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정 수강집단 학생들과 아건강 설문지 응답과의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n a specific student group and their responses to sub-health questionnai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4, 2015년, pp.895 - 906  

신재경 (창원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인들은 건강과 삶의 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건강 관련 TV 프로그램을 통해 어떤 질병에 대해 치료 효과가 있다는 음식들이 여러 전문가들의 입에서 소개가 되고 있다. 또한, 이런 음식들이나 의학과 관련한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어떤 질병의 예후를 미리 알 수 있다면 병으로 고통 받지 않고 더 좋은 삶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되어 특정 수강 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아건강 설문지를 통해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성별과 10개의 진단지표의 동일성 검정 결과는 호흡기만 제외하고 나머지 9개의 진단지표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과 10개의 진단지표의 동일성 검정 결과는 10개의 모든 진단지표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이라는 특정 집단의 수강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연령대를 2개의 범주로 나누었지만 20대라는 하나의 범주로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many people have much interest in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y can get information on foods known to have remedial value for certain illness from many healthcare experts on TV health related shows. Moreover, a lot of studies on these foods and their remedial value are consistently pu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아건강 관련 연구로는 Ryu 등 (2009)은 한국판 아건강 평가 설문지의 타당도 연구에서 기존에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한 설문지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Ryu 등 (2011)은 한국판 아건강 설문지와 기분상태척도의 상관성 연구에서 아건강과 기분상태척도 간에는 약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어떤 질병의 예후를 미리 알 수 있다면 병으로 고통 받지 않고 더 좋은 삶을 즐길수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되어 특정 수강 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아건강 설문지를 통해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해보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건강 설문지 조사에 따르면, 어떤 계에서 '양호'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창원대학교의 인터넷 강좌로 개설된 교양과목인 ‘화장품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건강 설문지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수강 학생들의 속성별로 아건강에 관한 진단지표와의 교차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먼저 기초 통계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10개의 진단지표 중에서면역계와 골격계는 ‘양호’에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진대사는 ‘보통’에 응답한 비율이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나머지 7개의 진단 지표는 ‘경계’에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부분의 설문 대상자가 20대인 대학생인 점을 고려하면 의외의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아건강 상태란 무엇인가? 아건강 상태란 사람의 몸이 건강과 질병 사이의 상태로 건강이 저하된 상태나 그 표현을 말하는 것으로 임상에서는 잠복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아건강 관련 연구로는 Ryu 등 (2009)은 한국판아건강 평가 설문지의 타당도 연구에서 기존에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한 설문지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Ryu 등 (2011)은 한국판 아건강 설문지와 기분상태척도의 상관성연구에서 아건강과 기분상태척도 간에는 약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창원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아건강기초 통계분석 결과는? 본 연구는 창원대학교의 인터넷 강좌로 개설된 교양과목인 ‘화장품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건강 설문지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수강 학생들의 속성별로 아건강에 관한 진단지표와의 교차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먼저 기초 통계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10개의 진단지표 중에서면역계와 골격계는 ‘양호’에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진대사는 ‘보통’에 응답한 비율이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나머지 7개의 진단 지표는 ‘경계’에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부분의 설문 대상자가 20대인 대학생인 점을 고려하면 의외의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K. H. (2010). A study on preference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using Q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61-70. 

  2. Choi, K. H. (2012). The effect of onion on hyperlipidemia :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1103-1115. 

  3. Choi, K. H. and Lee, J. O. (2013). Evaluation on validity of health literacy measurement sca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257-265. 

  4. Jo, J. N. and Chang, U. J. (2013).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at mass repeated measures data using mixe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303-310. 

  5. Kim, D. W., Park, Y. J., Heo, Y. and Park, Y. B. (2008). Correlation analysis of respiratory variability and POMS factor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d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12, 1-12. 

  6. Kim, J. E. and Choi, K. H. (2010). A meta analysis for anti-hyperlipidemia effect of soybean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651-667. 

  7. Kim, N. J. and Choi, K. H. (2012). Lipid metabolic effects of caffeine using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649-656. 

  8. Lee, W. K., Kim, S. W., Kim, H. I., Chang, H. H., Lee, J. M., Kim, Y. J. and Lee, M. Y. (2014). Development of quality of life with WHOQOL-HIV BREF Korean version among HIV pati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337-347. 

  9. Ma, S. Y., Gong, W. T. and Kang, Y. S. (2009). Effects of remedial massage therapy on the pain, grip strength and functional status scale in corpal tunnel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97-107. 

  10. Ryu, J. M., Park, Y. B. and Park, Y. J. (2009). A study on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ubhealth questionnair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d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13, 78-87. 

  11. Ryu, J. M., Park, Y. J. and Park, Y. B. (2011). Correlation analysis of Korean version of the subhealth questionnaire and profile of mood states factor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d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15, 77-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