovey TM, Staples PA, Gibson EL, Halford JCG. Food neophobia and 'picky/fussy' eating in children. arivew. Appetite. 2008;50:181-193. 

  17. Carruth BR, Skinner J, Houck K, Moran J, Coletta F, Ott D. The phenomenon of 'picky eater' : a behavioral marker in eating patterns of toddlers. J Am Coll Nutr. 1998;17:180-6. 

  18. Reau NR, Senturia YD, Lebailly SA, Christoffel KK. Infant and toddler feeding patterns and problems: normative data and a new direction. Pediatric Practice 

  19. Rydell AM, Dahl M, Sundelin C: Characteritics of school children who are choosy eaters. J Genet Psychol. 1995;156:217-29. 

  20. Carruth BR, Skinner JD. Revisiting the Picky eaters phenomenon: neophobic behaviors of young children. J Am Coll Nutr. 2000;19:771-80. 

  21. Dubois L, Farmer A, Girard M, Peterson K, Tatone-Tokuda F. Problem eating behaviors related to social factors and body weight in preschool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Int J Behav Nutr Phys Act. 2007;4:4-9. 

  22. Carruth BR, Ziegler PJ, Gordon A, Barr SI. Prevelence of 'picky/fussy' eaters among infants and toddlers and their caregiver's decision about offering 

  23. Braet C, Van Strien T. Assessment of emotional, externally induced and retrained eating behaviour in nine to twelve-year-old obese and non-obese children. Behav Res Ther. 1997;35:863-73. 

  24. Schachter S. Obesity and eating. Internal and external cues differentially affect the eating behavior of obese and normal subjects. Science. 1968;161:751-6. 

  25. Johnson S L, Birch L L. Parents' and children's adiposity and eating style. Pediatrics. 1994;94:653-61. 

  26. Barkeling B, Ekman S, Rossner S. Eating behaviour in obese and normal weight 11-year-ol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992;16:355-60. 

  27. Drabman R. S, Cordua G. D, Hammer D, Javie G. J, Horton W. Developmental trends in eating rates of normal and overweight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1979;50:211-6. 

  28. Stunkard A, Kaplan D. Eating in public places. A review of reports the direct observation of eating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977;1:89-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