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는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을 미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총 182점의 토양, 퇴비 및 액상의 미생물 시료를 접종원으로 실시한 endosulfan 집식(enrichment) 실험으로부터 endosulfan을 endosulfan diol 형태로 경유하여 분해하는 균주를 선발하고 그 이름을 Bacillus sp. E64-2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주는 7일만에 배지에 함유된 10 mg/L 농도의 endosulfan을 99% 이상 분해하였다. 또한 분리균주 Bacillus sp. E64-2의 조효소액은 endosulfan을 endosulfan diol로 전환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균주 자체는 생육 중에 배지의 pH를 배양 7일 만에 pH 7.0에서 pH 8.4로 올릴 수 있었다. 이러한 효소활성과 pH 증가 능력은 분리균주 E64-2에 의한 endosulfan 분해의 주된 작용 인자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균주는 효소에 의한 분해작용과 pH 상승작용을 통하여 토양에 잔류는 난분해성 물질인 endosulfan을 bioremediation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균주로서의 가치가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bacterium, which was named to be Bacillus sp. E64-2, capable of degrading endosulfan was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al sample using enrichment culture technique. The Bacillus sp. E64-2 was able to degrade 99% of 10 mg/L endosulfan in the culture media within 7 days at $30^{\circ}C$.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 독성이 있는 endosulfan sulfate는 토양에 상당 기간 잔류하는데 이는 주로 endosulfan의 화학구조 중에 있는 chloline group의 탈염소화(dechlorination)가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ndosulfan을 분해하면서도 endosulfan sulfate는 형성시키지 않는 성질을 가진 미생물의 분리에 중점을 두어 미생물 분해 산물에 의한 독성증가를 막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생물학적 처리법 개발의 기초단계로써, 우리나라 농경지 토양을 집식배양(enrichment culture)하여 endosulfan 분해능을 확인하고 단독으로 이를 분해 할 수 있는 분해 균주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이란 무엇인가? 농약은 농산물의 양적・질적인 향상과 노동력 절감 등의 필요성으로 인해 현대 농업활동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농자재로서 그 특성상 어느 정도의 생물 독성과 토양 잔류성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그러나 일부 농약의 경우 지나치게 독성이 높고 잔류성이 길어 환경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endosulfan 농도를 GC로 분석한 결과 주된 분해 산물은 어떻게 분류되었는가? 이들은 GC 확인 결과 주된 분해 산물로 endosulfan sulfate, diol, ether 등을 각각 가지는 집식배양 실험구들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144점의 시료중에서 endosulfan sulfate를 분해 산물로 가지는 시료가 총 25점, endosulfan diol을 분해산물로 가지는 시료가 14점이었고 나머지 시료에서는 endosulfan의 감소는 있으나 2차 산물이 발견되지 않았거나 적은 양의 ether가 일부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시료를 채취한 지역별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므로 각 지역이나 환경의 토착 미생물 분포에 따라 endosulfan 분해 양상도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BHC, DDT, aldrin과 같이 다수의 염소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염소계 농약이 대부분 사용 금지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일부 농약의 경우 지나치게 독성이 높고 잔류성이 길어 환경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예를 들어 BHC, DDT, aldrin과 같이 다수의 염소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염소계 농약은 환경에 노출된 후의 긴 잔류성이 문제가 되어 대부분 사용이 금지되었다.1) 비침투성 농약인 endosulfan(6,7,8,9,10, 10-hexachloro-1,5,5a,6,9,9a-hexahydro-6,9-methano-2,3,4- benzodioxathiepin-3-oxide)은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일한 유기염소계 살충제로 대부분의 농가에서 해충 방제용으로 광범위하게 누적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 경작지 토양에는 endosulfan과 그 분해산물 중의 하나인 endosulfan sulfate가 상당량 잔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Rao, D. M. R. and Murty A. S. (1980) Persistence of endosulfan in soils. J. Agric. Food Chem. 28, 1099-1101 

  2. Kim C. S., Lee H. D., Ihm Y. B. and Im G. J. (2007) Runoff of endosulfan by rainfall simulation and from soybean-grown field lysimeter. Korean J. Enviro. Agric. 26(4), 343-350 

  3. Luchini, L. C., Peres, T. B. and de Andrea, M. M. (2000)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 cotton crop soil. J. Environ. Sci. Health B. 35, 51-59 

  4. Antonious, G. F., Byers, M. E. and Snyder, J. C. (1998) Residues and fate of endosulfan on fieldgrown pepper and tomato. Bull Environ. Contam. Toxicol. 54, 848-854 

  5. Hodges, L. C., Bergerson, J. S., Hunter, D. S. and Walker, C. L. (2000) Estrogenic effect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on uterine leiomyoma cells in vitro. Toxicol. Sci. 54, 355-364 

  6. Zaugg, R. H. and Swarz J. R. (1981) Assessment of future environmental trends and problems: industrial use of applied genetic and biotechnologies. US EPA-600, 8-81-020 

  7. Lee S. H, Shin J. H., Choi J. H., Park J. W., Kim J. E. and Rhee I. K. (2004) Isolation and Chracterization of Chlorothalonil-dissipating Bacteria from Soil.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2(1), 96-100 

  8. Kim Y. M., Park K., Kim W.C., Shin J. H., Kim J. E., Park H. D. and Rhee I. K. (2007) Cloning and Chracterization of a Catechol-Degrading Gene Cluster from 3,4-dichloroaniline 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KB35B. J. Agrc. Food Chem. 55, 4722-4727 

  9. Choi J. H., Im W. T., Liu Q. M., Yoo J. S., Shin J. H., Rhee S. G. and Roh D. H. (2007) Planococcus donghaensis sp. nov., a starch degrading bacterium isolated from the East Sea, South Korea. Int. J. Sys. Evol. Micro. 57, 2645-2650 

  10. The Merck index (1996) Merck & Co., Inc., Whitehouse Station, NJ, USA 

  11. Kullman S. W., Matsumura F. (1996) Metabolic pathways utilized by Phanerochaete chrysosporium for degradation of the cyclodiene pesticide endosulfan. Appl. Environ. Microbiol. 62, 593-600 

  12. Barnes, W. W. and Ware G. W. (1965) The absorption and metabolism of 14C-labeled endosulfan in the house fly. J. Econ. Entomol. 58, 286-291 

  13. Guerin T. F. (1999) The anaerobic degradation of endosulfan by indigenous microorganisms from low-oxygen soils and sediments. Envrion. Poll. 106, 13-21 

  14. Sutherland T. D., Horne I, Lacey M. J., Harcourt R. L., Russel R. J. and Oakeshott J. G.. (2000) Enrichment of an endosulfan-degrading mixed bacterial culture. Appl. Environ. Microbiol. 66, 2822-28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