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enitrothion 분해미생물 Bacillus sphaericus NFo1의 동정 및 분해 최적조건
Identification and Cultural Optimization of the Fenitrothion-degrading Microorganism, Bacillus sphaericus NFo1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3 no.1, 2009년, pp.21 - 27  

최혁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영득 (대구대학교 생명환경학부) ,  강선철 (대구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유기인계 살충제인 fenirothion에 의하여 생성되는 폐기물과 폐수를 생물적 방법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fenitrothion 분해미생물을 이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미생물은 fenitrothion을 함유하는 NB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리되었으며, Gram(+), 막대형, 포자형성 등의 형태적, 생화학적 특징들에 근거하여 Bacillus sphaericus NFo1으로 동정되었다. NB 배지에서 fenitrothion을 분해하는 최적 배양조건 혹은 농약 분해 조건을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 최적 배양온도, 초기 pH, 균체 접종량이 각각 $35^{\circ}C$, 7.5, $OD_{660}$ 값이 1.5인 균체량으로 결정되었다. 이상의 최적 분해조건에서 fenitrothion은 5일 이내에 200mg/L의 고농도 배양에서도 90% 이상이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methodology of biological treatment for wastes and wastewater caused by an organophosporus insecticide, fenitrothion, using fenitrothion-degrading microorganism. A fenitrothion-degrading microorganism was isolated by using a selective nutrient broth (NB) medi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발된 균주 중에서 fenitrothion 분해력이 우수한 NFol 균주의 동정, 배양특성 및 fenitrothion 분해율 향상을 위한 배양최적화를 실시하여 실용적 적용 여부를 검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팀은 농약폐수나 농약살포 후 토양중에 잔류된 fenitrothion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논밭, 임야 및 오염지 토양, 폐수 등의 다양한 미생물에서 fenitrothion 분해력이 우수한 미생물 균주를 탐색하여 그 결과를 이미 보고한 바 있다(최 등, 199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hya, T. K., B. Sudhakar and N. Sethunathan (1981) Fate of fenitrothion, methyl parathion and parathion in anoxic sulfur-containing soil systems. Pestic. Biochem. Physiol. 16:14-20 

  2. Alonso, J. L., C. Sabater, M. J. Ibanez, I. Amoros, M. S. Botella and J. Carrasco (1997) Fenitrothion and 3-methyl-4-nitrophenol degradation by two bacteria in natural water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J. Environ. Sci. Health. 32(3):799-812 

  3. Arthurs, Steven, Matthew B. Thomas and Juergen Langewald (2003) Field observations of the effects of fenitrothion and Metarhizium anisopliae var. acridum on non-target ground dwelling arthropods in the Sahel. Biological Control 26(3):333-340 

  4. Baarschers, W. H., J. Elvish and S. P. Ryan (1983) Adsorption of fenitrothion and 3-methyl-4-nitrophenol on soils and sediment. Bull. Environ. Contam. Toxicol. 30:621-627 

  5. Baarschers, W. H. and H. S. Heitland (1986) Biodegradation of fenitrothion and fenitrooxon by the Fungus Trichoderma viride. J. Agric. Food Chem. 34:707 -709 

  6. Bruhn, C., H. Lenke and H. J. Knackmuss (1987) Nitrosubstituted aromatic compounds as nitrogen source for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53(1):208-210 

  7. Cheng, H. H. (1990) Pesticides in the soil environment : processes impacts and modeling.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429-466 

  8. Farghaly, M. and S. El-Maghraby (2008) Toxicological evaluation and bioavailability of $^{14}C$ -fenitrothion bound residues on soybeans towards experimental animals. Food and Chem. Toxicol. 46(9):3111-3115 

  9. Hayes, W. J. and E. R. Laws (1991) Handbook of pesticide toxicology. Academic Press, Inc 

  10. Hill I. R. and S. J. L Wright (1978) Pesticide microbiogy. Academic Press. London: 79-136 

  11. MacRae, I. C. (1989) Microbial metabolism of pesticides and structurally related compounds. Rev. Environ. Contam. Toxico. 109:1-88 

  12. Ozaki, M. and S. Kuwatsuka (1986) Reproductive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isouron and its related compounds by Pseudomonas putida. J. Pesticide Sci. 11(3):427-432 

  13. Sato, Y. (1992) Degradation of fenitrothion by bacteria isolated from forest soil. J. Jpn. For. Soc. 74(6):482-487 

  14. Schoen, S. R. (1987) The effects of various soil factors and amendments on the degradation of pesticide mixtures. J. Environ. Sci. Health 22(3):347-377 

  15. Worthing, C. R. (1991) The pesticide manual. ninth edition,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16. Wright, J. A., M. W. Hermonat and R. G. Hards (1982) A degradation product of fenitrothion, 3-methyl-4-nitrophenol, is an inhibitor of mammalian ribonucleotide reductase. Bull. Environ. Contam. Toxicol. 28:480-483 

  17. 김미림, 박찬성, 최경호 (1995) 제초제 paraquat의 미생물 생육저해작용. 한국농화학회지 38(4):283-288 

  18. 김희권, 윤봉기, 박인진, 서용택(1996) 제초제 quizalofop-ethyl의 토양중 행방. 한국환경농학회지 15(4):488-493 

  19. 문영희, 김윤태, 김영석, 한수곤 (1993) 토양 중 살충제 ethoprophos의 분해성 및 이동성의 측정과 예측에 관한 모델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12(3):209-218 

  20. 문영희, 양항승 (1990) 실외조건의 수토양 중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소실. 한국환경농학회지 9(1):9-14 

  21. 박연준 (1996) HBC법에 의한 생활오수처리의 특성.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연희, 조성은, 이우상, 조도현 (1992) 활성오니에서 분리한 pentachlorophenol 내성균주의 pentachlorophenol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35(4):242-247 

  23. 박창규, 한대성, 허장현 (1984) 낙동강 주요 환경 구성분 중 유기인계 농약잔류분. 한국환경농학회지 3(1):26-44 

  24. 백수봉, 양창술, 오연선 (1994) 미생물을 이용한 농약잔류 분석법 개발.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0(4):297-304 

  25. 이성환, 홍종욱 (1987) 개정 농약학. 향문사 

  26. 이숙희, 홍성용, 하지홍 (1994) Phenol을 이용하는 균주에 의한 trichloroethylene 분해. 산업미생물학회지 22(2):203-209 

  27. 임경택, 배도용, 신남철 (1996) 지구환경과학. 동아기술 

  28. 최혁, 김복진, 배도용, 이영득, 강선철 (1998) 유기인계 살충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 탐색. 한국환경농학회지 17(3):279-285 

  29. 한성수, 박필재, 정동훈, 임효섭 (1996) 수종 토양세균에 의한 살균제 myclobutanil의 분해력. 한국환경농학회지 15(1):25-36 

  30. 한성수, 최찬규, 정재훈, 백승화 (1995) 환경차이에 따른 밭토양 중살균제 myclobutanil의 잔류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 한국환경농학회지 14(1):28-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